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매생이 (Capsosiphon fulvescens) 당단백질에 의한 인간 위암세포 사멸기전 (Induction of Apoptosis Signaling by a Glycoprotein of Capsosiphon fulvescens in AGS Cell)

  • 김영민;김인혜;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16-224
    • /
    • 2011
  • Capsosiphon fulvescens is well-known green sea algae that, in recent years, has been proposed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 fulvescens glycoprotein (Cf-GP) had pro-apoptotic effects on human gastric carcinoma cells. By SDS-PAGE, we confirmed that C. fulvescens extract contained a glycoprotein. Using H33342 staining, we found that the Cf-GP caused cell death in a does-dependent manner, while an MTS assay showed decreased cellular viability due to induction of apopto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f-GP on apoptosis-related cellular events, cells were treated with Cf-GP and the expression of several apoptosis-related protein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Our results indicate that Cf-GP activated both a caspase cascade and PARP, which is a substrate of caspase-3, caspase-8 and the Bcl-2 family proteins. In addition, we assessed caspase-3, and -8 activation and annexin V staining. Our results revealed a cell cycle arrest, itself leading to an increased percentage of sub-G1 cells. Our findings indicate that Cf-GP may be a source of bio-functional material with therapeutic effects on human gastrointestinal cancer.

미역과 매생이의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성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ndaria pinnatifida and Capsosiphon fulvescens)

  • 김유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9-502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wo seaweed cultivars, Undaria pinnatifida (UP) and Capsosiphon fulvescens (CF), subjec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UP and CF were dried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vacuum drying (VD) at $20^{\circ}C$ and hot-air drying (HD) at $60^{\circ}C$. After drying, the total phenolic content, DPPH,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were determined.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101.94 mg/100 g for UP and 171.35 mg/100 g for CF upon VD-20, and these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67.59 mg/100 g for UP and 141.48 mg/100 g for CF upon HD-60. UP upon VD-20 and HD-60 had 46.17% and 35.2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ereas CF upon VD-20 and HD-60 scavenged 57.73% and 35.22%, respectively. UP upon VD-20 and HD-60 had 40.36% and 40.01%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t pH 1.2, whereas CF upon VD-20 and HD-60 scavenged 72.35% and 55.24%,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UP and CF were reduced at pH 3.0.

매생이 추출물의 생리 활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esangi(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 정갑섭;이남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7-414
    • /
    • 2010
  •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esangi(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with distilled water or 95% ethanol were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some evaluation assay methods such as measurement of Hunter color value, chlorophyll a/b value, total phenolics, reducing power and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of soybean oil were used.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Masaengi were orders of crude protein>crude fiber>moisture>crude ash>crude lipid, and K>Ca>Mg>Na>P>Fe>Zn, respectively. In ethanol extract,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Maesangi was determined to half times of that in Dasima(Laminaria). The reducing power of Maesangi-ehtanol extract was about 5 % of vitamin C and was lower than that of Dasima-ethanol extract. The TBA value of Maesangi-ethanol extract on soybean oil oxidation was about 47 % and 68.4 % to control in three and eight days oxidation, respectively. But TBA value difference was not observed significantly with the dosage below 5mL of ethanol extract.

해조류 추출물과 페놀성화합물의 in vitro 및 in vivo 간보호활성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 최재수;송상호;최명락;김광용;최종원;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9-246
    • /
    • 1997
  • The methanol extracts of some marine algae were tes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in bromobenzene-treated rat. The extracts of Enteromorpha compressa, Capsosiphon fulvescens, Gelidium amansii,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siliquastrum and Sargassum thunbergii which decreas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hibited the activity of xanthine and aldehyde oxidases by adding of each extracts. Phloroglucinol isolated from Ecklonia stolonifera reduced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This compound administered daily over one week before intoxication with bromobenzen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and glu tathione S-transferase. Epoxide hydrol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bromobenzene, which was restored by pretreatment of phloroglucino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by phloroglucinol is reduced by enhancing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 PDF

매생이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필수아미노산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 김효영;김인혜;남택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91-1597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해조류 중 특히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매생이 열수 추출물(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CFE) 5%를 첨가한 식이를 급이 시켜 흰쥐에게 10일간의 단백질 소화율, 혈중 필수 아미노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료의 품질 및 필수 아미노산 대사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본 실험을 하였다. CFE의 급이에 따른 단백질 소화율을 살펴 본 결과, casein 그룹의 경우 단백질 소화율이 약 97%인 반면 CFE가 포함된 그룹의 경우 8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식이에 CFE 첨가 시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문맥 혈청 중의 아미노산에서 특히 필수 아미노산의 혈중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식이 후 30, 60, 90, 120분별로 살펴보았다.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농도는 두개의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CAA에 속하는 Leu, Ile, Val은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증가하였으며 AAA에 속하는 Phe 또한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간문맥 혈중의 Lys, Thr, Met의 경우,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을 통해 식이섬유인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섭취함으로서 간이나 뇌, 조직 등으로 흡수되는 혈중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서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 식이에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혈중 아미노산 흡수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였으며 이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Protective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on oxidative stress-stimulated neurodegenerative dysfunction of PC12 cells and zebrafish larva models

