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ral blood vessel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86초

이마부위 자가 지방이식 후 발생한 동정맥 샛길 치험례 (Arteriovenous Fistula on Forehead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A Case Report)

  • 허정우;오득영;윤석호;서제원;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9-492
    • /
    • 2009
  • Purpose: Autologous fat injection is ideal for patients who wish to add contour, projection and gross volumization of the aging, atrophic face and is claimed to be a safe procedure. However, there are several case reports in the literature where patients have suffered from acute visual loss and cerebral infarction after facial fat injection. This paper will explore a rare case of vessel related complication, an arteriovenous fistula that occurs after fat injection on forehead. Method: A 28 - year - old female who showed a non - tender, soft $1.0{\times}2.5cm$ sized mass on forehead for 3 weeks. A thrill could be detected on the totuous dilatated vessel - like structure around the mass. She had a fat injection on forehea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3 months prior to developing the mass. 3 - dimensional brain CT angiography showed arteriovenous fistula. Results: The fistula is totally excised with ligation of feeding vessels. Pathology report showed an atypical vessel which had intimal thickening, myxoid degeneration and thrombus formation. There were no evidences of recurrence at least for 2 months of follow - up. Conclusion: An occurrence of arteriovenous fistula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is very rare. After perforation of artery and vein by coincidence, blood extravasates with the formation of a hematoma capsule and a pseudocapsule around it. The hematoma capsule would expand and clot would reabsorb resulting in a cavity leading to fistula formation. Other vessel related complications like acute visual loss or cerebral infarction are very severe. Therefore, surgeons should be cautious during facial fat injection to avoid vessel injuries.

적혈구 증가증으로 인한 급성 뇌경색에서 경동맥 혈관벽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Carotid Vessel Wall MRI Findings in Acute Cerebral Infarction Caused by Polycythemia Vera: A Case Report)

  • 박준경;이은자;김동억;이현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78-183
    • /
    • 2022
  • 진성적혈구증가증은 드문 골수 증식성 질환이며 제어되지 않은 적혈구 생산으로 인해 절대 적혈구 질량이 증가한다. 진성적혈구증가증은 큰 혈관의 협착 또는 폐색과 함께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에서 뇌경색에 대한 많은 증례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합병증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의 좁아진 혈관에서 혈관벽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뇌졸중으로 인해 입원한 후 PV로 진단된 30세 남성의 경동맥 VW-MRI 소견에 관해 보고하고자 하며, 이는 우리가 아는 한 영어로 된 첫 번째 보고이다.

Angiographic Features and Clinical Outcomes of Intra-Arterial Nimodipine Injection in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rhage-Induced Vasospasm

  • Kim, Sang-Shin;Park, Dong-Hyuk;Lim, Dong-Jun;Kang, Shin-Hyuk;Cho, Tai-Hyoung;Chung, Yong-G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2권3호
    • /
    • pp.172-178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intra-arterial (IA) nimodipine injections for cerebral vasospasm secondary to ruptured subarachnoid hemorrhage (SAH)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vasodilation and clinical outcomes. Methods : We enrolled 29 patients who underwent aneurysm clipping for ruptured cerebral aneurysms between 2009 and 2011, and who received IA nimodipine after subsequently presenting with symptomatic vasospasm. The degree of vasodilation shown in angiography was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vasodilation and both the interval from SAH to cerebral vasospasm and the interval from clipping to cerebral vasospasm was determined. The change in blood flow rate after IA injection was assessed by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Multiple clinical parameters were completed before and after IA nimodipine injection to evaluate any improvements in clinical symptoms. Results : For eight patients, Glasgow Coma Scale (GCS) scores increased by two or more points. Th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GCS scores after IA nimodipine injection and the change in blood vessel diameter (p=0.025). A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the interval from SAH to vasospasm and the change in diameter (p=0.040); and the interval from clipping to vasospasm and the change in diameter (p=0.022). Conclusion : IA nimodipine injection for SAH-induced vasospasm led to significant vasodilation in angiography and improvement in clinical symptoms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IA nimodipine injection should be utilized when intractable vasospasm develops despite rigorous conservative management.

