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biology

검색결과 7,164건 처리시간 0.035초

Campylobacter jejuni의 groEL 유전자 산물의 대장균에서의 Chaperon효과 (Chaperon Effects of Campylobacter jejuni groEL Genes Products in Escherichia coli)

  • 임채일;김치경;이길재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2
    • /
    • 1994
  • Campylobacter jejuni에 48${\circ}C$의 열충격을 30분간 주었을 때, HSP90, HSP66, HSP60의 열충격 단백질들이 합성되었고, 이 단백질들은 각각 E. coli의 hsp87, HSP66 (DnaK), HSP58(GroEL)에 상응하는 단백질들이었다. 여러가지의 제한효소로 처리한 C. jejuni의 chromosomal DNA에 E. coli의 groEL(4.0kb)을 probe로 사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 이들과 상동성을 가지는 유전자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 jejuni의 groEL 유전자를 pWE15 cosmid를 이용하여 recombinant plasmid pLC1을 만들고, 이를 E. coli B178 groEL44 ts mutant에 형질전환시켜 E. coli LC1을 얻었다. 이 pLC1에는 groEL 유전자가 존재하는 5.7kb인 insert DNA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로부터 subcloning한 pLC101에는 groEL을 포함하는 4.0kb의 DNA가 삽입되어 있었다. 이 recombinant plasmid들이 형질전환된 E. coli LC1과 LC101 균주에서는 C. jejuni의 GroEL 단백질이 과다 생산되었다. C. jejuni의 groEL이 cloning된 E. coli LC1은 42${\circ}C$에서의 생장능력이 회복되었고, ${\lambda}$ vir phage에 대한 감수성도 회복되는 등의 chaperon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Pseudomonas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성 항생물질에 의한 효모 Candida 생육 억제 (Inhibition of yeast Candida growth by protein antibiotic produced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B2)

  • 안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8-452
    • /
    • 2015
  •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세균을 배추의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API 20NE test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s BB2로 동정되었다. P. fluorescens BB2 균주는 3%의 glucose가 포함된 YM 배지에서 $20^{\circ}C$로 배양하였을 때 효모에 대한 항생물질을 2차 대사산물로서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BB2 균주의 단백질성 항생물질은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과 N-butanol 추출에 의해 농축되었으며,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데 Candida albicans KCTC 7965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0{\mu}g/ml$이었고, $80{\mu}g/ml$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하였다. N-butanol 추출에 의한 친수성 분획은 Bacillus cereus ATCC 21366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chrome azurol S 평판배지에서 주황색 halo를 생성하므로 철과 결합하는 siderophore를 포함한다. 세포막을 통한 crystal violet의 흡수를 조사한 결과 효모 C. albicans에 대한 소수성 항생물질 $60{\mu}g/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막 투과성이 약 9% 증가하였다. P.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효모 Candida의 생육을 억제하는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으로 보이며, 이는 Pseudomonas 속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ODAM과 BMPRIB가 법랑질의 석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DAM and BMPRIB on Enamel Mineralization)

  • 박종태;조광희;배현숙;조영식;김흥중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11
  • 최근에 Odontogenic ameloblast-associated protein (ODAM)은 MMP-20의 발현을 조절하여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 과정에서의 ODAM의 생물학적 기능과 신호 전달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Ameloblast-lineage cells (ALCs)를 이용하여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생성하고 ODAM 과발현 (ODAM overexpressing) 또는 ODAM 억제(ODAM silencing) 세포주를 만들었다. 세포들은 2주 동안 분화 배지에서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ODAM의 신호 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ALCs에 BMP2와 BMP receptor 1B (BMPR-1B) 억제제인 BAMBI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하였고, 또한 BMPR-1B siRNA 이용하여 BMPR-1B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석회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증진되었다. 또한 ALP 활성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정제된 단백질를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뚜렷하게 증진되었다. 기관발생과 관련이 있는 BMPR-IB와 석회화 과정과 관련된 CBP2는 ODAM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ODAM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에는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 실험의 결과는 법랑질 형성과정에서 ODAM이 법랑질 석회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17{\alpha}-methyltestosterone$에 의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성전환 유도 (Induced Sex Reversal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by $17{\alpha}-methyltestosterone$)

