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vascular dysfunction

Search Result 3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rostate Cancer and Metabolic Syndrome: Is there a link?

  • McGrowder, Donovan A.;Jackson, Lennox Anderson;Crawford, Tazhmoye V.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12
  • Metabolic syndrome has become quite prevalent within our societ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has sharply increased worldwide and it has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several countries. It is associated with the global epidemic of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and imposes numerous cardiovascular risks. Prostate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among men, surpassed only by non-melanoma skin cancer. A considerable body of evidence exists suggesting that som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rostate cancer. These components include obesity, an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hyperinsulinemia.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ADT) is the most wide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prostate cancer. It changed the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of men with prostate cancer. Androgen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increas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and increased thickness of the arterial wall and contributes to endothelial dysfunction.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rostate cancer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androgen deficiency in men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use of PubMed from 1980 through 2011, and relevant articles pertinent to metabolic syndrome and prostate cancer are evaluated and discussed.

Role of Recombinant PnTx2-6 Protein as a Mediator of Vasodilation in Blood Vessels

  • Park, Seung-Won;Kim, Seong Ryul;Goo, Tae-Won;Choi, Kw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5권1호
    • /
    • pp.39-44
    • /
    • 2017
  • The venome of Phoneutria nigriventer spider has been shown to have side effects including severe painful erections that last for hours. PnTx2-6, a toxin from P. nigriventer spider venom, modulates voltage gated $Na^+$ channels and activ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NO is essential for the regulation of blood flow and pressure. Therefore, PnTx2-6 is expected to be effective not only for erectile dysfunction but also for cardiovascular diseases. A previously has reported cDNA clone for PnTx2-6 toxin, which was expressed in E. coli cytoplasm. We created the same clone and expressed it in a bacterial expression system. PnTx2-6 increased the genes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1, glutathione peroxidase 1, and sulfiredoxin 1. We hypothesized that recombinant PnTx2-6 may indirectly regulate blood flow and pressure, resulting in NO produc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These data suggest differential regulation of the vascular ageing proces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anatomic heterogeneity of atherosclero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the emergency treatment of sudden cardiovascular disease caused by ageing.

Revisiting PPARγ as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 Choi, Sun-Sil;Park, Jiyoung;Choi, Jang Hyun
    • BMB Reports
    • /
    • 제47권11호
    • /
    • pp.599-608
    • /
    • 2014
  • As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increased explosively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type 2 diabetes,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ave been also increased. Thus, new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m are needed. The nuclea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are involved fundamentally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thus, they have been considered attractive drug targets for addressing metabolic disorders. Among the PPARs, $PPAR{\gamma}$ is a master regulator of gene expression for metabolism, inflammation, and other pathways in many cell types, especially adipocytes. It is a physiological receptor of the potent anti-diabetic drugs of the thiazolidinediones (TZDs) class, including rosiglitazone (Avandia). However, TZDs have undesirable and severe side effects, such as weight gain, fluid retention, and cardiovascular dysfunction. Recently, many reports have suggested that $PPAR{\gamma}$ could be modulat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and modulation of PTM has been considered as novel approaches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with fewer side effects than the TZDs. In this review, we discuss how PTM of $PPAR{\gamma}$ may be regulated and issues to be considered in making novel anti-diabetic drugs that can modulate the PTM of $PPAR{\gamma}$.

Arginase Inhibition by Ethylacetate Extract of Caesalpinia sappan Lignum Contributes to Activa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 Shin, Woo-Sung;Cuong, To Dao;Lee, Jeong-Hyung;Min, Byung-Sun;Jeon, Byeong-Hwa;Lim, Hyun-Kyo;Ryoo, S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3호
    • /
    • pp.123-128
    • /
    • 2011
  • Caesalpinia sappan (C. sappan) is a medicinal plant used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removing stasis. During a screening procedure on medicinal plants, the ethylacetate extract of the lignum of C. sappan (CLE)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arginase which has recently been reported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CLE inhibited arginase II activity prepared from kidney lys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UVECs, inhibition of arginase activity by CLE reciprocally increased NOx production through enhancement of eNOS dimer stability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otein levels of eNOS and arginase II expression. Furthermore, CLE-dependent arginase inhibition resulted in increase of NO generation and decrease of superoxide production on endothelium of isolated mice aort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LE augments NO production on endothelium through inhibition of arginase activity, and may imply their usefulnes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Decision-Making in Transcatheter Edge-to-Edge Repair: Insights into Atrial Functional Mitral Regurgitation

