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배추김치 발효에 미치는 냉이의 첨가 효과 (Effect of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on fermentation of Kimchi)

  • 이신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3
    • /
    • 2006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Capsella bursa-pastoris (L.) as an ingredient to improve the biological function and flavor of kimchi.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or kimchi with or without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CBM kimchi) during fermentation for 25 days at $10^{\circ}C$. The pH changes of CBM kimchi were slower than those of control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addition of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during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of CBM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log number of total bacteria was lower about 1.5 $log_{10}$ cycle in CBM kimchi than in control during fermentation.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MB kimchi and control. Sensory qualities of kimchi such as color,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addition of 3%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p<0.05).

  • PDF

SDE 및 SPME에 의한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정유 및 Headspace 성분 분석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 최향숙;강은진;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8-11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 및 SP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phytol은 잎의 정유에서, ethyl acetate는 뿌리의 정유에서 상당이 높게 확인되었다. 냉이 특유의 향기에 기여하리라 추정되는 함유 황 화합물은 정유에서 높게 나타났다. 냉이의 정유 성분에는 알코올류와 유기산류의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ph발of과 1,2-benzenedicarboxylic acid에 기인하였다. 냉이 headspace에는 다량의 탄화수소류가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을 미량으로 확인되었다.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보리의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Germination behavoir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and the Density Effect on Barley Grain Yield)

  • 장영희;하용웅;맹돈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7
    • /
    • 1986
  • 맥류잡초중(麥類雜草中) 냉이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생밀도(發生密度)에 따른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을 구명(究明)코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몇가지 결과(結果) 얻었기에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냉이가 낙종후(落種後) 7월(月) 중순(中旬)까지(성숙후(成熟後) 약(約) 2개월(個月))는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기간(期間)으로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으나 그 이후(以後) 8월(月)에는 80% 이상(以上)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냉이의 발아온도(發芽溫度)는 $15^{\circ}C$에서 발아(發芽)가 잘 되었고 $6^{\circ}C$ 이하(以下)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졌으며, 명암(明暗) 어느 조건(條件)에서나 발아(發芽)에는 지장(支障)이 없었다. 3. 냉이의 휴면타파(休眠打破)를 위한 저온(低溫)과 고온처리(高溫處理)는 5^{\circ}C 저온(低溫) 3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40%, $40^{\circ}C$ 고온(高溫) 2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가 다소(多少) 인정(認定)되었다. 4.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클수록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적었으나 $m^2$당(當) 협수(莢數)는 많았으며 발생밀도별(發生密度別) 보리의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냉이 발생지수(發生指數) 500주(株)/$m^2$까지는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하였다. 5. $m^2$당(當)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 100~100 주(株)/$m^2$의 종자생산량(種子生産量)은 1,200천개(千個)~3,000천개(千個)였으며 그 중 경작(耕作)에 의한 매몰(埋沒) 또는 불량환경(不良環境) 등(等)으로 발아(發芽)되는 것을 극(極)히 적은 0.01~0.03%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6.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밀(密)할수록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은 컸으며 이는 냉이가 많이 발생(發生)하는 지대(地帶)는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로서 보리 감수율(減收率)을 추정(推定)할 수 있는 자료(資料)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 7종의 분포 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even Agricultural Indicator Plant Spe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t Agroecosystem in South Korea)

