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gory of job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8초

안경사 인력 수급 및 관리제도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roposal of Control System for Supply and Demand of Korean Optometrist)

  • 김상현;임용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1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매년 증가되는 안경광학과 입학정원 증가에 따른 문제점들을 연구하였다. 주된 문제는 안경사 인력의 과잉공급과 열악한 근무환경에 기인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경사 인력의 수적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관계자 모두의 공통된 정책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 또 보건의료 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정확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인력개발을 담당할 상설기구와 중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안경사 인력의 질적 불균형의 해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직무 영역을 설정하고 전문교육과정을 재편하며 국가고시 실기평가의 방법을 구체화하며 보수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혁신해 가야 한다.

  • PDF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 현미숙;조혜진;이미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8-53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communication skills and o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Methods: From March 11 to November 11,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hospital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Outcomes were measured at three time intervals; before, three and six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urses'communication skills but not i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None of the participants' general categories influenced nurses'communication skills at pre-test, but age, education level, total years of working and work depar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scores at 3 and 6 months. Work department was the only category for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at pre-test, and education level and work department were relat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at 6 months.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is program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for nurses and also,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especially for nurses under 25 years of age. Thus nursing and hospital managers should provide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s to new nurses in their job training.

XML based on Clustering Method for personalized Product Category in E-Commerce

  • Lee, Kwon-Soo;Kim, Hoon-Hyu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118-126
    • /
    • 2003
  • In data mining, having access to large amount of data sets for the purpose of predictive data does not guarantee good method, even where the size of Real data is Mobile commerce unlimited. In addition to searching expected Goods objects for Users, it becomes necessary to develop a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XML. In this paper, we design the optimized XML Recommender product data. Efficient XML data preprocessing is required, include of formatting, structural, and attribute representation with dependent on User Profile Information. Our goal is to find a relationship among user interested products from E-Commerce and M-Commerce to XDB. Firstly, analyzing user profiles information. In the result creating clusters with analyzed user profile such as with set of sex, age, job. Secondly, it is clustering XML data which are associative products classify from user profile in shopping mall. Thirdly, after composing categories and goods data in which associative objects exist from the first clustering, it represent categories and goods in shopping mall and optimized clustering XML data which are personalized products. The proposed personalized user profile clustering method has been designed and simulated to demonstrate it's efficient.

  • PDF

패션브랜드 숍매니저로의 성장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Growth Process as a Fashion Brand Manager)

  • 김지연;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49-665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growth process as a manager based on data gathered from the sales experiences and careers of fashion brand manag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ven managers with over 15 years of sales experience in a women's clothing brand in Gwangju.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2018 to September 2018 and analyzed using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six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based on the shop manager's sales experiences and careers. Second, we found the central job category as well as categories with causality, interaction, moderating and outcome relationships. Third, we developed a paradigm model that links the main phenomena,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 categories. Fourth, the process of growing as a fashion brand manager was described by an integrated story.

비행 임무에 따른 조종사 스트레스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ilot Stress according to Flight Missions)

  • 이동호;조영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0-77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analyze the stress difference of pilot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aircraf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ilot stress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flight time, fatigue regulation, and operating environment, and it is known that stress also affects cardiac variabilit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tress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through airline pilots and pilo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n tested the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airplane pilots and helicopter pilots. This study differs in that it is a study that has almost no empirical research on pilot fatigue and stress considering the role of flight crew members and operational conditions for each mission. If we expand and verify the sample of the results for the stress difference in the future, it will be a great contribution to practical aviation safety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e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place Flexibility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장욱진;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85-202
    • /
    • 2023
  • 코로나19팬데믹을 기점으로 근무방식의 전면적인 변화와 직장 유연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업원들이 근무장소와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근무제도에 대한 연구가 많은 반면 보다 넒은 의미에서의 직장 유연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본 연구는 정보통신 서비스 산업과 제조 산업의 외국계 기업과 국내 상위 50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300명을 대상으로 직장 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했다. 직장 유연성을 양적 직장 유연성과 질적 직장 유연성으로 구분하여 연구 변수를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직장 유연성의 유형 중 근무 장소, 근무 연속성과 질적 직장 유연성을 의미하는 업무 자율성과 팀워크의 경우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적 직장 유연성 유형 중 근무 시간의 경우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직장 유연성이 양적 직장 유연성에 비해 조직 몰입도 미치는 영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직장 유연성을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이다. 실무적으로는 질적 직장 유연성 확보를 위해 업무 자율성과 팀워크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 종업원간의 열린 의사소통 및 협업을 촉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조직 분위기 및 업무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요인 선정 및 적용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 장철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3-66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도시재생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지표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시행 중인 원고개 마을의 주민의견을 수렴·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지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도시재생 평가지표를 그 특성에 따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경제적 환경' 부문으로 구분하고, 1차 전문가 설문 및 MCB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 부문은 '교통 및 보행환경', '주거(주택) 환경', '안전 및 보안환경', '녹지 공간', '경관 개선', '공공 공간' 등 6개 요인이 선정되었으며, '사회적 환경' 부문은 '주민 참여', '공동체 활성화', '지자체 및 지원센터 역할', '주민 교육' 등 4개의 요인, '경제적 환경'부문은 '지역경제 활성화', '경제기반 환경조성', '일자리 창출' 등 3개의 평가요인이 선정되었다. 다음으로 선정된 평가요인을 2차 전문가 설문 및 AHP 분석을 수행하여 종합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도시재생 평가요인 가운데 '주거(주택) 환경'이 0.108로 가장 높은 가중치 값을 가지며, 다음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참여' 가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원고개 마을의 주민의식을 분석한 결과, '주차환경', '노후주택 및 생활환경 정비', '마을 및 사회적 기업을 조성할 수 있는 환경조성', '상가 및 업무환경 개선', '기존 상권 유지 및 활성화', '가내수공업, 부업 등 소규모 지역경제 활성화' 등이 종합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아 중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고개 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을 개선하기 위해선 공가 및 폐가, 유휴지 등을 활용하여 공용주차장을 조성하거나, 마을 내 위치한 학교운동장을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등의 주차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협동조합과 연계하여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주민활동을 통해 생산된 제품을 주변시장에 판매하는 등의 경제적 활동을 장려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행위 기준에 따른 치과위생사 직무 타당도 평가 (Evaluation of Dental Hygienist Job Validity according to Judgment Standard of Medical Practice in Medical Law)