  • 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49-453
    • /
    • 2021
  • The 2020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cused update on the mitral regurgitation (MR) pathway provides an excellent summary of the decision-making trees in the treatment of severe MR, in which 2 main branches of the flowchart are suggested depending on whether MR is primary or secondary. Surgery is suggested as preferable over transcatheter edge-to-edge repair (TEER) in primary MR that needs intervention. The decision-making for secondary MR generally prioritizes TEER over surgery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ut further stratification is necessary based on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of MR. TEER is probably the more suitable option in secondary MR caused by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or dilatation, given the high perceived surgical risks, despite the lack of sufficient evidence in support of overt clinical benefits from surgical therapy in these patients. In atrial functional MR associated with atrial fibrillation (AF), however, concomitant ablation of AF seems to be a desirable option, as i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key factor leading to improved survival, reduced stroke risk, and more durable mitral and tricuspid function in patients undergoing mitral surgery. Therefore, atrial functional MR requiring intervention may be best treated by surgical therapy that combines mitral repair and AF ablation in the majority of patients. This particular issue, however, needs further research to obtain scientific evidence to guide optimal management strategies.

Safety of low-dose anticoagulation i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using the Permanent Life Support System: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Kyungsub Song;Jae Bum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3호
    • /
    • pp.276-282
    • /
    • 2023
  • Background: Bleeding and thrombosis are maj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management. Anticoagulant therapy should be adequate to reduce thrombosis. However, related studies are limite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patients supported with ECMO at a single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14 and July 2022 and included those on all types of ECMO using the Permanent Life Support System.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easured mean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during ECMO management: a high-anticoagulation (AC) group (aPTT, ≥55 seconds; n=52) and a low-AC group (aPTT, <55 seconds; n=79). The primary outcome was thrombotic or bleeding events during ECMO. Results: We identified 10 patients with bleeding; significantly more of these patients were in the high-AC group (n=8) than in the low-AC group (15.4% vs. 2.5%, p=0.01). However, thrombus events and oxygenator change-free ti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our patients in the high-AC group died of bleeding complications (brain hemorrhage, two; hemopericardium, one;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one). One patient in the low-AC group developed a thrombus and died of ECMO dysfunction due to circuit thrombosis. Conclusion: Heparin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rombotic outcomes. However, maintaining an aPTT of ≥55 seconds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bleeding events,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mortality.

인공승모판막 혈전의 용해 치료 - 3례 보고 - (Thrombolysis for Prosthetic Mitral Valve Thrombosis - 3 cases report -)

  • 백만종;김형묵;이인성;선경;김광택;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70-74
    • /
    • 1999
  • 승모판의 기계판막치환술 후 판막이나 좌심방 내 혈전증은 판막 기능장애나 혈전색전증을 일으킨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중요하지만 임상에서 쉽지 않다. 혈전용해 치료는 혈전증으로 인한 재수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어 혈전증 치료에 적절한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보고는 저분자량 헤파린과 와파린으로 혈전용해 치료를 한 3명의 환자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한 명의 임산부를 포함한 2명의 환자는 판막 혈전증으로 인한 판막폐쇄와 개폐운동 장애가 있었고 다른 한 명은 내원 5일전 혈전색전증으로 뇌경색이 발생한 좌심방내 혈전증 환자였다. 환자들은 프락시파린 0.3cc (7,500 ICU AXa)을 하루에 2∼3번씩 피하로 투여하여 치료를 받았다. 퇴원 당시 판막과 좌심방 내 혈전은 완전히 혹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고 판막의 개폐운동은 정상이었다. 혈전용해 때부터 외래 추적 기간동안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 PDF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개에서 폐쇄성 무호흡이 심혈관계 기능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Obstructive Apneas on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in Anesthetized Dogs with $\alpha$-chloralose)