뇌종양의 등급분류를 위한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투과성영상(Permeability Map)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Permeability Map by Perfusion MRI of Brain Tumor the Grade Assessment)

  • 배성진;이영주;장혁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325-334
    • /
    • 2009
  • 목 적 : 관류 자기공명영상(perfusion MRI)을 이용하여 대뇌(cerebral)에서 혈액뇌장벽의 파괴로 인하여 조영제가 혈관내에서 조직으로 빠져 나가는 투과성과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해보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구한 투과성비와 상대적 뇌혈류량비가 종양의 악성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어떠한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의학진단과 병리조직검사로 진단된 29명을 대상으로 뇌종양이 포함된 550(11 silce $\times$ 50 image)관류 자기공명영상을 3T기기에 장착된 프로그램으로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하였고, 다른 한 방법은 개인 컴퓨터에 영상을 전송 후 IDL 6.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대적 뇌혈류량(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eformul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rCBV-rSVD)과 투과성을 영상화 하였다. 그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화소별 평균 신호강도를 정량적(quantitative analysis)으로 측정하여 비모수적 통계인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뇌종양별로 평균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상대적 뇌혈류량영상과 투과성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정상부위와 종양부위의 정량적으로 분석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 와 (3T 기기자체 분석한 값, IDL 6.2로 분석한 값) 투과성비에서 고등급 성상세포종(n=4)의 경우 (14.75, 19.25) 13.13, 저등급 성상세포종(n=5) (14.80, 15.90) 11.60, 아세포종(n=5) (10.90, 18.60) 22.00, 전이성 뇌종양(n=6) (11.00, 15.08) 22.33, 수막종(n=6) (18.58, 7.67) 5.58, 핍돌기 신경교종(n=3) (23.33, 16.33) 15.67로 나타났다. 결론 : 종양별로 상대적 혈류량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는 등급을 분류하기에 용이하지 않았지만, 투과성영상으로 측정한 투과성비는 종양 악성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양의 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유용하였다.

  • PDF

A novel low-profile flow sensor for monitoring of hemodynamics in cerebral aneurysm

  • Chen, Yanfei;Jankowitz, Brian T.;Cho, Sung Kwon;Yeo, Woon-Hong;Chun, Youngjae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71-84
    • /
    • 2015
  • A low-profile flow sensor has been designed,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for monitoring hemodynamics in cerebral aneurysm. The prototype device is composed of three micro-membranes ($500-{\mu}m$-thick polyurethane film with $6-{\mu}m$-thick layers of nitinol above and below). A novel super-hydrophilic surface treatment offers excellent hemocompatibility for the thin nitinol electrode. A computational study of the deformable mechanics optimizes the design of the flow sensor and the analysis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estimates the flow and pressure profiles within the simulated aneurysm sac.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device to monitor intra-aneurysmal hemodynamics in a blood vessel. The mechanical compression test shows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force and the measured capacitance change. Analytical calcula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shift due to the compression force agrees wel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have the potential to address important unmet needs in wireless monitoring of intra-aneurysm hemodynamic quiescence.

뇌혈류 초음파 검사에서 기저동맥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Basilar Artery Pulsatility Index on Transcranial Doppler)

  • 정호태;김대식;강건우;남윤택;오지은;조은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77-483
    • /
    • 2018
  • 뇌혈류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뇌 혈관 혈류 속도와 방향을 도플러 원리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뇌혈류 초음파 검사의 박동지수는 원위부 혈관 저항을 반영하는 측정 지표이며 대뇌 소혈관 질환 발생과 확산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기저 동맥의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를 평가하는데 있다. 2014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뇌혈류 초음파 검사 박동지수를 측정하여 기저동맥 박동지수 대상자 422명을 선정하였다. 기저동맥 박동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변수에 특징을 고려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연령, 고혈압 유무, 당뇨 유무, 고지혈증 유무, 적혈구용적으로 나타났다(P<0.1)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P<0.001), 당뇨 유무(P=0.004), 고지혈증 유무(P=0.04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뇌혈류 초음파 검사의 박동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는 고령, 당뇨, 고지혈증이다.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두 개 내 박동지수 증가는 고령, 당뇨, 고지혈증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두개 도플러 초음파의 측정지표와 성/연령의 상관성 (Correlation of Gender/Age and Measurement Indices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 진복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5-160
    • /
    • 2010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TCD) allows measurement of blood flow velocity to be made from the basal intracerebral vessels. Blood flow velocity in TCD is highly affected not only by blood vessel diameter, blood flow volume, blood viscosity, but also age and sex. Therefore, the study is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CD measurement index and sex/age. Subjects were 214 (male 147, famale 67) who had TCD for headache and stroke evaluations at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neurology department from December 2009 to April 2010.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ean flow velocity (MFV), peak systolic flow velocity (PSFV), end diastolic flow velocity (EDFV), pulsatility index (PI) and resistance index (RI) in middle cerebral artery (MCA). Although age als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FV and PSFV, EDFV has statistically decreased with age, and PI and RI has statistically increased with age. In addition, ag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FV, EDFV, PI and RI, but not with PSFV. Therefore, TCD is definitely correlated with age and sex, so that those influencial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en being tested.