  • 남형규;송영주;권순익;어진우;김명현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21-233
    • /
    • 2018
  • 본 연구는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현재와 미래의 분포 특성을 예측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총 108개 지점에서 지표식물 7종(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큰망초, 서양금혼초)의 실제 분포 유무 자료를 수집하고 Maxent 모형을 적용하여 현재와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분포 예측에서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3종은 전체 분포 면적은 감소하였지만 분포 범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 2종은 분포면적과 범위가 모두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 물과 꽃마리 2종은 분포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국지적으로 분포하거나 일부 해안가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의 경우 토지피복도나 고도와 같은 비기후인자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는 기후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분포 예측 특성은 향후 지표식물의 모니터링 방향과 관리 계획 설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야생식용물의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 Sook Ja L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511-517
    • /
    • 1992
  • 한국산 야생식용식물의 형당강화 효과를 보기위해서 일차적으로 5가지 식물(냉이, 닭의장풀, 메꽃, 며느리배꼽 및 참마)을 채집하였다. Strcpotozotocin(45mg/kg)을 미정맥으로 주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130~180g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이를 5가지 식물을 adlibitum으로 공급하였다. 식용식물섭취에 따른 각군의 체중변화는 제 3주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냉이군과 메꽃군을 제외하고는 제4주째에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식이이용효율은 닭의장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냉이군, 메꽃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에서는 식이이용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닭의장풀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 감소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뇨당의 경우에서도 닭의장풀군과 참마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며느리배꼽군에서도 한마리를 제외하고는 뇨당이 검출되지 않아 당뇨유발쥐에서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혈장 중의 cholesterol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며느리배꼽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야생식용물의 건조시료 중 조섬유의 함량은 며느리배꼽이 24.4%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참마로 2.5%였다. 생시료중 Vitamin C의 함량은 냉이가 193.73mg으로 가장 높았고 닭의장풀, 며느리배꼽, 메꽃슨이었고 참마가 24.6mg으로 가장 낮았다. Fe의 함량도 냉이가 14.86mg으로 높았고 참마가 가장 낮았다. Cr과 Zn의 함량도 냉이에서 높았고 참마에서 낮았다. 앞으로 야생식용산채류에 대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 영양학적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과수원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Floristic features of orchards in South Korea)

  • 김명현;남형규;어진우;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47-466
    • /
    • 2019
  • 다년생 작물을 재배하는 과수원의 식물상은 일년생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수원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 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6개 지역에서 2014년 5~6월과 8~9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78속 420종 2아종 39변종 4품종 1잡종으로 총 46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6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51분류군, 콩과 28분류군, 사초과 18분류군, 마디풀과 17분류군, 십자화과 16분류군, 꿀풀과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바랭이가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깨풀, 닭의장풀, 개여뀌, 냉이, 개망초, 주름잎, 쑥, 금방동사니, 쇠별꽃, 별꽃, 돌피가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과수원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Th-R5-D4-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벌개미취, 녹나무, 쥐방울덩굴, 새박, 백량금, 금떡쑥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3과 58속 80종 4변종 1품종으로 총 8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26.3%, 귀화율은 18.2%를 나타냈다.

밭작물(作物) 및 잡초(雜草)에 대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약효(藥效) (Phytotoxic Effect of Herbicides on Upland Crops and Weeds)

  • 양환승;전재철;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78
    • /
    • 1984
  • 주요(主要) 밭작물(作物) 및 잡초별(雜草別) 제초제(除草劑) 반응성(反應性)을 검토(檢討)하여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하고, 멀칭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 제초제(除草劑) 난해원인(欒害原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Napropamide, alachlor, trifluralin 및 nitrofen에 내성(耐性)을 보인 작물(作物)은 무, 배추, 콩, 땅콩 및 아욱이었다. 2. Napropamide, diphenamide 및 alachlor는 고추, 가지 및 토마토에 안전(安全)한 약제(藥劑)이었고, trifluralin, nitrofen 및 chlornitrofen은 수박, 당근과 상추 약해(藥害)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었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 모두에 대(對)해서 가장 내성(耐性)이 큰 잡초(雜草)는 냉이었다. 4. 여뀌는 napropamide와 alachlor로 방제(防除)할 수 없었으며, 쇠비름은 diphenamide에 명아주는 alachlor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초종(草種)이었다. 5. 공시약제중(供試藥劑中) 요소계(尿素系)인 methabenzthiazuron, linuron 및 isoproturon은 공시작물(供試作物)에 큰 약해(藥害)를 나타내었지만, 잡초(雜草)에 대(對)한 방제효과면(防除效果面)에서는 화본과(禾本科)보다는 광엽작초(廣葉雜草)에 더 큰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아욱은 isoproturon에, 당근은 linuron에 대(對)하여 내약성(耐藥性)을 나타내었다. 6. 땅콩포장에 있어서 공시(供試)4종제초제(種除草劑) 모두 멀칭재배조건(栽培條件)이 무(無)멀칭에서 보다 심(甚)한 약해(藥害)룰 나타내었다. 공시(供試) dinitrioaniline계(系) 제초제(除草劑)들의 약해(藥害)는 멀칭후(後) 휘발(揮發)된 약제(藥劑)를 제거(除去)함으로써 감소(減少)되었다. 7. 땅콩포장의 멀칭 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에서 alachlor는 가장 적은 약해(藥害)를 보였고, dinitroaniline계(系) 제초제중(除草劑中)에서는 nitraline, pendimethalin, trifluralin 순(順)으로 약해(藥害)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