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 report form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32초

응급실에서 전원된 급성기 근골격계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침치료의 효과: 증례보고 (Effects of Acupuncture on Acute Musculoskeletal Pain Transferred from Emergency Department: Case Report)

  • 노승희;김유리;김건형;이창형;류지호;김재규;이병렬;양기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0권5호
    • /
    • pp.235-246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patients with severe acute musculoskeletal pain transferred from emergency department(ED). Methods : Three patients were transferred from ED of western medicine, and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s composed of acupuncture mainly and cupping, herbal steaming, and herbal decoction additionally. Results : All patients showed pain-reduction and relaxation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immediately after the first acupuncture treatment. In cases 1 and 2, the pain numerical rating scale(NRS) decreased after the day of admission from 8 to 4 and 10 to 2, respectively. In case 3, pain NRS also gradually decreased from 8 to 4 after three days. Conclusion : Acupuncture was effective for immediate pain redu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musculoskeletal pain transferred form ED.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confirm the immediate pain-reduction effect of acupuncture on acute musculoskeletal patients visiting or transferred from ED.

개구장애 환자에서의 감별진단, 파상풍 환자의 증례보고 (Case Report; Tetanus, Differential Diagnosis with Trismus)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117-121
    • /
    • 2011
  • 파상풍은 손상부위에 Costridium tetani 감염으로 발생하는 근육의 경련성 마비와 근육의 통증, 및 자율신경계증상을 동반하는 치명적인 신경학적인 질환이다. C. tetani는 오염된 상처에서 산소부족 상태에서 임상적 파상풍으로 발생하며, 상처의 크기보다는 혈액과 산소의 공급장애에 의해 발행한다. 파상풍은 전신형, 국소형, 두개형 신생아형으로 분류되며 잠복기는 보통 7일이다. 파상풍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은 근육의 지속적인 경련과 경직이며, 안면근 경련으로 인해 경련미소나 등쪽의 경련 지속으로 인해 활모양강직이 나타난다. 파상풍 환자의 75%가 안면부 근육에 증상 즉, 개구제한을 보여 초기에 치과로 내원 할 가능성이 높다 본 증례에서는 손상후에 개구제한을 주소로 본과로 내원한 환자가 파상풍으로 진단됨에 따라 이 환자의 증례를 살펴 파상풍으로 인한 개구 제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 병변) - 증례 보고 -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s Lesion) - A Case Report -)

  • 신봉경;조현득;염범우;최종상;김철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8-182
    • /
    • 1999
  • 저자들은 18세 남자 환자의 우측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Nora 병변)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사선 소견상 비교적 경계가 좋은 석회화 병변이 하부 대퇴골의 피질 표면에 붙어 있었으며 병변은 넓은 기저면을 갖고 있었다. 대퇴골의 변형은 없었고, 병변과 대퇴골간의 골수강의 연결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병변은 연골, 골 및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연골은 세포밀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과염색증이나 다형성세포는 없었다. 불규칙한 골과 연골간의 경계와 연골내 골화를 보였다. 골소주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고 배경 기질에서 방추형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학적 비정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병변은 일종의 이소성 골화로써 반응성 병변으로 간주되며,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으로 골육종이나 연골육종과 같은 악성 병변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승모판치환술 후에 발생한 아미오다론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훈군 -1례 보고- (Amiodarone-Induced ARDS after MVR -A case report-)

  • 이기복;김응중;지현근;신윤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94-598
    • /
    • 2002
  • 아미오다론은 일반적인 항부정백 약물로 잘 치료되지 않는 상심실성 부정맥이나 심실성 부정맥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요오드화된 벤조푸루란 유도체이다. 아미오다론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게서, 속발되는 수술적 치료는 흔히 동반되는 과정이지만, 애석하게도 아미오다론으로 수술중과 수술후에 야기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서 정확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일부 보고들에 따르면, 아미오다론으로 치료받던 환자들에게서 알파 교감 수용체와 베타 교감 수용체에 차단을 야기하고, 이는 수술후 혈역학적 지지에 더 많은 심근 자극과 에피네프린등의 약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심각한 사망률과 유병율을 야기하는 아주 심각한 형태의 급성호흡부전증을 야기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교실은 승모판막치환술 후에 아미오다론으로 인하여 유발된 급성호흡부전증으로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간략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위주의 한방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폐암 환자 2례 (Two Cas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Base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Chemotherapy)

  • 권은미;정의민;김경석;이수경;최원철;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20
    • /
    • 2009
  • Lung cancer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throughout the world.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is the most deadly form of lung cancer.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re often found to be unavailable for operation at primary diagnosis. They are typically given conventional chemotherapy. When the tumor progresses during chemotherapy, a change in regimen is considered. The average period of administration differs with the regimen. In this case report, the authors introduce two cas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based herbal medicine along with pemetrexed($Alimta^{(R)}$) and erlotinib($Tarceva^{(R)}$). The authors report this case because these molecular-targeted agents were used for longer periods than expected, while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other symptoms. Further studies illuminating the synergistic effects through conjunctive treatment with both conventional and Eastern medicine in lung cancer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

박리성 벽내성 식도 혈종 - 1예 보고 - (Dissecting Intramural Hematoma of the Esophagus - A case report -)

