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검색결과 2,181건 처리시간 0.028초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설계프로그램 효과분석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Design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 유효현;박귀화;김성용;임선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3호
    • /
    • pp.131-13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plann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with regard to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 total of 89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four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5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analysis of covaria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frequency by PASW SPSS ver. 18.0 (SPSS Inc.). A career planning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cont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were included in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a seminar with preferred major profess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rinsic motiva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p<0.05).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M=4.5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4.40).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isiveness (p<0.01) and realistic choice (p<0.05),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maturity test,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score of decisiv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M=2.94)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2.79). The score of realistic cho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M=3.17)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M=3.37). Most medica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areer planning program. It is hoped tha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students in medical schools.

독서토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 안인희;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09-162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세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A, 비교집단 B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을 5주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 A는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B는 교과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진로발달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 성취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신윤정;전주람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05-13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어려움 세 변인간의 구조적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2명을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 어려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결정 어려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를 진로자기조절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더 자료에 부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가족건강성이 미치는 직 간접적인영향력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진로상담시, 가족환경에 대한 탐색 뿐 아니라 진로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ading Program Applying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 송지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7-2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강승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151-16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by perform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 total of 492 engineering students(male=380, female=112) completed 3 tests.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majo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efficacy, b) majo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 career decision effica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Male Nursing Students)

  • 최은영;최미정;박상빈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344
    • /
    • 2016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on career search behaviors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barrie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and career search behaviors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the two aspects of career search behaviors as being self-exploration and environmental exploration. The rational pattern, among the types of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expression. On the other hand, dependent pattern, among th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areer search patterns.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versified approaches that consider individual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such as rational pattern and dependent pattern as well as the method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for career guidance are needed.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안민권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17, 2018 and a total of 158 ma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entrance motivation and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65, p<.001), and between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5,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a}=.64$, p<.001), and military duty planning (${\beta}=.42$, p<.0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2% of the varia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교육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or Educational Underprivileged Youth on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Career Maturity)

  • 임성민;김용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9-36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사다리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 사업에서 수행된 과학 진로체험 활동이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실천 활동의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사다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과학선호도와 진로성숙도를 조사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과학 진로 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선호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 더욱 잘 드러났다. 또한, 과학 진로체험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행동 등에서 활동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이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 더 잘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 사업에 대해 증거를 바탕으로 그 효과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의 목적 및 대상에 따라 과학 진로체험 활동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정체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ith Experienced on Beauty Education)

  • 신수정;이인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4호
    • /
    • pp.145-159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Furthermore, the aim was to seek effective measures for making a career decision for the successful re-employment of women with a break in their career. From March $3^{rd}$ to April $2^{nd}$,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0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with age between 30-50 years and with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The selected subjects had received 1-9 months of beauty education from variou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beauty academies, and wom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 total of 3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apparen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creating a relation with new career decisions for re-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in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항구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전망인식과 진로준비 고찰 (Perception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of Hangu University on Their Career Prospect and Career Preparation)

  • 안선영;이용환;양안나;금지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1호
    • /
    • pp.82-96
    • /
    • 2008
  •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환경교육과 학생의 진로 발달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그들의 진로 전망 인식, 진로 준비 과정, 대학의 진로발달지원을 이해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에게 학교를 다니는 주요한 목적은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대학의 교육은 그들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흡족하고 질 높은 직업을 제공하지 않을 때 진로 준비는 더 복잡해진다. 학부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이 최근의 전형적인 예이다. 학부 환경교육과 학생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 8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항구대학교(가칭) 환경교육과 학부, 졸업생 6명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연구 참여자 한 사람 당 $1{\sim}2$회, 1회 2시간 정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진로 전망, 진로 결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 진로 탐색, 진로준비는 개인적으로 수행되며, 학교는 많은 체계적인 진로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그들의 미래진로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에서 진로 발달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의 학부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직업 탐색 스킬의 개발에 이르기까지의 종합적인 진로 발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험적인 진로 탐색이 환경교육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들 학생들을 위한 진로 발달 지원은 대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해야 한다. 세 번째, 이들 학생들은 다른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그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