• 제목/요약/키워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 임계미셀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hanges of Surfactants in Magnetized Water)

  • 이성현;이석근;전상일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2
    • /
    • 2009
  • 자화수는 물분자의 수소결합에 의한 배열이 특이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다양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자화수가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관찰하였다. $25\;{^{\circ}C}$에서 전도도계(conductivity meter)를 이용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 (sodium dodecyl sulfate)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CMC를 측정하였고, 표면장력계를 사용하여 SDS와 CTAB 그리고,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luronic F-68의 CMC를 측정하였다. 또한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er (ITC)를 이용하여 $25\;{^{\circ}C}$에서 SDS의 열량변화를 측정하여 CMC의 변화율을 측 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의 CMC는 증류수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 향을 보였는데, SDS는 자화수에서 약 $2.7{\sim}6.5$% 정도 낮아짐을 보였고, CTAB는 자화수에서 약 $2.3{\sim}3.0$% 정도 낮아짐을 보였으며, Pluronic F-68은 자화수에서 약 24.2% 정도 낮아짐을 보였다.

CTAB 조성에 따른 할로우 실리콘/탄소 음극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llow Silicon/Carbon Anode Composite for Various CTAB Amounts)

  • 김동민;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99-10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고용량 리튬이온배터리용 음극 소재로 탄소 코팅된 할로우 구조의 실리콘(HSi/C)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CTAB (N-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이 첨가된 Stöber법을 통해 할로우 실리카(HSiO2)를 합성하였으며, HSiO2를 마그네슘열 환원한뒤 표면에탄소를 코팅하여 HSi/C 음극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복합소재의물리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CTAB 조성에 따라 조사하였다. FE-SEM 분석 결과 CTAB 조성이 감소할수록 HSiO2 입자의 크기가 커졌으나 두께는 감소하였다. 제조된 HSi/C 소재는 다양한 CTAB 비율(0.5, 1.0, 1.5)에서 각각 2188.6, 2164.5, 1866.7 mAh/g의 높은 초기 방전용량을 나타내었으며, 100 사이클의 충·방전 후 0.5-HSi/C가 1171.3 mAh/g의 높은 가역 용량과 70.9%의 용량 유지율을 보여주었다.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으로 저항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0.5-HSi/C 소재가 20 사이클 이후 다른 CTAB 조성의 HSi/C 복합소재에 비해 안정적인 저항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전기적 자가결합법으로 제조된 2차원 티타늄 카바이드(MXene)/실리콘 음극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2-Dimensional Titanium Carbide(MXene)/Silicon Anode Composite Prepared by Electrostatic Self-assembly)

  • 김동민;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262-26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리튬이온전지용 음극 소재로써 2차원 구조의 티타늄 카바이드(MXene)와 나노 실리콘의 정전기적 결합을 통한 MXene/Si 음극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LiF/HCl을 이용하여 Ti3AlC2 MAX를 에칭해 Ti3C2Tx MXene을 제조하였으며, 정전기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나노 실리콘의 표면을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을 활용하여 양전하로 대전하였다. MXene/Si 음극 복합소재는 제조된 MXene과 대전 된 실리콘의 간단한 혼합 공정을 통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복합소재의 물리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MXene과 실리콘의 조성비에 따라 조사하였으며, 전극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충·방전 사이클 후의 전극 표면을 분석하였다. MXene/Si 복합소재는 MXene 대비 실리콘 조성 비율이 2, 3 및 4로 증가할수록 1962.9, 2395.2 및 2504.3 mAh/g의 높은 초기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MXene과 실리콘 조성비가 1 : 4인 MXene/Si-4는 100 사이클에서 1387.5 mAh/g의 가역 용량과 74.5%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으며, 4.0 C의 높은 율속에서도 700.5 mAh/g으로 높은 용량을 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전기적 결합으로 제조된 MXene/Si 복합소재는 고성능 리튬이온배터리용 음극소재로 적용 될 수 있다.

에폭시 나노복합재료 제조 및 물성에 미치는 유기화제의 영향 (Effect of Intercalant on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 강재현;유성구;최현국;서길수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414-420
    • /
    • 2001
  • 유기화제의 종류에 따른 에폭시 나노복합재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킬암모늄 염으로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TMA)와 알킬포스포늄 염으로서 세틸트리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CTBP)를 각각 Na-몬모릴로나이트에 삽입시켰다. 유기화제로서 CTMA로 치환된 MMT의 층간거리는 약 $18.8{\AA}$이였으며, CTBP로 치환되었을 경우 MMT의 층간거리 ($23.8 {\AA}$)는 CTMA로 치환되었을 경우 보다 증가하였다. 이것으로부터 MMT의 층간거리는 유기화제의 종류에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치환된 MMT의 열안정성은 유기화제의 종류에 영향이 있었으나,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경우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CTBP로 치환된 MMT로 제조된 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경우가 재료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CTMA로 치환된 MMT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재료보다 증가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열합성법에 의한 PbMoO4의 합성 및 그들의 광촉매 활성 (Synthesis of PbMoO4 Using a Facile Surfactant-assisted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Photocatalytic Activity)

  • 홍성수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307-312
    • /
    • 2016
  • $PbMoO_4$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고, XRD, Raman, TEM, PL, BET 및 DRS 등에 의해 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들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 하에서 Rhodamine B의 광분해 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XRD 및 Raman의 분석 결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손쉬운 수열합성에 의해 잘 결정화된 $PbMoO_4$ 구조를 가진 촉매들이 합성되었으며 52에서 69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합성된 $PbMoO_4$는 P-25와 순수한 $PbMoO_4$ 보다 높은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pH 9에서 합성된 $PbMoO_4$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촉매들은 540 nm 부근에서 강하고 넓은 PL 흡수밴드가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세기가 커질수록 Rhodamine B의 광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르바마제핀 정제 용출패턴과 용출액 조성과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Dissolution Patterns of Carbamazepine Tablet and Dissolution Medium Composition)

