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Cell Lines

검색결과 1,739건 처리시간 0.038초

Fenofibrate decreases radiation sensitivity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mediated superoxide dismutase induction in HeLa cells

  • Liu, Xianguang;Jang, Seong-Soon;An, Zhengzhe;Song, Hye-Jin;Kim, Won-Dong;Yu, Jae-Ran;Park, Woo-Y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88-95
    • /
    • 2012
  • Purpose: The fibrates are ligands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lpha}$ and used clinically as hypolipidemic drugs. The fibrates are known to cause peroxisome proliferation, enhance superoxide dismutase (SOD) expression and catalase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ons of the fibrates may modify radiation sensitivity. Her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radiation sensitivity in two cervix cancer cell lines in combination with fenofibrate (FF). Materials and Methods: Activity and protein expression of SOD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F. The mRNA expressions were measured by using real 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ombined cytotoxic effect of FF and radiation was measured by using clonogenic assay. Results: In HeLa cells total SOD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FF doses up to 30 ${\mu}M$. In the other hand, the catalase activity was increased a little. As with activity the protein expression of SOD1 and SOD2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FF. The mRNAs of SOD1, SOD2, $PPAR{\alpha}$ and $PPAR{\gamma}$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F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ed by radiation was decreased by preincubation with FF. The surviving fractions (SF) by combining FF and radia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radiation alone. In Me180 cells SOD and catalase activity were not increased with FF. Also, the mRNAs of SOD1, SOD2, and $PPAR{\alpha}$ were not increased with FF. However, the mRNA of $PPAR{\gamma}$ was increased with FF. Conclusion: FF can reduce radiation sensitivity by ROS scavenging via SOD induction in HeLa. SOD induction by FF is related with $PPAR{\alpha}$.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한 금목이(Tremella aurantialba)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Tremella aurantialba Against Mouse Sarcoma 180)

  • 이건우;김혜영;허현;이민웅;심미자;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6-74
    • /
    • 2008
  • 금목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조다당류는 $2000\;{\mu}g/ml$의 농도에서 마우스 대식세포 RAW 309 Cr.1와 육종암세포 Sarcoma 180에 대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각각의 조다당류를 주사하여 평균 수명 연장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은 수명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1.1{\sim}66.7%$ 연장되었다. 메탄올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200\;{\mu}g/ml$ 투여한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약 1.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 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복강의 총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1.42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2.87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과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소폭 증가하였다.

장미무당버섯(Russula rosacea)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면역증강 및 항암 효과 (Immuno-potentiating and Antitumor Effects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Russula rosacea)

  • 최연일;이건우;허현;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2
    • /
    • 2008
  • 장미무당버섯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에 속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으로 예로부터 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미무당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HepG2, HT-29, NIH3T3 등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각각의 암세포는 $10{\sim}2000\;{\mu}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1.4{\sim}45%$ 연장되었다.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6.8배의 증가시켰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배 와 2.6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소폭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장미무당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Sarcoma 180에 대한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이들 조다당류가 Sarcoma 180에 대한 세포독성효과가 아니고 면역을 증강시킨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향고(Lentinus giganteu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 증강효과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Lentinus giganteus)

  • 이건우;김혜영;허현;이태수;이우윤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3
    • /
    • 2008
  • 본 연구는 대향고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이를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HepG2, RAW 309 Cr.1 등의 세포주에 대한 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주는 $10{\sim}2000\;{\mu}g/ml$ 조다당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NIH3T3 세포의 경우에는 열수와 중성염용액에서 추출한 조다당류 $1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고, 메탄올에서 추출한 조다당류 $2000\;{\mu}g/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14.3{\sim}67.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50{\sim}2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1.53{\sim}1.68$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7.7배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을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소폭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향고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Sarcoma 180에 대한 항암작용은 이들 조다당류의 면역 증강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Anticance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leurotus nebrodensis on Mouse Sarcoma 180

  • Cha, Youn Jeong;Alam, Nuhu;Lee, Jae Seong;Lee, Kyung Rim;Shim, Mi Ja;Lee, Min Woong;Kim, Hye Young;Shin, Pyung Gyun;Cheong, Jong Chun;Yoo, Young Bok;Lee, Tae Soo
    • Mycobiology
    • /
    • 제40권4호
    • /
    • pp.236-243
    • /
    • 2012
  • Pleurotus nebrodensis is an edible and commercially available mushroom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cance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in methanol, neutral saline, and hot water (hereafter referred to as Fr. MeOH, Fr. NaCl, and Fr. HW, respectively)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 nebrodensis. ${\beta}$-Glucan and protein contents in Fr. MeOH, Fr. NaCl, and Fr. HW extracts of P. nebrodensis ranged from 23.79~36.63 g/100 g and 4.45~6.12 g/100 g, respectively. Crude polysaccharides were not cytotoxic against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cell lines at a range of $10{\sim}2,000{\mu}g/mL$.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resulted in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11.76~27.06%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reatment with Fr. NaCl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1.49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control. Fr. HW improve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through an increase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65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200{\mu}g/mL$. Maximum production of nitric oxide ($14.3{\mu}M$) was recorded in the Fr. NaCl fraction at $200{\mu}g/mL$.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leukin-6 (IL-6)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control, and IL-6 production was highest, in contrast to TNF-${\alpha}$, IL-$1{\beta}$, and positive control, concanavalin at the tested concentration of the various fraction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 nebrodensis have a strong anticancer effect and may be useful as an ingredient of biopharmaceutical products for treatment of cancer.