  • 배수명;신선정;이효진;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57-366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직무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검토하여 향후 치과 팀 내 치과진료업무를 효율적으로 분담하고 직무에 따른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의료법에서 의료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에 따라 치과위생사 직무의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0일부터 20일까지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의 12명 교수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직무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 직무가 질병예방과 치료, 환자요양지도, 보건 위생상 위해 발생 여부의 의료행위 판단기준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전문가 일치율을 산출하였고, 각 행위를 의료행위 타당성 평가기준에 따라 점수화하여 level 1~4로 최종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0% 이상이 치위생 관리에 포함하는 치은출혈, 치주낭, 임상적 부착수준 측정 및 기록과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스케일링, 칫솔질 및 구강 관리용품 처방, 교육을 포함한 대상자별 구강보건교육과 치료 후 주의사항에 대한 상담이 세 가지의 의료행위 판단기준에 모두 해당된다고 응답하였다. 치과위생사가 치과임상에서 수행하는 행위는 의료행위 판단 기준에 따라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고, 범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수행난이도가 높고,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직무로 판단할 수 있다. 치은출혈, 임상적 부착수준, 치주낭 측정 및 기록과 치면 연마,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스케일링, 치근활택술, 국소적 항균제 적용의 항목은 최종 점수 4.3으로 수행난이도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Level 4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치과진료현장에서 환자의 안전과 건강권을 보장하면서 효율적으로 진료를 분담하기 위해서는 수행 행위에 따라 필요한 지식의 수준과 적절한 교육, 자격 기준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개발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가자의 특성과 교육효과 (Participant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ffects for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Training Courses)

  • 강대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35-82
    • /
    • 2014
  •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50대와 40대의 대졸수준의 도시출신으로 농업분야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다수로서, 월 200-300만원미만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주로 남성이 농사지식, 개인적능력개발, 담당업무처리능력 개발 목적으로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이버교육이나 농업에 대한 선행학습경험이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고, 학습양식은 구체적-순차적형, 두 가지 이상 복합형이 많았다. 사이버 농업기술교육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나 학업성취는 우수하고, 내용구성이나 현업적응도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이며, 운영지원과 영향력, 학습과정은 보통수준이었다. 한과목이하 이수집단보다 두과목이상 이수집단이 영향력 평가가 긍정적이었고, 수료증과정과 공개과정 모두를 이수한 집단이 공개과정만 이수한 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과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인력의 확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공간 제공, 교육생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 system 도입,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와 사전 제시, 흥미유발과 지원을 도울 사이버 튜터 및 인터넷 전화 활용을 제안하였다.

초임부의 교육 요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ion of Primigravida during the Antepartal Period)

  • 전영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7-202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need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primigravida during the antepartum period.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obtain data needed to develope educational programs and to improve the nursing quality for antepartal clients. The subjects were 106 primigravida who attend antenatal clinic at 3 general hospitals in the Seoul area. The data was gather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 of 71 items,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rom May 4 to June 3, 1998. Results found a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aged 25-29 years(73.6%), college graduates(61.3%), jobless(68.9%), had no religion(38.7%), attended antenatal clinic regularly(91.5%), duration of pregnancy was 38-39 weeks(49.06%), pregnancy was planned(67%), and 42.5% have had some sort of prenatal education. 2. Over all level of educational needs was relatively high(Mn. 3.97) but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of average level(Mn. 3.01). Therefor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P=.0001). 3. The educational needs by category, the highest need was on birth preparation(Mn. 4.18), self care of the mother and infant care(Mn 4.10),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Mn. 3.79), the lowest was care of discomfort(Mn 3.66).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on postpartum self care(Mn 3.15), but the lowest was infant care(Mn 2.84).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ion by categories was significant(P=.0001). 4.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needs and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primigravida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 1) Educational needs of minor discomforts area were significantly high among age of 25-29(P=.0108), and over 35 years of age, was satisfied on preparation of labor & delivery, postpartum self care (P=.036, .02). 2) With regard to different level of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es had higher educational needs on discomfort care and postpartum self care(P=.0014, .014). College graduates have had higher educational needs on health maintenance(P=.008) and were more satisfied on preparation of birth(P=.0025) 3) With regard to whether pregnancy was planned or not, no difference was found on educational needs. But the levels of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planned pregnancy(discomfort care P=.0454, birth preparation P=.0256, postpartum self care P=.0092). 4) with regard to antenatal education, those who have had some sort of antenatal education, educational needs on birth preparation(P=.0345) was significantly high. And also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every category(P=.0004-.0001). 5) No difference was found on educational needs or level of satisfaction by Job, religions, regularity of antenatal care and complication of pregna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