  • Laxmi Sen Thakuri;Jung Eun Kim;Jin Yeong Choi;Dong Young Rh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24-34
    • /
    • 2023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t high concentrations induce oxidative stress, an imbalanced redox state that is a prevalent cause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CF) extract on oxidative stress-induced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model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F was extracted with subcritical water and several solvents and H2O2 (0.25 mM) or aluminum chloride (AlCl3; 25 µM) as an inducer of ROS was treated in PC12 neuronal cells and zebrafish larva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nett's test using GraphPad Prism. H2O2 and AlCl3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duce ROS production in PC12 neuronal cells and zebrafish larvae. In addition, they strongly affected intracellular Ca2+ levels, antioxidant enzyme activity,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tropomyosin receptor kinase B (TrkB) signaling,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and hallmarks of Alzheimer's disease. However, treatment of H2O2-induced PC12 cells or AlCl3-induced zebrafish larvae with CF subcritical water extract at 90℃ and CF water extract effectively regulated excessive ROS production, intracellular Ca2+ levels, and mRNA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e, glycogen synthase kinase-3 beta, β-amyloid, tau, AChE, BDNF, and TrkB. Our study suggested that CF extract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utraceuticals that can improve the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synaptic plasticity by regulating ROS generati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을 이용한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 배정미;조은경;김혜윤;강수희;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7-6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의 효소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고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매생이의 효소분해산물을 조제하여 이에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gar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는데 chitin 34.8%, fucoidan 36.8%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고, starch 51.2%, agarose와 laminaran은 agar와 비슷한 수준인 115.6%, 10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alginic acid에 대해서는 agar의 2배가 넘는 23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매생이 효소분해산물 2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2%, SOD 활성은 93%로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82%, pH 3.0에서 53%, pH 6.0에서 12%로 positive control인 비타민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 활성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효소분해산물 2 mg/ml 농도에서 30%의 증가된 알콜 분해능이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2 mg/ml에서 2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 XXV. 식용 식물 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 XXV. Immunostimulating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s)

  • 류하나;박미현;홍성길;이대영;한경민;유종수;김세영;노영덕;백남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08-714
    • /
    • 2007
  • 식품 소재의 국내산 약용식물인 163가지 천연물에서 메탄올로 추출한 시료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10, 100, 500, $1000\;{\mu}g/mL$의 4가지 농도에서 대식세포 면역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2개의 시료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였으며, 그 중 20개의 시료는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20% 이상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중 2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이는 시료는 총 19개, 3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효과를 나타내는 시료는 총 3개[골파(Allium schoenoprasmum), 두릅(Aralia elat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였으며, 특히 마(Dioscorea batatas)는 각 농도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양성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면역증진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와 생강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이 첨가된 통밀빵을 섭취한 랫트의 혈당과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Containing Whole Wheat Bread with Capsosiphon fulvescens and Lindera obtusiloba Ethanol Extracts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in Rats)

  • 한아람;김세욱;전수현;남미현;홍충의;김복희;김태철;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8-186
    • /
    • 2016
  • 이 연구는 일반식빵, 통밀빵, 그리고 생강나무 잎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매생이 냉동 건조물을 첨가한 통밀빵을 제조하고, 4중 동안 랫트에게 공급한 뒤 혈당과 혈중지방질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모든 통밀빵섭취 그룹에서의 체중증가는 일반식빵섭취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음수, 식이 섭취량은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과 신장의 무게, AST, ALP, ALT는 모든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일반식빵과 통밀빵 식이제공은 간과 신장의 스트레스 증가와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복혈당 수준은 NC 그룹은 1주차에서부터 4주차까지 혈당이 완만하게 상승했던 것에 비해 모든 통밀빵 그룹은 혈당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주차에서는 모든 통밀빵 그룹은 NC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구당부하검사(OGTT)시 90분대 혈당치에서 모든 통밀빵 그룹은 NC 그룹($152.13{\pm}19.90mg/dL$)의 혈당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p<0.05), AUC에서 WDC 그룹을 제외한 W 그룹, WL 그룹, 그리고 WC 그룹의 area value가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적어졌다. WL 그룹과 WC 그룹의 경우 NC 그룹과 W 그룹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당 곡선아랫면적과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강 추출물과 매생이 추출물이 첨가된 식빵은 일반식빵에 비해 내당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화헤모글로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NC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함량이 감소하였고, 특히 WL 그룹과 WC 그룹은 W 그룹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당화 헤모글로빈 수치 관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 보았을 때 NC 그룹 대비 WL 그룹에서 39.9%, WC 그룹에서 37.2% 인슐린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중 지방 질 지표를 측정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서는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지방의 경우 NC 그룹과 비교해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중성지방의 수치가 감소하였다.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WL 그룹이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assy를 이용한 지방질과 산화 산물인 MDA를 측정한 결과 NC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농도가 낮아졌고, WC 그룹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지방질과 관련된 유전인자인 $PPAR-{\alpha}$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모든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PPAR-{\gamma}$ mRNA 발현의 경우 WL 그룹, WC 그룹에서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가장 적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일반식빵에 비해 통밀빵을 섭취한 모든 그룹은 몸무게, 공복혈당, 경구당부 하 검사(OGTT), 당화헤모글로빈(HbA1c), 중성지방(TG), 동맥경화지수(AI)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것으로 통밀은 식빵 섭취시의 혈당 증가 완화 효과를 가지며 혈중 지방질수준 개선과 비만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나무 잎 추출물과 매생이 추출물을 첨가한 통밀빵 그룹은 당화헤모글로빈(HbA1c) 측정 항목에서 통밀빵 그룹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통밀의 효능에 기능성 소재인 생강나무 잎과 매생이 추출물의 효능이 더 해지면서 상당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 조은경;유슬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1-818
    • /
    • 2011
  •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mg/m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mg/ml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mg/ml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