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검색결과 2,181건 처리시간 0.026초

상선승무원들의 질병실태 조사 (Investigation into Occupational Disease of Merchant Crew)

  • 김재호;장성록;문성배;하해동;양원재;이상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51-559
    • /
    • 2006
  • 상선승무원들의 승선근무로 인한 질병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승선근무로 인해 발생되는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1049명의 상선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12개월 동안 승선 중 당직근무에 지장을 받을 정도의 질병을 경험한 선원은 69.0%였으며, 질병경험분포에 유의성을 나타낸 변수는 연령(p<0.05), 소득수준(p<0.01), 승선경력(p<0.01), 직급(p<0.01), 건강인식도(p<0.01), 건강염려도(p<0.01), 피로도(p<0.01), 직업만족도(p<0.05), 휴식시간(p<0.05) 등이었으며, 질병경험은 치주질환 7.3%>무좀 6.6%>위궤양 6.4%>외상 5.3% 순이었다. 질병군별 질병발생은 근골격계질환이 17.8%로 가장 많았고 구강계질환 13.6%> 피부계질환 12.4%> 소화계질환 12.1% 순이었으며, 발생 질병의 불편기간은 31일 이상이 35.7%, 입원기간과 치료기간은 각각 7일 이하가 50.2%, 42.8%였고 의료시설 이용은 의원급이 27.9%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Analysis of Field Librarians' Employment Need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brarianship)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91
    • /
    • 2013
  •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동선임간호장교의 간호관리역량 격차분석과 원인조사 (An Analysis of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 이선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in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solutions to narrow this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need-level of each item was 4.0, and for demonstration-level, 3.5. This indicates that 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demonstrate a higher level of managerial competencies than the moderate level on all items. But items which were related to resource/ cost/ information managament, staff development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management got relatively low ratings in the need-level. 2) The mean score for need-level of each category was 4.14, and for demonstration-level, 3.53. Categorie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got a higher rating than categories on the group or organization dimension in both need-level and demonstration level. 3)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appeared in all items(p<.05) and categories(p<.001). Although the gap was relatively low, it indicates that it is essential to plan a developmemt program for all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for 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ap did not appear in many categorie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where the number of nursing staff was more than 10, a major grade, ICU head nurse or for head nurses having a long career. 5)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ecause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were higher where the number of nursing staff was more than 10, a major grade, and for ICU or Medical ward head nurses. The categories which showed need-level difference and demonstration-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isted almostly completely in the group and organization dimension. Gap-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spital bed existed in only two categories. 6) The general causes of the gap were indicated to be 'Knowledge/ skill/ experience deficit', 'Limitation of rules and systems/ Inappropriate organizational environment' for most items, categories, and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tensive competency developing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because a gap was found in all items and categories. Specially,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attention on competencies in the group and organizational dimension which had a wider gap level. And it is important to take an individual approach according to the cause for each gap.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 competency developing strategies, top managers must have s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and nursing officer's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must be achieved. Further multi-dimensional(education, personnel-policy, nurs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solutions to the gap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 PDF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 송경애;노춘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4-106
    • /
    • 1996
  • Nursing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self-concept of nurses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s to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s well as clinician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 view to exploring how nurses view themselve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 using 27 Likert items was developed by Arthur in Australia in 1990.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PSCNI using Korean samples with some modifications. A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800 nurses working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Kyonggi-do and a university hospital and a psychiatric hospital in Kangwon-do. Seven hund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by test-retest and Cronbach's alpha. Differences in the PSCNI,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were examined by t-test, ANOVA and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so as to examine component facto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SCNI was .79 and Cronbach's alpha was .85. Item correlations with total revealed consistent correlations and subscale reliability varied from .49 to .85. 2. The average score of PSCNI was 75.21 and average item score was 2.79. 3. Twenty four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SCNI 27 items and these items clustered in three component factors. The cumulative percent of variance was 38.12% and for factor 1 was 22.81%, for factor 2, 9.79% and for factor 3, 5.51% respectively 4. A comparison of the scores for the dimensions of the PSCNI shows a relative difference in terms of mean item scores and in descending order, professional practice(m=2.83), communication (m=2.82) and satisfaction(m=2.70). 5.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was found to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P=.0001), religion(P=.0001), academic background(P= .0109), marital status(P=.0001), career(P= .0001) and position(P=.0001). In conclus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nd life and work variables.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message for administrators and nurse educators by highlighting factors which can be addressed by education programs, staff development and appraisal. While the test results largely confirm the Australian and Canadian test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mulative percent of variance instead of applying Arthur's PSCNI directly to Korean nurses.

  • PDF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과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The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and the Grounded Theory of their Adjustment Process)

  • 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6
    • /
    • 2013
  •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임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교사에 의한 메모일기, 저널, 보육일지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은 어려운 인간관계, 난감한 업무, 잦은 실수의 긴장, 받았거나 받기를 원하는 도움, 경험을 통한 현장 이해와 자기 성찰, 교사로서 보람이 느껴진 순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의 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과 중재적 조건,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전략과 그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과적 조건은 업무 실수와 인간관계의 미숙함이다. 맥락은 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시간과 공간, 업무의 양과 낯섦, 구성원의 성격 특성 그리고 학부모와의 잦은 만남으로 구성된다. 중재적 조건은 초임교사 안내프로그램, 구성원의 도움과 지지, 보상, 교사의 개인성격 특성으로 구성된다. 초임 보육교사는 부정적 정서를 다루기 위해 잊어버리기, 가족이나 친구와 나누기,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도록 노력하기의 세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 사용의 결과는 성장하기, 살아가기, 이직과 전직 고려로 구성된다.