  • 송영보;백혜자;김형배;이경준;;이명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7-172
    • /
    • 2005
  • 능성어 정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MT $0.5{\sim}2.0mg/kg$ BW를 어체 근육내 삽입하여 성전환을 유도하였다 사용한 실험어는 전장 $41.0{\pm}1.3cm$, 체중 $1.4{\pm}0.1kg$이었다. 실험 시작시 능성어 생식소는 주로 gonia cells과 주변인기 단계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실험 종료시 대조구의 생식소는 실험 시작시와 유사하였다. 0.5 mg MT/kg BW 처리구 생식소는 실험 종료 때 소엽내강에 정원세포와 정세포 그리고 정자무리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기부에 수정관이 형성되었으나, 일부 어린 난모세포들이 산재하였다. 1.0과 2.0 mg MT/kg BW처리구는 소엽내강과 기부의 수정관에 정자무리들로 가득 차 있었다. 정자는 $1.0{\sim}2.0mg$ MT/kg BW 처리구에서 얻을 수 있었다. MT 처리구의 T혈중농도는 대조구보다 2주 후부터 6주 후까지 높았으나(P<0.05), 배정이 가능한 8주째 대조구와 유사하였다(P>0.05). 11-KT 혈중농도는 MT 1.0처리구는 2주 후부터 6주째까지, 2.0 mg MT/kg BW 처리구는 2주 후부터 실험 종료 때까지 대조구 보다 높았다(P<0.05). $E_2$는 모든 실험어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Expression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A and C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s and Gastric Cancer

  • Taghizadeh, Shirin;Sankian, Mojtaba;Ajami, Abolghasem;Tehrani, Mohsen;Hafezi, Nasim;Mohammadian, Rajeeh;Farazmandfar, Touraj;Hosseini, Vahid;Abbasi, Ali;Ajami, Marya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3호
    • /
    • pp.196-203
    • /
    • 2014
  • Purpos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wth factors for metastatic tumors. To clarify the role of VEGF-A and C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 disease (PUD) or gastric cancer (GC), we evalu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two molecules. We also analyzed the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VEGF-A and C expression level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dyspepsia who needed diagnostic endoscopy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nonulcer dyspepsia (NUD), PUD, and GC, according to their end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results. Fifty-two patients with NUD, 50 with PUD, and 38 with GC were enrolled in this study. H. pylori infection was diagnosed by the rapid urease test. After RNA extraction and synthesis of cDNA, the expression levels of VEGF-A and C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VEGF-C expression level in the PUD and GC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UD group. Moreover, the VEGF-A expression level in the PUD and GC groups was higher than in the NUD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two molecules in the PUD and GC group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two molecules were higher in H. pylori positive patients with PUD or GC than in H. pylori negative patients of the same groups; however, thes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Up-regulation of VEGF-C expression during gastric mucosal inflammation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eptic ulcers or GC.

음식폐기물 처리용 혐기성 산 발효조로부터 알코올발효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cohol Fermentation Strain from Anaerobic Acid Fermentor to Treat Food Wastes)

  • 김중곤;한귀환;유진철;성치남;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51-455
    • /
    • 2006
  • 본 실험실에서는 음식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소화처리하기위해 Pilot 규모 (10톤)의 3단계 메탄 발효 공정을 개발하여 운전하고 있다. 3단계 메탄발효시스템은 반혐기성 가수분해조, 혐기성 산발효조, 혐기성 메탄발효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두 번째 공정인 혐기성 산발효조로부터 알코올발효능이 우수한 균주 KA4를 분리하였다. 세포의 형태는 타원형 모양이며, 크기는 $5.5-6.5{\times}3.5-4.5\;{\mu}m$ 이었고, 26S rDNA D1/D2 rDNA sequence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KA4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를 Y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30-35^{\circ}C$에서 최대 생장을 보였으며, 배지내의 초기 에탄올 농도가 5% (v/v)까지는 생장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생장에 저해를 받았고 7% 이상에서는 생장하지 못하였다. 한편 초기 50% (w/v)까지의 당 농도에서는 생장이 가능하였으나 잔류 당 농도를 고려할 때 에탄올 발효를 위한 최적 당 농도는 10%이었다. 이 농도의 당을 이용하여 초기 pH4에서 10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에탄올 발효가 가능하였으며 최적 pH는 6이었다 이 때 에탄올 생산량은 7.4%이었으며, 에탄올 생산수율은 2.87 mol EtOH/mol glucose이었다.

구강병원균에 대한 편백 피톤치드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Pathogenic Bacteria of Phytoncide from Chamaecyparis Obtusa)

  • 강수경;신미경;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45-55
    • /
    • 2007
  • 천연 식물 추출물을 구강 질환 분야에 활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휘발성 정유인 피톤치드를 치의학분야에 활용하고자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 GS5와 Streptococcus sobrinus 6715, 급진성 치주염에 관련된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에 대한 항균효과를 미생물학적으로 실험하였다. 흡광도 측정, 생균수 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피톤치드의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1%,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2. 피톤치드의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2%,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3. 피톤치드에 노출된 실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실험에서 피톤치드를 적용했을 경우, S. mutans GS5과 S. sobrinus 6715는 ampicillin에 대한 감수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S. sobrinus 6715의 경우는 penicillin과 amoxicillin에 대한 감수성도 피톤치드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반면,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amoxicillin과 cefotaxime에 대한 감수성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편백 피톤치드 정유는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 급진성 치주염 원인균인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살균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피톤치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포함한 구강질환에 대해 예방적이고 치료적인 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ative secretome analysis of human follicular dermal papilla cells and fibroblasts using shotgun proteomics