  • 이현태;김정호;김현주;사홍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3호
    • /
    • pp.185-192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rfactant type and concentration upon dissolution rates of carbamazepine from an immediate-release tablet. The dissolution media used in this study were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0.1-2% sodium lauryl sulfate,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or polysorbate 80. The solubility of carbamazepine in the dissolution media was determined at first. A dissolution study was then conducted by using the USP dissolution apparatus II (paddle method) with an agitation rate of 75 rpm. Aliquots of the dissolution media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amount of carbamazepine dissolved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at 285 nm. The dissolution data obtained were fitted into a biphasic exponential equation with four parameters. Excelle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theoretical ones predicted by the equation. This equation permitted the calculation of $T_{50%}$ (the time required for dissolving 50% of carbamazepine)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Differentiation of the equation also led to the attainment of dissolution rates at dissolution time points. The addition of a surfactant to an aqueous solution led to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carbamazepine by 3- to 12-folds, depending upon its type and concentration. This event also resulted in enhancing the magnitude of a sink condition during the dissolution study. As a result, the dissolution rate of carbamazepine was affected by the aqueous surfactant concentration in a proportional manner. Subsequently, $T_{50%}$ values declined rapidly, as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increased. Such effects were observed in decreasing order of sodium lauryl sulfate, cetyltirmethylammonium bromide, and polysorbate 80.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it was possible to tailor a dissolution rate and $T_{50%}$ of carbamazepine by manipulating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a surfactant. Relevant information would be beneficial to setting up dissolution specifications for poorly water-soluble drug products.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 Min, Jin-Gi;Kim, Tae-Jin;Lee, Doo-Seog;Ch, Sang-Won;Yoon, Ho-Dong;Park, Jeong-He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37-141
    • /
    • 2001
  • Water-soluble crude polysaccharide (TM-1) prepared from the leaves of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was fractionated into three polysaccharide fractions, TM-2, TM-3 and TM-4 by the addition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The major polysaccharide fraction, TM-2, consisted of glucose, galactose, rhamn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nd all fractions contained galactose and glutose as the major neutral sugars. TM-4 showed the highest anti-complementary activity. When TM-4 was futher fractionated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M4- II a and TM4-II b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TM4- II a was composed mainly of galactose, arabinose and glucose in the molar ratios of 2.13 : 0.94 : 1.00 respectively, and contained a small amount of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 PDF

P. aeruginosa EMS1의 mutagen 처리를 통한 고기능 유화재 균주의 개발

  • 이근희;이오미;김기한;차미선;손홍주;이상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6-557
    • /
    • 2001
  • 생물 계면활성제의 개발을 위해 MNNG(N-Methyl-N-Nitro- NitrMoguanidjne), EMS, UV radiator 등 random mutation을 유도하여 가장 고기능 유화제 생산 균주를 선별하여 다양한 탄소원에 따른 생육도와 유화활성, 유화 활성에 미치는 pH 등 생물 계면활성제의 생산에 관한 조사를 한 결과 Bunker A에서는 유화활성이 원래 균주보다 최고 약 6배까지 증가했으며 표면장력 또한 40.3dyne/cm 에서 34.0dyne/cm 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 PDF

The Effect of CTAB on the Citrate Sol-gel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Sodium Beta-Alumina Nano-Powders

  • Wang, Zaihua;Li, Xinjun;Feng, Zipi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4호
    • /
    • pp.1310-1314
    • /
    • 2011
  • Sodium beta-alumina (SBA) nano-powders were synthesized by the citrate sol-gel process, and the effects of the cationic surfactant n-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surfactant (CTAB) were investigated.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the nano-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echniques, respectively. The effects of CTAB on the citrate sol-gel process and the SBA formation were investigated by thermo 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 conductivity of ceramic pellets of SBA was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TAB inhibited the agglomeration of SBA powders effectively and consequently decrease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SBA, about $150^{\circ}C$ lower than that of the sample without CTAB. The measured conductivity of SBA was $1.21{\times}10^{-2}S{\cdot}cm^{-1}$ at $300^{\circ}C$.

Stability of Tetracycline Hydrochloride in Reverse Micelles

  • Kim, Hyun-Joo;Lee, Hwa-Jeong;Sah, Hong-Ke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5호
    • /
    • pp.333-336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etracycline HCl on encapsulation into and inside reverse micelles. To do so, tetracycline HCl was first mixed with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water and ethyl formate to make reverse micelles. The degradation kinetics of tetracycline HCl inside the reverse micelles was then assessed by scrutinizing its stability data.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verse micelles formed spontaneously in absence of any mixing device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reverse micelles, however, considerable portions of tetracycline HCl underwent a chemical reaction (e.g., epimerization). For instance, $51.4{\pm}0.6%$ of an initial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HCl was transformed into a degradation product. Once dissolved inside the reverse micelles, the degradation of tetracycline HCl followed an exponential decay pattern. The plot of log{the degradation rate of tetracycline HCl} versus log{tetracycline HCl concentration} made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order of degradation reaction and rate constant. It was proven that the degradation of tetracycline HCl inside the reverse micelles followed a first order kinetics with a rate constant of 0.0027 $hour^{-1}$. Meriting further investigation might be formulation studies to stabilize tetracycline HCl on encapsulation into and inside the reverse micel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