  • 최진욱;이성수;최호;문종환;정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82-786
    • /
    • 2008
  • 박리성 벽내성 식도혈종은 Mallory-Weiss syndrome 또는 Boerhaave's syndrome 같이 잘 알려진 급성식도 손상과 달리 매운 드문 질환이다. 이 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주로 중년 여성에서 발병하지만 아직 정확한 병인론에 대해서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3대 증상으로는 흉통, 토혈 그리고 연하곤란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박리성 벽내성 식도 혈종은 수술이 필요한 식도 질환과 구분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인 내과적인 치료로도 예후가 양호하기 때문이다. 본 증례는 4일 동안의 흉통 및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36세 여자 환자로 여러 가지 검사상 식도 점막하 종양으로 판단되어 흉부외과에 의뢰된 환자로 수술 후 박리성 벽내성 식도혈종으로 진단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얕은 하복벽동맥 천공지 피판을 이용한 유방 재건술 - 2예 보고 - (Case Report of Breast Reconstruction with SIEA Flap)

  • 이민영;엄진섭;이택종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56-60
    • /
    • 2010
  • Purpose: Breast reconstruction with abdominal flap has many advantages. However, it might cause abdominal complications such as bulging or hernia. SIEA (Superficial inferior epigastric artery) flap is the most advanced form of abdominal flap which has no adverse effect on abdominal fascia. We report 2 cases of breast reconstruction with SIEA flap with reference review. Methods: From Jun 2006 to Jan 2009, 110 patients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with free abdominal flap. We tried to find the SIEA in every cases and adopted SIEP flap if the diameter was larger than 1mm and it had visible pulsation. 2 patients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with SIEA flap. After design of abdominal flap SIEA was investigated with portable Doppler. SIEA was usually found 4-5 cm lateral to the midline. Flap was elevated with SIEA and SIEV to their maximal length at hiatus. Result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hematoma, and necrosis of flap. In both cases, flaps survived completely with excellent vascularity and breast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In one case, there was skin necrosis of mastectomy flap, and it was heal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Conclusion: With the SIEA flap, donor site morbidity can be minimized along with reduction of operation time. If there is reliable SIEA, SIEA flap would be the preferred skill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e SIEA flap is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SIEA. The reason for less availability of the flap in Korea might include high prevalence of the Caesarian section scar and relatively higher level of the lower margin of the flap.

  • PDF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Brodie 농양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소파술 - 증례 보고 - (Endoscopic-Assisted Curettage of Brodie Abscess in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구정회;조형래;박만준;최승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38
    • /
    • 2007
  • Brodie 농양은 빈도가 흔하지 않고, 독성이 적은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아급성 혹은 만성 골수염의 국소형으로 소아나 청소년의 하지 장골 특히 경골의 골간단과 골단 부위에 호발하나 성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시 병변의 위치가 근위 경골 골간단 후방에 위치한 경우 개방적 소파술로는 병소 접근이 어렵고 신경 혈관 손상 및 주위 조직 오염의 위험성이 있다. 본원 정형외과에서 48세 남자에서 발생한 경골 근위부 골간단 후방부의 Brodie 농양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사용하는 표적 기구(Rigid fix system, Mitek, Johnson & Johnson, Norwood, MA)를 이용하여 병소에 손쉽고 정확하게 삽입구를 만들어 내시경 시야 하에서 염증 및 육아 조직을 제거하여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석회화 치원성 낭종의 치험례 (A REPORT OF CALCITYING ODONTOGENIC CYST)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완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3호
    • /
    • pp.185-193
    • /
    • 1992
  • The calcifying odontogenic cyst was identified as a pathological entity by Gorlin & his associates in 1962. This lesion is one of the rarest and most disputable cysts in the oral region. The calcifying odontogenic cyst has variable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We review the previous literatures and report 2 cases of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yung-Hee University. The 1st case was as follows. The patient vas 22 year old female. The past dental history revealed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73 tooth about 15days ago. She complained a painful swelling on the lower anterior teeth area. There were chin and vestibular swelling on the lower anterior teeth area, tenderness and missing of #33 tooth. The radiograph revealed well-demarcated unilocular radiolucency containing radiopaque calcific flecks around impacted #33 tooth. The clinical diagnosis was COC, so surgical enucleation was done. There was no recurrence and COC was confirmed by pathologist. The second case was as follows. The patient was 72 year old male. The past history revealed inactive tuberculosis, bronchial asthma and denture construction. The chief complaint was rapidly growing mass on the lower left anterior edentulous area. The clinical findings were chin swelling protruding mass with surface ulceration, fluctuation and a few bloody fluid in aspiration. The radiograph revealed well-demarcated radiolucency mimiking the residual cyst. The biopsy result was COC. The surgical excision was done, but the lesion was recurred 10 months later. The treatment was surgical excision with aggressive peripheral bone grinding and FTSG form groin area. There was no problem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 PDF

위치이상 치아의 치은 성형을 동반한 심미적 보철수복 (Esthetic restoration of malpositioned anterior teeth by tooth shape and gingival contour modification : a clinical report)

  • 김자영;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2호
    • /
    • pp.143-149
    • /
    • 2015
  • 전치부는 심미적인 관점에서 치열 및 연조직과의 조화가 매우 중요하다.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인 치료는 술 전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이 필수적인데 술자는 특히 치관부 크기의 적절한 비율과 치은 형태의 대칭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만약 치은의 형태가 비심적이고 부자연스러운 경우에는 치은 절제술, 골삭제를 동반한 치관 연장술, 교정적 정출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관의 형태 및 위치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술 전 진단 모형 및 왁스 업을 통해 교정 치료나 완전도재관, 라미네이트 베니어 등의 심미적 보철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 본 증례들에서는 치아의 위치 이상과 연,경조직의 부조화를 가진 전치부를 교정 치료 및 치은 성형과 심미적 보철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