  • Won, Chong-Hyun;Kwon, Oh-Sang;Kang, Yong-Jung;Yoo, Hyeon-Gyeong;Lee, Dong-Hun;Chung, Jin-Ho;Kim, Kyu-Han;Park, Won-Seok;Park, Nok-Hyun;Cho, Kun;Kwon, Sang-Oh;Choi, Jong-Soon;Eun, Hee-Chul
    • BMB Reports
    • /
    • 제45권4호
    • /
    • pp.253-258
    • /
    • 2012
  • The dermal papilla cells (DPCs) of hair follicles are known to secrete paracrine factors for follicular cells. Shotgun proteom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xpression profiles of the secretomes of human DPCs and dermal fibroblasts (DFs). In this study, the proteins secreted by DPCs and matched DFs were analyzed by 1DE/LTQ FTICR MS/MS, semi-quantitatively determined using emPAI mole percent values and then characterized using 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alysis. Among the 1,271 and 1,188 proteins identified in DFs and DPCs, respectively, 1,529 were further analyzed using the Ingenuity Pathway Analysis tool. We identified 28 DPC-specific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including transporters (ECM1, A2M), enzymes (LOX, PON2), and peptidases (C3, C1R). The biochemically-validated DPC-specific proteins included thrombospondin 1 (THBS1), an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and, of particular interest, an integrin beta1 subunit (ITGB1) as a key network core protein. Using the shotgun proteomic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we selected ITGB1, IGFBP3, and THBS1 as being possible hair-growth modulating protein biomarkers.

Antiapoptotic effects of Phe140Asn, a novel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mutant in H9c2 rat cardiomyocytes

  • Chung, Hee Kyoung;Ko, Eun Mi;Kim, Sung Woo;Byun, Sung-June;Chung, Hak-Jae;Kwon, Moosik;Lee, Hwi-Cheul;Yang, Byoung-Chul;Han, Deug-Woo;Park, Jin-Ki;Hong, Sung-Gu;Chang, Won-Kyong;Kim, Kyung-Woon
    • BMB Reports
    • /
    • 제45권12호
    • /
    • pp.742-747
    • /
    • 2012
  •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is used for heart failure therapy and promotes myocardial regeneration by inducing mobiliz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to the injured hear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however, this treatment has one weakness in that its biological effect is transient. In our previous report, we generated 5 mutants harboring N-linked glycosylation to improve its antiapoptotic activities. Among them, one mutant (Phe140Asn) had higher cell viability than wild-type hG-CSF in rat cardiomyocytes, even after treatment with an apoptotic agent ($H_2O_2$). Cells treated with this mutant significantly upregulated the antiapoptotic proteins, and experienced reductions in caspase 3 activity and PARP cleavage. Moreover, the total number of apoptotic cells was dramatically lower in cultures treated with mutant hG-CSF.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an N-linked glycosylation was successful in improving the antiapoptotic activity of hG-CSF, and that this mutated product will be a feasible therapy for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heart failure.

Alaria esculenta Extract Prot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by Inducing Heme Oxygenase-1 Expression via Akt and Nrf2

  • Choi, Chun-Yeon;Jo, Guk-Heui;Lee, Jung-Im;Seo, Young-Wan;Han, Tae-Jun;Choi, Il-Whan;Liu, Kwang-Hyeon;Oh, Sang-Taek;Kim, Dong-Eun;Jang, Won-Hee;Seog, Dae-Hyun;Park, Yeong-Hong;Yea, Sung-Su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2호
    • /
    • pp.120-125
    • /
    • 2009
  • Alaria esculenta is a brown seaweed found in the Arcti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A. esculenta extract (AEE) against oxidant-mediated injury and its mode of action in RAW264.7 macrophages. The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assay showed that $H_2O_2$ treatment reduced cell viability, whereas AEE protected cells from $H_2O_2$-mediated cytotoxic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Because heme oxygenase-1 (HO-1) is known to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EE on HO-1 gene expression and HO enzyme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 of AEE against $H_2O_2$-induced injury was correlated with increased HO enzyme activity. AEE also induced HO-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s determined 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To characterize the mechanisms by which AEE induces HO-1 gene express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AEE on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E2-related factor-2 (Nrf2) and Akt phosphorylation. AEE treatment activated upstream signaling for HO-1 gene expression, including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and Akt phosphorylatio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EE has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mediated, at least in part, via the activation of Nrf2 and Akt and the subsequent induction of HO-1 gene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