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conten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5초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

  • 노현철;김경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51-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및 진로교육을 위한 상호 연계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기업가정신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기업가정신 변화차이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의 모든 요소가 진로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전과 후의 변화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의 유의한 변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있어 보다 학생의 참여와 체험중심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부처 내에 기업가정신 교육 협의체 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자 참여하여 조정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업가정신 교육, 진로교육이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될 경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the Refresher Training of Physical Therapist in Gwangju and Jeonnam

  • Yu, Seong-Hun;Kim, Seung-Rae;Cho, Sung-Hyoun;Jang, Il-Yong;Hwang, Jin-Ah;Kim, Yong-Seong;Kim, Hyun-J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3호
    • /
    • pp.165-175
    • /
    • 2016
  • Purpose: The current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tinuing education of physical therapist in Gwangju, Jeonna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continuing education of physical therapist held in Gwangju in 2015 with 297 participant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 questions on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 7 question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11 questions regarding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8 qu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continuing education. Results: As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of continuing education,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respondents' age and career period. Regar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continuing education was provid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respondent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monthly pay, career period, and service period. Regar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xpense in which continuing education was provid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respondents' sex,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dependent family, monthly pay, career period, and position. In ter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method in which continu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respondents' age, education, and career period. Conclusion: The survey fou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to be average among physical therapist in Gwangju and Jeonnam. In addition, as for ways to take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for those who have never taken it, online education was mentioned the mos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dvertising online continuing education.

결혼이주여성의 진로활동에서 자기효능감의 역할 (Role of Self-efficiency in the Career Activiti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남혜경;이미정;김진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31-139
    • /
    • 2016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진로활동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에서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를 계속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진로목적과 진로장벽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유무에 따른 결과이다. 첫째, 진로목적에서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계속적인 진로를 수행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가지며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근접한 하위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개인의 진로를 계속하지 못하거나 느려질 가능성이 커진다. 둘째, 진로장벽에서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극복대상으로 여기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 진로장벽에 대처할 적절한 전략을 찾지 못하고 진로장벽에 순응하여 진로를 더 행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보건학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eld Practi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Health Science Majors)

  • 남영희;이태임;오향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9-11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eld practice of health science majors on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ur country in an effort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0 selected health science majors in three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10, 2016. As for statistical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was used. Results: The factors of the field practice of the health science majors that affected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the career of people in charge(${\beta}=.145$, p-.034) and the content of field practice(${\beta}=.233$, p=.015), which were the factors of the institution for field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 charge and trainees(${\beta}=.299$, p=.008) and satisfaction with field placement(${\beta}=-.262$, p=.013) that were the factors of field practice tasks were also influential.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stitutions that provide health science majors with the opportunity of field practice should t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people in charge, to ensure the substantiality of field practice in content and to develop standardized manuals for field practice. In schools,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field practice should offer intensive guidance and feedback on problems with field practice.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elevat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 PDF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관여행동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 이정희;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61-8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일 대학의 멀티미디어콘텐츠 관련 전공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척도, 진로관여행동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를 설문조사하였고, 총 44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둘째,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멀티미디어콘텐츠전공 대학생들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적응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성격강점의 개발과 함께 진로관여행동을 늘리는 것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 신세인;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6
    • /
    • 2016
  • 이공계 진로동기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하며, 과학학습동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데 있다. 검사도구 개발의 첫 번째 절차로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에 기초하여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의 7개의 구인인 교육, 직업가치, 이공계 교과 자아효능감, 이공계진로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에 대한 흥미, 부모의지지, 이공계 진로 동기로 설정하였다. 각 구인들을 측정할 수 있는 예비문항의 개발 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767명에게 투입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라쉬모델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바탕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Messick(1995)이 제안한 6가지 측면의 타당도 중 내용 타당도, 실제적 타당도, 구조적 타당도, 일반화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이공계 진로동기의 구인간의 연결 구조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는 고등학교 1학년 직업진로지도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유형별 특성 (Career decision profiles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 정영미;정연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0-16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for nursing students and analyze their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career decision profil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content analysis. A total of 21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private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in person and via email between December 8 and 31, 2020. Results: The decidedness and comfor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undecided-uncomfortable, decided-uncomfortable, decided-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Mo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decided-uncomfortable, followed by decided-comfortable, undecided-uncomfortable, and undecided-comfortable. The self efficac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and decided-uncomfortable profiles. The mean adaptability scores were higher for the decision-comfortable profile than for the undecided-comfortable profile. Career barri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paration behavio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while preparativ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ability. The mean career barriers,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sc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profiles. The mean career barrier score was higher for the undecided-uncomfortable than for the decided-comfortable profile; preparation behavior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ailored career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interest are needed for freshmen and senior nursing students to reduce career barriers and to improve preparation behaviors,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adaptability.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 인식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 of HR Practice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 송민영;김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53-464
    • /
    • 2019
  • 본 연구는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독립변수인 교육훈련제도와 평가보상제도,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간의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 모형을 실증하기 위해 보건의료업종의 근로자 442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평가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성은 교육훈련제도 인식도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관리하는데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그 관리 방법으로서 조직 내 인사제도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충분히 검토하여 제도 설계와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 강혜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