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tulu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사철쑥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특성과 주성분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 주인옥;유동현;송영은;장익;류정;최소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9-193
    • /
    • 2007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형태형질에 의한 동아시아산 민들레속 2배체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diploid East Aisan Taraxacum Wiggers using the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

  • 이경화;양지영;;;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66
    • /
    • 2004
  • 동아시아에서 이배체의 유성생식과 무수정결실로 번식하는 민들레속의 종 분화 연구를 위해 한국산(2종4집단), 일본산(2종 4분류군 6집단), 대만산(1종 3집단)의 이배체 민들레 종의 두화형질을 측정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화형질은 두화의 크기, 외총포편의 형태와 길이, 외총포편 선단돌기 등의 식별형질을 포함하여 15개의 형질을 측정하였다. 이들 형질은 하나의 개체군내에서도 변이의 폭이 크고, 집단사이, 종들 사이에 있어서도 변이가 중첩되어 나타났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군(한국산과 T. japonicum군, T. platycarpum아종군, T. formosanum군, T. platycarpum subsp. hodoense군)으로 유집되었다. 한국산 좀민들레(이배체)와 산민들레(이배체, 삼배체)가 일본의 간사이 지방에 분포하는 T. japonicum과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짐을 추측할 수 있다.

한국산 쑥속(국화과)의 두상화서 형태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capitulum morphology of Korean Artemisia (Compositae))

  • 박명순;홍기남;엄정애;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7-4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산 쑥속 23분류군에 대하여 두상화서의 세부 형질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쑥속의 속내 분류에 있어서 전통적인 아속의 구분형질인 중앙화의 임성 여부에 의해 중앙화가 불임성인 Dracunculus아속과 중앙화가 임성인 Artemisia아속으로 구분되었다. Artemisia아속 내에서 절을 구분하는 형질로 알려진 화탁의 털 유무는 화탁에 털이 밀생하거나, 성기게 나는 Absinthium절과 화탁에 털이 없는 Abrotanum절, Artemisia절과 구분되었다. 그러나 Abrotanum절의 큰비쑥(A. fukudo), 더위지기(A. sacrorum)와 Artemisia절의 외잎쑥(A. viridissima)에서 성기게 털이 있는 화탁이 관찰됨으로, 절의 식별형질로서 인정되는 무모성 화탁의 가치는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외에 관찰된 형질 중 두상화서의 전체 형태와 크기, 주두정단의 특징, 포편의 털, 중앙화와 주변화 화관의 형태 등은 종의 식별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철쑥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 최소라;유동현;김종엽;박춘봉;류정;김대향;은종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2-117
    • /
    • 2008
  • 사철쑥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총 페놀과 프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종실>줄기 순으로 낮아졌다. 6월 30일 잎에는 78.8 mg/g DW의 페놀과 78.2 mg/g DW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었다. DDPH에 의한 radical소거능이 50%로 감소되는 시료 농도인 $RC_{50}$이 6월 30일 잎에서 $5.42\;{\mu}g$으로 낮게 나타나 항산화성이 가장 높았다. 이 때 BHA, BHT와 ${\alpha}-tocopherol$$RC_{50}$은 각각 $3.09\;{\mu}g,\;24.30\;{\mu}g\;and\;2.87\;{\mu}g$이었다. 또한 종실에서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Vibrio vulnificus, Pseudomonas aeruginosa,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7종에 대해 항균성이 나타난 반면 잎과 줄기에서는 항균성이 거의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의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vulnificus,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향균성은 8월 30일에 높았으며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성은 7월 30일에 높았다.

A case of histologically diagnosed tick infestation on the scalp of a Korean child

  • Chang, Sun-Hee;Park, Jae-Hwan;Kwak, Ji-Eun;Joo, Mee;Kim, Han-Seong;Chi, Je-G.;Hong, Sung-Tae;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157-161
    • /
    • 2006
  • A scalp mass surgically excised from a 4-year-old Korean boy was identified as a tick through histological observations. In sections of the mass, characteristic features of a tick, including its gross contour, cuticular structures, well developed musculature and salivary glands, and the capitulum, were discovered. In particular, the capitulum is anteriorly protruded,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the specimen be a hard tick of family Ixodidae. However, the pre-sent histological features were not enough to determine the genus and species of the tick, because information on sectional morphologies of different tick species is unavailable. This is a rare case of tick infestation on the scalp diagnosed in histological sections.

사철쑥의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과 약리성분 변화 (Changes of Pharmacological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 최소라;유동현;주인옥;장익;김종엽;박춘봉;류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1
    • /
    • 2008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재배년수별 생육과 약리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월동률은 1년생은 95.3%이었으나 2년생은 64.2%로 매우 저조하였다. 초장의 경우 2년생은 123.8 cm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경수와 분지수는 재배년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 3년생에서 높았다.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분지수는 많은 반면 초장은 낮았는데 이는 분지의 발달에 따라 영양분이 분산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생체중은 3년생에서 200.0 g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유효성분인 scoparo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종실의 무게는 2년생에서 109.6g로 높은 반면 3년생은 96.4g으로 낮았다. 일반성분의 경우 1년생은 조단백과 조회분이 많고 2, 3년생은 조지방과 조섬유가 많았으며 특히 줄기의 조섬유 함량이 3년생에서 높았다. 약리성분 함량은 2년생 종실에서 가장 높았는데 scoparone은 6.5mg/g DW, capillarisin은 1.65mg/g DW이 함유되어 있었다.

