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dal fi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Chelon속 (Pisces, Mugil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Chelon (Pisces, Mugilidae) from Korea)

  • 김용억;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9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전 연안에 서식하는 등줄숭어 및 가숭어의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를 알고자 그들의 외부형태를 비교 연구하였다. 등줄숭어는 주로 남부 연안에만 출현하며, 몸의 동쪽 정중선을 따라 융기연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에, 가숭어는 전 연안에서 출현하며 머리가 심하게 종편되어 두 종의 식별이 용이하다. 가숭어를 5집단으로 나누어 계측형질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집단 간에 잘 일치하였지만 군산집단만이 뒷지느러미 높이와 꼬리자루길이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등줄숭어와 가숭어는 계수형질에서 대부분 중복되어 계수형질에 의한 동정은 어렵지만, 유문수와 체측종렬린수에서 구분된다.

  • PDF

한국산 망둑어과 어류 1미기록종, Redigobius bikolanus (First Record of the Goby Redigobius bikolanu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김맹진;한송헌;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6-209
    • /
    • 2010
  • 망둑어과(Family Gobiidae)에 속하는 Redigobius bikolanus 1개체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창고천의 기수 지역에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측선 비늘수 26~28개, 측선상부 비늘수 6~8개, 측선하부 비늘수 7개, 뒷지느러미 기점에서 꼬리지느러미 밑 기점까지 4개의 점이 있으며, 암컷의 경우 위턱의 뒤 가장자리가 눈의 앞부분까지 도달하며, 수컷의 경우 위턱의 뒤 가장자리가 눈을 지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을 "점박이망둑"이라고 명명하였다.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갈치꼬치과(Gempylidae) 어류 1 미기록종, Gempylus serpens (New Record of the Snake Mackerel, Gempylus serpens (Perciformes: Gempy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명세훈;유정화;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8-181
    • /
    • 2013
  • 농어목 갈치꼬치과에 속하는 Gempylus serpens 1개체가 2013년 4월 18일 제주도 동부지역에서 채집되었다. 본종은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되어 있고 위턱에는 3개의 송곳니가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에는 각각 5개 및 7개의 토막지느러미를 가지며, 측선은 첫번째 등지느러미 제1극조에서 2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본종의 새로운 속명 및 종명으로 "세장갈치꼬치속" 및 "세장갈치꼬치"를 제안한다.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쥐치과(Monacanthidae) 어류 1미기록종, Cantherhines multilineatus (Tanaka, 1918) (New Record of Cantherhines multilineatus (Tanaka, 1918) (Pisces: Monacanthidae) from Jeju Island, Korea)

  • 명세훈;김진구;권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99-202
    • /
    • 2018
  • A single specimen (174.5 mm in standard length) of Cantherhines multilineatus, belonging to the family Monacanthidae in the order Tetraodontiformes, was first collected from northern Jeju Island, Korea, in August 2016, using a gill net.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generic species C. dumerilii by the lack of spines on the sides of its caudal peduncle (vs. two pairs of spines in C. dumerilii) and from C. pardalis in having 9-10 narrow dark longitudinal bands on the cheek and side (vs. dark brown with a network of close-set polygonal spots in C. pardalis). The species also very similar to Stephanolepis cirrhifer, but its first dorsal fin spine is more elongated than the rays of its second dorsal fin rays. We have adopted the Korean common name "Jul-mu-nui-jwi-chi" for C. multilineatus,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al of Yamada et al. (2009).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Mauritian sardinella, Sardinella jussieu (Lacepède, 1803), collected in the Banten Bay, Indonesia

  • Sektiana, Sinar Pagi;Andriyono, Sapto;Kim, Hyun-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26.1-26.9
    • /
    • 2017
  • Fishes in genus Sardinella are small pelagic speci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ine ecosystem as the first consumer. Those species are also commercially important, whose total catch reaches 278,600 tons in 2011 in Indonesia, but their identification has been difficult for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y. In this study, we reported Sardinella jussieu for the first time in Indonesian coastal area (Banten Bay, Indonesia, $6^{\circ}\;0^{\prime}\;50.00^{{\prime}{\prime}}\;S-106^{\circ}\;10^{\prime}\;21.00^{{\prime}{\prime}}\;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species by both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black spot at dorsal fin origin, the dusky pigmentation at caudal fin, 31 total scute numbers, and DNA sequence identity in the GenBank database by the molecular analysis. Its total mitochondrial genome wa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typical PCR strategy. The total mitochondrial genome of Sardinella jussieu (16,695 bp) encoded 13 proteins, 2 ribosomal RNAs, 22 transfer RNAs, and the putative control region. All protein-coding genes started with ATG and typical stop codon and ended with TAA or TAG except for ND4 in which AGA is used. Phylogenetic analyses of both COI region and full mitochondrial genome showed that S. jussieu is most closely related to Sardinella albella and Sardinella gibbosa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후기자어에 의한 매퉁이과(Synodontidae) 1미기록종, Synodus kaianus (Günther, 1880) (First Record of Lizardfish, Synodus kaianus (Synodontidae) Based on Postflexion Larv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 최시원;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9-194
    • /
    • 2022
  • Unidentified postflexion larva (18.57 mm in standard length, SL), belonging to the family Synodontidae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November 2019. Molecular analysis revealed that the unidentified larva was identical to Synodus kaianus adults in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region (Kimura-2-parameter distance, d= 0.006), and was different from the close species S. macrops (d=0.220).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features: regularly distributed seven peritoneal pigment spots along the alimentary canal; and, intensively distributed stellate melanophores at the middle of the base of caudal fin and behind the last anal fin ray.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differed from that of S. macrops in snout length and size of peritoneal pigment spot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S. kaianus in Korea, and we suggest the Korean name "Ka-i-ya-kkoch-dong-myeol" for S. kaianus, according to Lee et al. (1999).