  • 장재순;강지호;이상학;최영미;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47-356
    • /
    • 2000
  • 연구배경 :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은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흔히 동반되며 정상인에 비하여 장기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폐쇄성 무호흡이 심혈관계 기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수면 무호흡과 관련된 앞으로의 연구에서 적절한 실험동물 모델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16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폐쇄성 무호흡을 유발하였고, 무호흡-호흡 주기를 5회 내지 7회 반복하였다. 실내 공기만으로 호흡을 유지시킨 8마리를 산소 비투여군으로 하였고 산소를 투여하면서 호흡을 유지시킨 8마리를 산소 투여군으로 하였다. 무호흡 유발 전 기저상태(기저치), 무호흡 시작 후 25초(무호흡시기), 호흡재개 후 10초(호흡재개 초기)와 25초(호흡재개 후기)에 각각 동맥혈 산소분압과 이산화탄소분압, 심박동수, 심박출량, 대퇴동맥압 및 폐동맥압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심박동수는 산소 비투여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하여 무호흡시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시기에 비하여 호흡재개 초기 및 후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산소 투여군에서는 무호흡-호흡 주기에 따른 심박동수 변화가 없었다. 산소투여 여부에 따른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박출량은 기저치에 비하여 무호흡시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무호흡시기에 비하여 호흡재개 후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산소투여 여부에 따른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대퇴동맥압은 기저치에 비하여 무호흡시기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 산소투여 여부에 따른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실험동물에서 유발된 폐쇄성 무호흡은 심박동수, 심박출량 및 평균 대퇴동맥압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심박동수 변화는 저산소증과 관련성이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혈역학적 변화에 대한 부분적인 이해가 가능하였으나,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 기능부전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자연 수면상태에서 실험할 수 있는 새로운 동물모델의 설정과 더불어 심혈관계 기능변화 및 변화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 펌프의 유용성 (Role of Intra-aortic Balloon Pump in High Risk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조석기;장우익;임청;이철;이재익;김용락;함병문;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895-900
    • /
    • 2001
  • 배경 : 심폐바이패스를 하지 않고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Off-pump Coranary Artery Bypns, OPCAB)은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 문합을 위해서 심첨부를 앞쪽으로 들어 올리는 등 심장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심박출량 감소, 체동맥 혈압 감소, 국소적인 심근 허혈을 심화시켜 심장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런 변화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문합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사용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시행한 OPCAB 300례 중 심장 뒤쪽 혈관의 문합이 필요하였던 18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89명 중 수술 전, 중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을 시행 받았던 환자 74례(I군, 64례는 수술 전 삽입, 10례는 수술 중 삽입)와 시행 받지 않았던 환자 115 례(II군) 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의 적응증으로 심한 좌주 관상동맥 질환( 75% 폐색)이 39례, 지속적인 정맥 내 니트로글리세린과 헤파린의 주입같은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협심증이 40례, 심박출률이 35% 미만인 좌심실 기능부전이 14례, 최근 4주이내에 급성 심근경색이 있었던 심근 경색후 협심증이7례, 불안정형 협심증이 56례 등이 있었다. 결과 :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I 군이 3.5 0.9, II 군이 3.4 0.9 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I군에서는 수술 사망은 1명, II 군에서는 2명 있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입원기간 등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I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술 후 부정맥, 수술 중, 후 심근경색, 술 후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의 발생에는 차이가 없었다. 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사용한 시간은 평균 6.7$\pm$9.5 이었으며 대동맥내 풍선펌프와 연관된 합병증은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 저위험군 환자의 수술 성적과 비교를 통하여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한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였고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사용은 심장 뒤쪽 혈관 문합을 포함한 OPCAB을 가능케 함을 밝혔다.

  • PDF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시 체외순환 여부에 따른 좌심실 기능 회복력 비교 (The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Severe Ischemic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Off-pump Versus On-pump)

  • 김재현;김근직;백만종;오삼세;김종환;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16-122
    • /
    • 2005
  •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은 체외순환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고 위험군 환자에서 유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들에서 관상동맥우회슬시 체외순환 유무에 따른 수술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좌심실 기능의 회복정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술 전 좌심실 박출계수(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가$ 35\%$ 이하이고, 관상동맥우회술만을 단독으로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전체 75명으로 OPCAB을 시행한 경우가 33명$(mean\;LVEF\;=\;28.3\%),$ 전통적인 관상동맥우회술(Conventiona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CAB)을 시행한 경우가 42명$(mean\;LVEF\;=\;27.6\%)$으로 수술 전 위험인자 및 수술성적을 비교하였고 수술 후 가장 최근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두 군간의 좌심실 기능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위험요인 중 CCAB군에서 불안정성 협심증, 삼혈관 질환, 급성 심근경색이 많았으며 그 외 술 전 인자는 두 군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PCAB군에서 수술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 원위부 문합수, 좌회선동맥 분지의 문합수는 CCAB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수술 사망률$(OPCAB\; 9.1\%\;(n=3)\;Vs\;CCAB\;9.5\%\;(n=4)),$ 호흡기 사용일수, 중환자실 체류일수 및 재원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나 CCAB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양상이었다. 술 후 평균 16개월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OPCAB군은 LVEF가 평균 $9.1\%$ 향상되었고 좌심실 확장기말 치수(LVEDD)는 4.3mm, 좌심실 수축기말 치수(LVESD)는 4.2mm 감소하였으며, CCAB군은 LVEF가 $11.0\%$ 향상되었고, LVEDD는 5.1mm, LVESD는 5.5mm 감소하였다. 그러나 두 군간의 차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서 관상 동맥우회술이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체외순환 여부에 따른 좌심실 기능의 회복정도에는 차이가 얼었다. OPCAB은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가 있는 환자에서 수술 사망률 및 술 후 좌심실 기능 회복 측면에서 CCAB에 대등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장점과 합병증 발생이 감소되는 경향을 고려할 때 CCAB보다 우월하므로 좌심실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 수술 시 먼저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