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s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초

의류산업에서의 패션전문직종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Fashion Careers in the Apparel Industry)

  • 이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41-58
    • /
    • 1996
  • To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ashion careers in apparel industry and to present a activation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a specialty de-partment.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with the library survey method, and 20 apparel enterprises have been researched with the questionaire and inter-view method. These were large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division of fashion careers have been found insufficient on apparel enterprises in Korea. 2. Textile specialists have been needed on apparel enterprises in Korea. 3. Domestic enterprises have dropt out man-agement 4. These enterprises are negative for the consumer research and fashion information col-lection. 5. Fashion sepecialists have been found insuf-ficient on retail division, The propositions for activation of fashion careers are as follows: 1. Fashion careers should subdivide and specialize. 2. The apparel enterprises should employ textile designer. 3. The apparel enterprises should activate practical department. 4. The apparel enterprises should research consumer and collect fashion information. 5. The apparel enterprises should develop fashion specialists on retail division.

  • PDF

최적일치법을 이용한 남녀간 직업 배열의 분석 (Analysis of Gendered Job Sequence through Optimal Matching)

  • 한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149-17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내 직업경력의 유형을 찾고자 최적일치법을 이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직업경력 분석하였다. 남성과 여성은 직업경력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남성의 경우 공백이 거의 없이 직업경력이 이어지는 반면, 여성은 직업경력이 일찍 종결되거나 상당한 공백을 두고 경력이 단절되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의 경우 경력의 공백이 생기는 경우는 농업직으로부터 기타 직업으로의 이동에 국한된다. 최적일치법과 집락분석을 결합하여 남성과 여성의 직업경력을 유형화한 결과 남성은 직업별로 유형 구분이 잘 되어 나타나는 반면, 여성은 주로 경력의 지속기간에 의해 유형이 구분된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직업경력이 단절되며, 이는 가사와 육아의 부담, 그리고 여성의 경력을 지속하는 데 대한 사회적 차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Interrupted and the Child Care of Married Women)

  • 엄경애;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1호
    • /
    • pp.21-40
    • /
    • 2011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areer interruption of highly-educated housewives, their experiences of caring for their children after career interruption,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reemployment.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graduated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older than 2 year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enty-nine participants.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he belief system that career and maternal roles are not compatibl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ossessed a certain motherhood ideology, so they gave up working in order to care for their children, deferring their careers for a while. The participants had ambivalent feelings about working mothers, and described their children by highlighting their negative aspects.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istent conflicts about developing their careers and caring for their children during thei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participants seemed to possess a vague sense of hope about their care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were ambiguous in the past, present, and even in the future.

119 구급대 구급차 교통사고 현황 분석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 이정호;신동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the occurrence status of emergency vehicles traffic accidents and contents of the experience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in fire sta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51 EMTs in fire stations in 6 cities provinces from February 9, 2017 to February 27, 2017. Results: Of 451 EMTs, 207 (45.9%) had traffic accidents experience. Regarding environment-related features, results indicated hour (12~18 hours), place (national highway), traffic flow (smooth), weather (clear), season (winter), and day (Friday). Regarding correlation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pursuant to general features of accident-experienced drivers as a human fac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ruitment, driving careers of regular cars, driving careers of fire engines, and cla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e-fighting careers. Accident experience in the group with careers over 6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Efforts to expand fire engine driv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vehicles are required.

과학 관련 직업과 진로 교육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s and Career Education)

  • 송나윤;박선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7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 교육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 수업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들이 제시한 과학 관련 직업에는 과학적 직업뿐만 아니라 과학을 활용한 직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하였다. 교사가 제시한 과학 관련 직업 중에서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보건·의료직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설치·정비·생산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과학 관련 직업에 필요한 능력으로는 일하는 데 필요한 기능, 일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며, 사회와의 공존은 직업의 종류와 무관하게 대부분 직업에서 가장 낮았다.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교사가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을 2~4차시 운영하는 그쳤으며, 일반 과학 수업에서도 과학 관련 진로 교육 운영에 할애하는 시간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상황에서는 8시간 이상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운영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상당수 나타났다.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이나 일반 과학 교과 수업 상황 모두 강의법이나 토의·토론법, 자율학습법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유학기제 상황에서는 자원기반 학습이 다른 수업 상황과 비교했을 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때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미디어 자료를 많이 활용하였고,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은 예상보다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과학관, 전시관 등에서 배포한 자료를 활용하거나 교육부 지원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 중심의 과학관련 진로 교육을 실행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관련 직업과 진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Higher Education, Productivity Revelation and Performance-pay Jobs

  • BAEK, JISUN;PARK, WOORA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4호
    • /
    • pp.65-80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bsequent careers of high school and college graduate workers based on a direct role of college graduation with regard to the revelation of workers' individual abilities. Using NLSY79, we documen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ff-the-job training/performance-pay jobs and ability for high school graduates at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less prominent for college graduates. Moreover, we show that high ability is associated with more jobs, which reflects higher job mobility, only for high school graduates. We argue that these patterns are the result of productivity-revealing behavior of high school graduates, whose individual abilities, unlike college graduates, is not observed precisely at the beginning of their careers.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Analyzing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 Social Network Approach)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5-216
    • /
    • 2015
  •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 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Is Asia a choice for careers in Innovation?

  • Ramakrishna, Seeram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권2호
    • /
    • pp.133-147
    • /
    • 2012
  • Asia is becoming a stronghold for innovation careers along with its resurgence i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renas. This transformation happened on the backdrop of growing enrolments in higher education, increasing investments in scientific research & innovation, and innovation supportive policy measures by several Asian coun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nd product customization centr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sited in emerging nations are also instrumental in this transformation.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요육실기교사의 스트레스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tress Level of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Responsibilities in Special School Setting)

  • 정태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4권1호
    • /
    • pp.69-7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grasp the special school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stress degrees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s, and to campare the different stress degrees by the teaching responsibilities, by set by age, by the careers of special teaching profession, by his or her assiduity by the academic careers and teacher qualification, and by the reasons of stress. To perform this survey, the writer analyzed the answer sheets of the questionnairs returned by 85 special school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value of stress by the whole teachers was shown as endurabl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stress towels by the teaching responsibilities. As for the ratio of teachers confronted with the dangerous level of stress. the teachers taking charge of feebleminded school teachers the highest ratio, and those charging of deaf & dumb school teachers, the lowest. Second, the comparison by age didn't result in any difference, but in the relation of age to the handicap division there appeared meaningful differences. That is in the case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theachers charging of crippled school, it revealed that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stress they suffered. In the case of the teachers charging of visually deaf & dumb school the tendency was opposite. The comparison by the special teaching profession careers, there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tress degree. The high or low academic careers didn't make any influence on the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stress degree. Third, The revealed on the highest stress degress, because reasons of relation the student's parents with students behavior.

  • PDF

과학영재교육경험이 개인의 성취정도와 진로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ffects on Achievements and Careers of Secondary Science Gifts Education Experience)

  • 김연희;조갑룡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63-7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속의 영재교육원을 수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과학영역 영재교육원에 입학한 중등영재 7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고 Giorgi 분석방법으로 현상학적으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에서 7개 중심의미와 2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진로면에서는 5개 중심의미와 11개의 주제를 규명하였다. 영재학생들의 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과 진로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학생들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토대로 앞으로의 영재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