물윗수염박쥐(Myotis daubentinii ussuriensis)의 정자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Sperm in the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 김현희;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1호
    • /
    • pp.31-35
    • /
    • 2011
  • 본 연구는 물윗수염박쥐(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i)의 정자 미세구조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윗수염박쥐 정자두부의 길이는 $4.5{\mu}m$, 폭은 $2.0{\mu}m$이었으며, 핵은 그 중 $4.3{\mu}m$로 정자두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핵의 후방부에서 전방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가늘어지며 두부의 전체적인 모양은 탄환형(bull-shaped)을 취하고 있었다. 또한, 핵과 첨체는 Apical body에 의해 분리되어져 있었다. 정자경부는 basal plate, capitulum, segmented columns으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12~14개의 가는띠로 구성된 Segmented columns들의 밑부분은 중편부의 외측섬유와 연결되어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 초들은 나선상으로 배열되어져 있었으며, 그 수는 57개이었다. Satellite fibers는 외측섬유들 사이에 불규칙하게 관찰되어 졌으며, 중편부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편부의 외측섬유는 1, 5, 6, 9번이 다른 것보다 크며, 꼬리의 축사구조는 전형적인 9+2구조이었으며, 미부의 미세소관들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져 있었다.

한국산 개똥쑥의 작물학적 특성 (Studi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emisia annua L.)

  • 이정훈;박충범;박춘근;손영득;문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0
    • /
    • 2010
  • In order to development medicinal Artemisia herbs of high quality, Korean A. annua L. were investigated with its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asic statistical data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This species, which is annual herb, is mainly distributed to marginal land, riverside, roadside, grassland. Ecological niche is low species in competition of the others. Its pollination is basically anemogamous, but is frequency pollinated by insect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as tap root, 1~3 pinnate compound leaf of ovate or narrowly ovate, stem is green, erect and solitary. Inflorescence is paniculate, receptacle is not hair. Capitulum, consist of ray floret and disk floret, is subglobose shape. Additionally, this species could be easily discriminated from related Artemisia herbs by the capitulum size. Ray floret is female, disk floret is bisexual. Flowering season is from August to October. Seed is achene unattached hair. Stem length ranged from 179 cm to 225 cm,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 were $17.14\;{\pm}\;1.68\;mm$, $2.43\;{\pm}\;0.51\;mm$, respectively.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14.5\;{\pm}\;0.5\;cm$, $15.0\;{\pm}\;1.0\;cm$, and leaf number of main stem were $48.06\;{\pm}\;10.57\;cm$, respectively. Fresh weight of aerial parts and root were $364.7\;{\pm}\;14.1\;g$, $32.6\;{\pm}\;5.1\;g$, and its dry weight were $136.6\;{\pm}\;10.0\;g$, $14.9\;{\pm}\;2.34\;g$, respectively.

황색자생균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Yellow Chrysanthemun in Korea)

  • 이종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95
  • 12 populatiDns of Ch indicum L. and it's variation antogenous in Tforea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plant height is 97.3cm. Ch. indicunl is 76.5cm and Ch. boreale is 116. 6cm in height. The number of nodes is 58 on the average. The color of the stem is generally black-red in the case of Ch. indicum and is green for Ch. boreale. 2) The leaves of Ch. inficum are smaller In size and thicker than chose of Ch. boreale, and it has a stipule. This fact enables us to distinguish one species from the other, however, the Gyukpo-population of Ch. indicum has a large leaf, and Byunsan-population of Ch. boreale has a stipule so that the above fact is not an exact criterion on which to base one classification. 3) The size of the capitulum is 24.9mm for Ch. indicum and 15.6mm in the case of Ch. boreaj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s admitted. It was confirmed hat the size of the capitulum has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of the pedicel and has egative correlation to the number of flowers, so that of inflorescence, Ch. indicumhas corymb, and Ch. boreale has crowed corymb or umbel-type.The number of ligulates is 19 on the average, which no the difference being founnd between species and populations.4) The cluster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h. indicum was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shown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of speciesbetween Ch. indicum and Ch. boreale. However, it could not be shown that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plai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 PDF

A Case of Engorged Female Hard Tick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an Infant

  • Sung, Woo-Jung;Kim, Yee-Hyu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565-568
    • /
    • 2017
  • An oval-shaped mass with a smooth surface was found in the ear canal of a 22-month-old male infant. Although the mass appeared to be almost entirely blocking the ear canal, it was successfully removed under a surgical microscope without general anesthesia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Under an optical microscope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the specimen was observed to have a cuticle with a serrated surface and a pore canal, as well as parts of the capitulum, salivary glands, muscles, midgut, and the legs.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a hard tick of the family Ixodidae, based on gross and histological findings. This paper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tick bite in the ear ca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