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reparation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초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력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on Job Preparation Behavior in Graduation Year Nursing Students )

  • 김경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575-585
    • /
    • 2024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work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on job preparation behavior in Graduation yea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are 4th grade students who are attending two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s in city G and 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3.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trinsic values (β=-.127, p=.122) had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Extrinsic values (β=.168, p<.001) and career adaptability (β=.415, p<.001) ha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variables predicting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career adaptability and extrinsic values. The study model accounted for 35.5% of job preparation behavior. It suggest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extrinsic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promote job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nursing and the sense of calling of nurses who perform nursing,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intrinsic values of nursing itself is also an important aspect that nursing students preparing to become future nurses must cultivate.

NCS 정보능력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CS Information Capability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Behavior)

  • 성행남;조동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9-202
    • /
    • 2018
  • Purpose As job market squeezes and more institutions have been requiring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recruitments, the importance of NCS has been growing. Among the 10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field is 'information abil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Finding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 process model explain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cap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university-level efforts, but also MIS discipline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Other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박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59-367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진로 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G도, B와 G광역시에 소재한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임의선정 및 편의표집을 통하여 450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7일부터 9일까지 참여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4.0 for Window를 이용하여, 4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고, 전공과 직업선택에 있어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및 지원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채민정;정효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222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 Study participants were 454 nursing students with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who were enrolled as members of two univers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SPSS 19.0 program. Results : Satisfaction with maj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preparation. A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foun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s :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should provide much effort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curriculum and hands-on training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and interests so that their outcomes can be connected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고영지;김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2-7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199 nursing students before getting jobs who attended a nursing vocational college in Daegu and a nursing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J city of Chungcheongbuk-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of May to the first of June in 2010. Results: The mean score was 106.76 for professional nursing values. The highest reported score of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omains was professionalism of nursing and was followed by nursing practical rol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mean score was 42.66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low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nclusion: This finding suggests nursing students have differences from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viewpoints about nursing as a professional jo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curriculum and reinforce existing education for developing of professional nursing values. Moreover, nursing education institutes should set up educational objectives related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Seeking Stress mediation effect

  • IL 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136-14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Seek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on 253 college students.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SPSS (24.0).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First, self-directed learning,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mutually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seeking stress were confirmed to be variables that affect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Third,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was found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major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loyment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outcomes and success rates of college students, their own efforts, professors, and schools must create diverse environments and develop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careers. Additionally, follow-up research must continue to supplement this.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김수현;임황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68-375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이를 위해 G 대학교 24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 자본,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의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생들을 위한 전문적인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의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정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09-17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3,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6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 2.79점(범위 1~4), 합리적 유형 3.78점(범위 1~5), 직관적 유형 3.38점(범위 1~5), 의존적 유형 3.01점(범위 1~5), 진로준비행동 3.51점(범위 1~5)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정체감(r=.40, p<.001), 합리적 유형(r=.50, p<.001), 직관적 유형(r=.22, p=.00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존적 유형(r=-.20, p=.004)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β=.23, p=.001), 합리적 유형(β=.31, p<.001), 직관적 유형(β=.27, p<.001), 의존적 유형(β=-.20, p=.002)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진로준비행동을 24.6%p 설명하였다(F=11.93,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로정체감 확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지도를 포함시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62-47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광주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황성우;차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31-14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 준비 행동 등을 조사하고,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2018년 11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전라남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 3, 4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의 간호 대학생으로부터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2.0 program (freque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취업 준비 행동 평균 점수는 2.74±0.70 (범위: 1-5) 이었다. 전공만족도, 간호 전문직관는 각각 취업 준비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업 준비 행동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 전문직관, 일반적 특성 중 성적, 취업 준비 기간 등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취업 준비 행동에 관해 21.5%의 설명력을 보였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양호할수록 취업 준비 행동을 더 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취약한 학생들을 선별한 후, 간호 전문직관, 성적 등을 향상시키고, 조기에 취업 준비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취업 준비 행동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취업 준비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반영한 취업 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