Significance of $p27^{kip1}$ as potential biomarker for intracellular oxidative status

  • Quintos, Lesley;Lee, In-Ae;Kim, Hyo-Jung;Lim, Ji-Sun;Park, Ji-A;Sung, Mi-Kyung;Seo, Young-Rok;Kim, Jong-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351-355
    • /
    • 2010
  • Our previous proteomic study demonstrated that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lphinidin regulated the cellular level of $p27^{kip1}$ (referred to as p27) as well as some heat shock proteins in human colon cancer HT 29 cells.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and confirm the regulation of these proteins using both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The level of p27 was decreased by hydrogen peroxid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uman colon carcinoma HCT 116 (p53-positive) cells while it was increased upon exposure to hydrogen peroxide in HT 29 (p53-negative) cells.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100 ${\mu}M)$ downregulated p27 in both cell lines, but delphindin, one of antioxidative anthocyanins, enhanced the level of p27 suppressed by 100 ${\mu}M$ hydrogen peroxide. ICR mice were injec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delphinidin and both. Western blot analysis for the mouse large intestinal tissue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p27 was upregulated by 25 mg/kg BW hydrogen peroxid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27 regulation with hypoxia-inducible factor 1-beta (HIF-$1{\beta}$), the level of p27 was analyzed in wild-type mouse hepatoma hepa1c1c7 and Aryl Hydrocarbon Nuclear Translocator (arnt, HIF-$1{\beta}$)-defective mutant BPRc1 cells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While the level of p27 was responsive to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it remained unchanged in BPRc1, suggesting that the regulation of p27 requires functional HIF-$1{\beta}$. We also found that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affected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which is one of upstream regulators of HIFs. In conclusion, hydrogen peroxide and antioxidant delphinidin seem to regulate intracellular level of p27 through regulating HIF-1 level which is, in turn, governed by its upstream regulators comprising of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The results should also encourage further study for the potential of p27 as a biomarker for intracellular oxidative or antioxidant status.

대두박으로부터 분리한 식용 조사포닌의 항암 및 면역활성 (Anticancer and Immuno-Activities of Edible Crude Saponin from Soybean Cake)

  • 박경욱;위재준;김재용;정창호;강갑석;조영숙;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09-1513
    • /
    • 2005
  •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박으로 부터 HP-20 수지를 이용하여 식용조사포닌을 분리한 후 이들에 대한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식용사포닌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A-549, MCF-7 및 SW480과 같은 암세포주의 성장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폐암세포주에 1000 ${\mu}g/mL$의 농도를 사포닌을 첨가였을 때 세포의 형태가 심하게 변화되었다. 사포닌은 생쥐의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면역세포에 대하여 1 ${\mu}g/mL$의 농도까지 는 대조구에 비하여 그 증식을 유도하였으나 그 농도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사포닌의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함량이 높게 생성되었다.

구절초에서 분리한 Flavonoids의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 권현숙;하태정;황선우;진영민;남상해;박기훈;양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6-749
    • /
    • 2006
  • 구절초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로부터 2종의 flavonoid화합물을 분리하여 NMR을 통해서 구조를 확인한 결과, luteolin (1)과 acacetin (2)으로 구조 동정되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 luteolin (1)은 구절초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sulforhodamine B (SRB) assay법에 따라 인체암세포주인, HCT116 (결장암) , UO-31 (신장암), PC-3 (전립선암) 와 A549 (폐암)등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acacetin (2)이 HCT116 $(IC_{50}\;2.44\;{\mu}g/ml)$과 UO-31 $(IC_{50}\;2.89\;{\mu}g/ml)$에서 유의할만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뽕나무버섯부치(Armillaris tabescen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Against Mouse Sarcoma 180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Armillaria tabescens)

  • 이건우;김혜영;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뽕나무버섯부치는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만성간염, 담낭염 및 암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맛이 좋은 식의약용 버섯이다. 뽕나무버섯부치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2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8.8{\sim}46.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에 비해 약 $1.8{\sim}2.1$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9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흥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Yuza(Citrus junos) Extracts and Ascorbic Acid on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9-654
    • /
    • 2006
  •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97.87{\mu}g/mg$$121.17{\mu}g/mg$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0.28{\mu}g/mg$$0.59{\mu}g/mg$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비타민 C를 첨가할 경우가 상승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농도($30{\mu}g/mL$) 시료보다는 고농도($300{\mu}g/mL$)에서 전자공여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과피 추출물 $1,000{\mu}g$에 비타민 C $500{\mu}g$를 혼합한 경우의 비타민 C $500{\mu}g$ 단독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20분 반응에서 2.6배, 40분 1.5배, 60분에는 1.2배가 높았다. 환원능은 유자 과피 추출물의 $30{\mu}g/mL$$50{\mu}g/mL$ 저 농도에서 고농도에서와 비슷하게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자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서 다른 암 세포주에 비하여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mL$에서는 각각 63.8%와 73%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는 모든 시험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추출물이 과육 추출물보다 항암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은 함유되어 있는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