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25초

고등학생의 대학 생활과학전공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조사: 전문가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Human Ecology Majors for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Targeting Experts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경아;성지현;주수언;김승민;박소현;임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609-623
    • /
    • 2022
  • As human life and welfare become more valu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role and mission of human ecology are expanding. Therefore, a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covering all the academic fields of human ecology may be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would be needed to develop such a program, a focus group interview (FGI) targeting experts within the same field and a surve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FGI, a total of 3 categories and 7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three categories included "human ecology and high school education," "human ecology and career choices,"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human ecology." The results of the high schoolers' survey showed that they had a moderate level of awareness about careers related to human ecology majors, but their interests and known information about human ecology programs in universities were low. Within the sub-content of each major, the content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fashion product management, nutrition by disease, housing market analysis,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nd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If a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 program is implemented in the future, the most preferred type is a mentoring program by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in the field of human ecolog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about human ecology majors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xploration for Customized Career Curriculum Design

  • Do-You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69-17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at C University and to gather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 step-by-step career education curriculum and an integrated roadmap for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career education. This research involves a comparative analysis of C University's enrolled students and external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survey using the [University Career Exploration Model]. Data collection took place over one month in October 2023,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survey results enabl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es and levels between enrolled students at C University and external university students. The proportion of enrolled students at C University responding positively to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level was high. Through this stud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es and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was achieved.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systematic research for continuous, tailored integration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care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운동부 학생을 위한 기록관리 시스템 개발 관련 진로탐구 교육 방안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Students Ahtletes)

  • 유강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1_spc호
    • /
    • pp.71-7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운동부 학생들의 진로탐구를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운동부 학생들이 운동으로 성공하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우리 사회의 다른 분야에 대한 진로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기록관리 시스템 개발 관련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초·중·고등학교에서 연구되었던 진로지도 관련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4가지 단계 즉, 분석, 설계, 개발, 적용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운동부 학생들이 본인의 분야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봄으로써 더욱 흥미를 갖고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운동부 학생을 위한 진로지도에 대한 연구가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커리어 앵커 활용 초등학생 진로교육모형 구안 (The Development of a Career-Anchor Based on Career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 홍광표;박수홍;최창환;강석권;심다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79-202
    • /
    • 2011
  •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초안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쳐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최종 구안된 모형은 핵심가치, 프로세스, 지원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모형의 프로세스는 '자기 모습 찾기' ${\rightarrow}$ '커리어 앵커에 따른 학습내용 선정하기' ${\rightarrow}$ '커리어별 학습하기' ${\rightarrow}$ '부족한 커리어 극복하기' ${\rightarrow}$ '평가하기'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단계마다 학습자를 위한 활동 내용과 지원요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달리 커리어 앵커를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교육이 가능하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요소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이 손쉽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자유학기제 정책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s of Policy Research School for Free Learning Semester)

  • 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18-1333
    • /
    • 2015
  • The research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supplements in policy research middle school which has implemented free learning semester for 3 years from 2013 to now,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needed to generalize career education programs. I was required to make a specialized program which wa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school and community rather than department-store-like program. Secondly,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eemed that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uitable for second grades. Thirdly, teacher intern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free learning semester. Lastly, it was needed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through studying with expert groups.

진로교육 차원에서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탐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 가정교과-생활과학대학 전공 연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ogram to Facilitate High School Students' Search for Potential College Majors and Future Career as Career Education: Focusing on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Home Economics and College of Human Ecology Majors)

  • 전소현;김서현;고영신;정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3-75
    • /
    • 2015
  •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주어진 환경과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진로개발역량 교육을 제공해야 하지만, 학교현장의 교육은 학벌에 치중한 진학지도와 직업교육에 불과한 진로지도에 머물러 있다. 그 결과,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학습 연속성이 단절되었고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부적응과 중도탈락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교-대학의 연계를 통해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진로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과학대학 교수, 가정과 전문가, 생활과학 전공 대학생, 고교생의 협력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와 생활과학대학이 연계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 분야의 각 학문 영역별 최신이슈를 고등학생이 쉽게 접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생활과학대학 협력체가 운영주체인 본 진행하는 교수 학습 자료를 구성하였다. 넷째, 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분야 전공에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전공적합성을 확인할 기회가 될 것이다.

  • PDF

항구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전망인식과 진로준비 고찰 (Perception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of Hangu University on Their Career Prospect and Career Preparation)

  • 안선영;이용환;양안나;금지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1호
    • /
    • pp.82-96
    • /
    • 2008
  •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환경교육과 학생의 진로 발달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그들의 진로 전망 인식, 진로 준비 과정, 대학의 진로발달지원을 이해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에게 학교를 다니는 주요한 목적은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대학의 교육은 그들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흡족하고 질 높은 직업을 제공하지 않을 때 진로 준비는 더 복잡해진다. 학부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이 최근의 전형적인 예이다. 학부 환경교육과 학생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 8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항구대학교(가칭) 환경교육과 학부, 졸업생 6명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연구 참여자 한 사람 당 $1{\sim}2$회, 1회 2시간 정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진로 전망, 진로 결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 진로 탐색, 진로준비는 개인적으로 수행되며, 학교는 많은 체계적인 진로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그들의 미래진로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에서 진로 발달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의 학부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직업 탐색 스킬의 개발에 이르기까지의 종합적인 진로 발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험적인 진로 탐색이 환경교육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들 학생들을 위한 진로 발달 지원은 대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해야 한다. 세 번째, 이들 학생들은 다른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그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 PDF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 이혜숙;김유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33-50
    • /
    • 2009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PBL(문제중심학습)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 기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아동들의 발달 특성 및 요구분석을 거쳐 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수행목표를 진술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인 PBL 문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각 영역별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발표에 대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21개 회기로 구성되어 초등학교 5학년에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요인(계획성, 성향, 타협성), 진로능력과 진로능력의 하위요인(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각 영역별로 제시되는 PBL 문제를 팀을 이루어 해결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다양하고 질이 있는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의사결정능력의 향상,모둠원간의 활발한 상고작용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있어 자율적인 학습태도와 주체의식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하고 개발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최혜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89-301
    • /
    • 2017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n the career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nsidered.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size between the sub-groups regarding dependency variables, types of disabilities, types of schools, number of people, and number of sessions was also included for analysis. For this, the author reviewed a database and analyzed 12 previous studies, presented in five master thesis and seven Korean journals from 2005 to 2015 based on the author's selection criteria. Subsequently, 27 effect size was found. The publication bias was analyzed by Rosenthal's fail-safe N.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on the random effect model was 1.717, which was positive and high in value. Given the heterogeneity among the effect size, the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dicated that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high when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related to the student's self-decision abil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grams were specifi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the schools were elementary, when the number of students in a group was 1-10, and when program sessions lasted more than 21 times, the effect size was high. Implic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ication were discussed on these findings.

대학생의 진로상담프로그램 실시전후의 진로성숙도 차이검증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verification)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75-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진로 성숙도차이 검증을 통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태도성숙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는 진로태도성숙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확신성과 독립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