  • PDF

알츠하이머 치매와 미세뇌혈관병리: 혈액뇌장벽 투과도 영상 (Alzheimer Dementia and Microvascular Pathology: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Imaging)

  • 문원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488-500
    • /
    • 2020
  • 최근의 연구들은 알츠하이머병의 병리가 단순히 아밀로이드와 타우단백질의 축적만이 아닌, 혈액뇌장벽(blood brain barrier; 이하 BBB) 이상과 같은 미세혈관병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BBB 투과도 변화는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 축적뿐 아니라 신경염증과 신경 퇴행성변화를 일으킴으로써 결국 임상 치매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 및 관련 질환의 BBB 이상을 보기 위한 MR 영상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알츠하이머병에서 BBB와 관련된 병리를 소개하고, BBB 투과도 변화에 대한 MR 영상 연구들을 소개할 것이다. 또한 BBB 투과도 측정을 위한 MR 방법론 개요와 문제점들을 제시할 것이다.

경피신경전기자극기를 이용한 비지각적 감각자극 강도가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perceptual Sensory Stimulation Intensity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Cerebral Blood Flow)

  • 정주연;강창기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81-9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경피신경전기자극(TENS)을 이용하여 다양한 자극 강도에 따른 뇌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비지각적 감각의 전기자극을 통해 총경동맥(CCA)에서의 혈류 변화 및 혈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24명이 참여하였다. 자극 강도는 감각 역치 미만, 감각 역치, 그리고 감각 역치 초과 세 가지를 각각 랜덤 순서로 적용하였다. 측정위치는 CCA 분기점의 1cm 하단에서 측정하였고, 혈류속도는 C-mode 도플러, 혈관의 구조는 B-mode 영상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각의 자극별로 중재 전, 중재 중, 그리고 중재 후에 수행하였고 각 세션마다 혈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고 수축기 속도(PSV)는 역치미만의 비지각적 감각자극에서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함이 확인되었다(p = .008). 역치 미만의 자극 후 PSV는 자극 전보다 평균 3.04%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11). 반면 CCA의 혈관 직경의 변화는 모든 강도에서 자극 전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단시간의 비지각적 전기자극이 혈관의 직경이나 혈압의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즉각적인 혈류속도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동맥 부위에 환자의 불편함과 부작용이 없는 전기자극을 통해 뇌혈류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Intraarterial Nimodipine Infusion to Treat Symptomatic Cerebral Vasospasm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Kim, Jong-Hoon;Park, In-Sung;Park, Kyung-Bum;Kang, Dong-Ho;Hwang, Soo-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3호
    • /
    • pp.239-244
    • /
    • 2009
  • Objective : Cerebral vasospasm leading to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patients who suffer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Despite adequate treatment, some patients deteriorate and they develop symptomatic vasospasm.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clinical outcome of intraarterial nimodipine infusion on symptomatic vasospasm that is refractory to hemodynamic therap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rocedure reports, the clinical charts and the transcranial doppler,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results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endovascular treatment for symptomatic cerebral vasospasm due to aneurysmal SAH. During the 36 months between Jan. 2005 and Dec. 2007, 19 patients were identified who had undergone a total of 53 procedures. We assessed the difference in the arterial vessel diameter, the blood flow velocity and the clinical outcome before and after these procedures. Results : Vascular dilatation was observed in 42 of 53 procedures. The velocities of the affected vessels before and after procedures were available in 33 of 53 procedures. Twenty-nine procedures exhibited a mean decrease of 84.1 cm/s. We observed clinical improvement and an improved level of consciousness with an improved GCS score after 23 procedures. Conclusion : Based on our results, the use of intraarterial nimodipine is effective and safe in selected cases of vasospasm following aneurysmal SAH.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