치과위생사의 이직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and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s)

  • 김지희;김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53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진료기관의 주된 근무인력인 치과위생사들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직행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3월에서 5월까지 울산 경남 지역권내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업무 환경적 특성은 진료기관은 의원이 57.5%, 병원이 42.5%였고, 경력은 1~3년이 42.5%로 가장 많았고, 이직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38.3%였으며 이직횟수는 1회가 45.1%로 가장 많았다. 보수는 130~149만원이 33.6%로 가장 많았고, 근무시간은 8~9시간이 49.5%로 가장 많으며 주된 업무는 일반진료업무보조가 70.1%로 가장 많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부적절한 보상에 스트레스가 많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직무요구에 따른 스트레스가 많았다. 이직경험에 따라서는 이직횟수와 직장문화가 관련성이 있었으며 업무환경적 특성에서는 진료기관별 직무요구와 관계갈등이, 보수에서는 관계갈등이, 근무시간에서 조직체계가, 주5일제 근무여부에서 직무요구가 관련성이 있었다. 치과위생사의 이직경험과 내부인력과의 관계갈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가 적을수록, 치과위생사의 수가 많을수록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형 치과 X선 발생장치 사용실태와 위험지각 (Perception of Risk and Using Status of Hand-Held Dental X-Ray Unit)

  • 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2-447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이동형 X선 발생장치 관련 업무 특성과 위험지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4년 7월 7일부터 31일까지 이동형 치과 X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시행하는 수도권 지역 치과병의원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동형 X선 촬영기만 보유한 치과병의원은 25.2%로 이동형 X선 발생장치 1일 10회 이상 촬영이 42.4%였으며, 75.2%는 이동이 어려운 환자, 24.8%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였고, 납 방어복은 환자의 62.6%, 술자의 81.3%가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며, 방사선 안전관리교육 경험률은 59.5%였다. 대상자의 평균 위험자각수준은 3.08점이었다. 위험자각수준은 업무경력 5년 이상 군에 비해 3~4년 미만 군은 66%, 2년 미만 군은 61% 낮았고, 방사선 촬영횟수 5회 미만군은 10회 이상 군보다 72% 낮았으며, 이동형 X선 발생장치만 보유한 군이 고정형 촬영기를 함께 보유한 군보다 3.08배 높은 위험자각수준을 나타냈다. 방사선 업무가 지속될수록 누적선량이 높아지게 되므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으로 방어하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는 응급구조사의 표준작전절차에 대한 융복합적인 인지도와 수행도 (Convergent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erving as Paramedics)

  • 황정현;이현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05-114
    • /
    • 2017
  • 본 연구는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는 응급구조사의 표준작전절차에 대한 융복합적인 인지도와 수행도를 알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는 응급구조사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SPSS 20.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융복합적인 인지도는 호흡기 감염예방 부분이 가장 높았고, 손위생이 가장 낮았으며, 수행도는 치료장비 및 직원의 안전 부분이 가장 높았고, 손위생이 가장 낮았다. 인지도가 전체적으로 수행도 보다 높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인지도는 연령, 성별, 상처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행도는 근무경력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응급구조사의 융복합적인 인지도와 수행도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는 응급구조사의 표준작전절차에 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복합적으로 높이기 위해 인지도를 선행으로 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반복 교육 시 수행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욕초기 어머니 역할획득을 위한 신생아실 간호사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Nursery Room Nurses′ Role Performance for Maternal Role Attainment of Mothers at Early Postpartum Period)

  • 이영은;박춘화;박금자;김영순;박봉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77-192
    • /
    • 1998
  •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s crucial toward in recovery from childbirth and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Maternal role attainment is a complex social and cognitive process of stimulus-response accomplished by learning. Helping for maternal role attainment is one of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Based on King's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this study was planned a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nursery room nurse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several variables of personal, interpersonal, and working system of nurses in nursery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 help maternal role attainment of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mother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nursing theo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3 to 28 by questionnaires with 273 nurses in nursery room.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parts : 21 questions for rot performance of nurse. 37 questions for personal system of nurse including 31 questions for role perception of nurse : 65 questions for interpersonal system including 63 questions for job stress of nurses , 18 questions for working system of nurse. The toos to measure role performance and role perception, and job stress of nurs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9612, 0.9058, and 0.9649.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A.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items of role performance was 2.12(SD=0.55) in Likert's 4 points scale. 2.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ole perception(p=0.0001), age (p=0.006), educational background(p=0.002) , and certificate of midwife (p=0.03)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3.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tress (p=0.0001) and numbers of children(p=0.006) amo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system of subjects. 4.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ving opportunities for baby(p=0.03), the degree of flexibility to bring baby to mother's room(p=0.046), the scope of visitor for baby(p=0.016) , the degree of flexibility of visiting for baby (p=0.049) ,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nurse in establishing visiting rules(p=0.017),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rules for breast feeding(p=0.010) ,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education for breast feeding (p=0.009),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breast feeding room(p=0.013) , concert methods for breast feeding (p=0.003), working place (p=0.0001), and career(p=0.019)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 PDF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강영숙;정자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59-2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발견하고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련의 특징적인 요소를 제안하고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Senior Club과 Senior Welfare Center를 대상으로 500 명의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70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 관계, 건강 및 경제적 요소와 같은 개인의 특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가족관계와 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잠재적인 노인인 중장년층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동안 경력개발을 위한 훈련과 교육, 사회적 지원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활동은 노년에 경제적 자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