한국산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에 대하여 (Morphological Variations in Relation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nd Smelt, Hypomesus olidus Pallas)

  • 류봉석;이경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9-188
    • /
    • 1981
  • 이식된지 50여 년간에 걸쳐 토착분포한 빙어의 분포수역과 상뜰골, 지느러미의 연조수, 비늘의 특성, 척추골, 새파수, 유문수, 형질간의 관련도 등을 비교 검토하여 분포수역에 따른 형질의 변이를 조사 비교 검토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갈이 요약한다. 1. 한국산 빙어의 주 서식수역은 파노호, 소양호, 한강, 의림지, 옥정호(운암호)이고 이들과 관련되는 유노에 토착 분포되어 있었다. 2. 빙어의 형태변이는 각 개체에 발현된 개개의 형질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 기준형에 지역적평균값을 Mosaic형으로 비교한 바 기준형에 닮았거나 차이가 심한 것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3. 서식수역별로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가승지느러미 앞길이/표준체장, 배지느러미앞길이/됫지느러미 앞길이, 안경, 부상악골, 유문수의 철, 비늘의 특성등 형질에서 심한 변이가 있었다. 4. 빙어의 지역적 형질변이중 가장 안정성을 나타난 것은 매지느러미, 등지느러미의 연조수와 새파수, 척추골수, 일종열린수, 미타고, S-D/SL이었다.5. 빙어의 비늘은 어체부위에 따라 비늘의 모양, 초점의 형태와 그 위치, 융기선의 수가 다르며, 방사선이 없다. 6.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는 소양호산과 옥정호산 그리고 한강산과 의림지산이 각각 근친적 유녹관계로 나타났다. 7.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는 탁도, 수온, 염분의 환경요소와, 이 외에 위도와 유속에도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상악골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 미추골수, 안경과 두장과의 비 등은 지리적 형태변이의 검색자료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흉상어속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및 2미기록종 (A taxonomic Revision of Genus Carcharhinus (Pisces: Elasmobranchii) with Description of Two New Recrods in Korea)

  • Youn Choi;Ik-Soo Kim;Kazuhiro Nakay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1호
    • /
    • pp.43-49
    • /
    • 1998
  •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서해와 제주도를 비롯한 국내 연안에서 채집된 흉상 어속 어류를 재검토한 결과 Carcharhinus brachyurus, C. dussumieri, C. limbatus, C. plumbeus, C. sorrah의 5종이 분류되었으며, 이 가운데 Carcharhinus dussumieri 흰뺨상어와 C. sorrah 검은꼬리상어는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흰뺨상어는 제2등지느러미만 검은색을 띠고, 검은꼬리상어는 꼬리지느러미 하엽과 제2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끝에 뚜렷한 검은색을 띠고 있어서 무태상어, 흉상어 등 국내의 기타 흉상어속 어류와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정(1977)의 C. gangeticus와 C.bracyurus는 각각 C. plumbeus와 C. limbatus임이 명백하였으며, C. limbatus에 대해서는 국명을 남방상어로 하였다.

  • PDF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 Benthodesmus tenuis (First Record of the Cutlass Fishes, Benthodesmus tenuis (Perciformes: Trichiuridae) from Korea)

  • 김맹진;최정화;오택윤;김정윤;이동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2012
  • 갈치과에 속하는 Benthodesmus tenuis 2개체(표준 체장 332.0~377.6 mm)가 흑산도와 여수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125~126개(B. pacificus는 144~155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I, 73 (B. pacificus는 91~101개), 양안 지역에 평평하며 (붕동갈치는 볼록함), 아가미 뚜껑에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양엽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세장갈치속", "세장갈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 이충렬;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7
    • /
    • 1990
  • 우리나라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는 하천 및 각 수계에 서식하는 동자개과 어류를 재검토한 결과 모두 2속 6종 즉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sp. nov., P. brevicorpus, Leiocassis nitidus, L. ussuriensis, L. longirostris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P. koreanus sp. nov.와 P. brevicorpus는 한국특산 어종이다. 지금까지 Pseudobagrus sp. 로 기재해온 눈동자개는 독립종으로 하여 Pseudobagrus koreanus Uchida로 명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