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anu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7초

여름철 및 겨울철 수괴에 따른 대한해협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양상 (Patterns of Zooplankton Distribution as Related to Water Masses in the Korea Strait during Winter and Summer)

  • 장민철;백승호;장풍국;이우진;신경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37-5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zooplankton in relation to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Strait during the winter (February) and summer (July) of 2009. Satellite ima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in situ CTD data showed that the southeastern water zone (St3-5) off Jeju Island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Tsushima Current during both the winter and summer, whereas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haracterized as water with relatively low salinity, was evident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during the summer. During winter, zooplankton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ummer, with dominance by copepods, ostracods, siphonophorans, appendicularians, and nauplii. In both seasons, copepods represented >70% of the total zooplankton population. Calanus sinicus, a large calanoid copepod, was dominant in near the coast, and that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trusion of low salinity water (i.e.,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along the coast. The abundance of P. parvus s.l. and A. omorii, known as neritic copepods, was mainly associated with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Foraminiferans, Ostracods, O. plumifera, and P. aculeatu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astern water off Jeju Island during both seasons; showing their association with the Tsushima Current, which is characterized warm, high salinity wat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zooplankton are highly influenced by different water masses in the Korea Strait.

Salinity Effects on the Survival of the Meta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eamankeum Areas

  • Kim, Seong-Taek;Kim, Jong-Hyeok;Pae, Se-Jin;Jeong, H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4호
    • /
    • pp.211-215
    • /
    • 2003
  • A huge freshwater reservoir (ca. 12,000 ha) will be created when the construction of a 33­km dike on a huge mud flat of the Saemankeum areas is established. A large quantity of freshwater will emerge to the adjacent sea from the reservoir through two big gates. Marine organisms outside the dike are expected to frequently experience low salinity waters. To investigate the salinity effects on the dominant meta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f Saemankeum areas, we measured the survival (Survival 1H and Survival 24H) of 11 different taxa (the copepods Acartia omorii, A. pacifica, Calanus sinicus, Centropages abdominalis, Paracalanus indicus, Pseudodiaptomus inopinus, Tortanus forcipatus, and a hydromedusa, and barnacle nauplius, polychaeta larva, and a chaetognath Sagitta sp.) at salinities of 0, 5, 10, 15, 20, 25, 30, 35, and 40 psu when the organisms were exposed for 1 and 24 h, respectively. Survival 1Hs of P. inopinus and barnacle nauplius were 100% between 5 and 35 psu, while they were 0% at salinities of 0 and 40 psu. Survival 1Hs of A. omorii and A. pacifica, P. indicus, T. forcipatus, and polychaeta larva were 100% at $salinities\;\geq\;10$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1Hs of a hydromedusa and Sagitta sp. were 100% at $salinities\;\geq\;15$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1H of C. abdominalis and C. sinicus was 100% at $salinities\;\geq\;20$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24Hs of A. omorii, A. pacifica, C. abdominalis, barnacle nauplius, and polychaeta larva were the same as Survival 1 Hs at the same salinity, while those of the other metazooplankton were lower than Survival 1H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low salinity water emerging from big gates may cause the death of the metazooplankton, but the salinities at which death of the metazooplankton occurs may differ by species.

2017년 봄철 한국 남해와 북부동중국해의 살파 Salpa fusiformis 대량 출현 (Mass Occurrence of the Salp Salpa fusiformis during Spring 2017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강형구;김가람;강정훈;김민주;노재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135-145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mass occurrence of the salp Salpa fusiformis during spring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bundance of S. fusiformis and dominant taxonomic groups including copepods, ostracods, euphausiids, and appendicularian was examined alo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at 27 stations ranged from 0 to $183\;inds\;m^{-3}$. Both aggregate and solitary forms of S. fusiformis occurred with a mean abundance of $62\;inds\;m^{-3}$ and $4\;inds\;m^{-3}$, and mean body length of 6.5 mm and 15.4 mm, respectively. Redundancy analysis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dicating the intensive grazing impact of S. fusiformis on phytoplankton. While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increased, the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community decreased. The abundances of total copepods and the dominant copepod species (e.g., adults and/or copepodites of Paracalansus parvus s.l., Calanus sinicus, Oithona similis, and Corycaeus affinis) also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 fusiformis abundance. However, the abundance of ostracods, euphausiids, and appendicularians was not affected by the mass occurrence of the sa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ss occurrence of S. fusiformis in spring could negatively affect ecosystem conditions by changing trophodynamics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Seasonal changes in copepod biomass and production in Gamak Bay, Korea

  • Moon, Seong Yong;Oh, Hyun J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171-179
    • /
    • 2021
  • To better understand the ecological functioning of the coastal ecosystem in Gamak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easonal changes in the density,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 community were investigated. Environmental measurements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 a) and copepod sampling were performed seasonal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The mean density of copepods (excluding nauplii) varied from 949 to 5,999 ind · m-3; copepod density was at its highest from March to July. The copepod community comprised 32 taxa, including Calanoida, Cyclopoida, and Harpacticoida.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Paracalanus parvus s. l., Acartia omorii, Eurytemora pacifica, Oithona similis, A. erythraea, Centropages abdominalis, Pseudodiaptomus marinus, and Calanus sinicus. There were significant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copepod total biomass, which ranged from 0.33 to 43.10 mg C m-3. Mean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s in Gamak Bay, estimated as 2.05 ± 1.63 mg C m-3 d-1 using the Huntley and Lopez growth model, was over 2 times higher than the value given by application of the Hirst and Bunker model (1.09 ± 0.85 mg C m-3 d-1). The daily production rate to biomass (P/B) ratio varied between 0.08 and 0.86 d-1 (Huntley and Lopez model), and 0.18 and 0.33 d-1 (Hirst and Bunker model). Our results emphasize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using models to estimate the secondary production of copepods and provides the first report of copepod production in Gamak Bay.

영일만 쇄파대에 나타나는 부유성 요각류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Surf Zone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유옥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7-536
    • /
    • 1996
  • 동물플랑크톤이 쇄파대에서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가를 연구하면서, 부유성 요각류 일곱 종의 주야 수평이동 양상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서 수심 1m 되는 곳의 표층과 저층과 해변가 세 곳을 썰매형 네트로 채집했다(총시료수=108개). 쇄파대 요각류 집단은 일곱 종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e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Labidocera bipinnata)이 우점했다. 쇄파대 요각류의 주${\cdot}$야간 생물량 차는 약 세 배였다. 표층에서 채집한 전체 요각류와 우점하는 일곱 종의 생물량은 주간보다 야간에 모두 유의하게 많았다. 하지만, 저층에서 주${\cdot}$야간 생물량의 차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쇄파대 요각류의 약 $90\%$가 주야 수평이동하는 것을 밝혔다. 조금때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었지만, 표층에서 야간에 요각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가 해류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반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헤엄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요각류는 상대 조도의 변화에 따라 광반응 행동을 하고, 그래서 야간에 쇄파대에 모였다가 주간에 흩어지게 하는 주야 수평이동이 나타난 것 같다. 주야 수평이동은 요각류가 시각 포식자와 마주칠 기회를 줄일 것이다. A. hudsonica가 개체발생 단계별로 이동시각을 달리한 것은 발생단계에 따라 광반응 행동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먹이를 둘러싼 종내 경쟁을 줄일 것 같다. 요각류 이동 자료에서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S. tenellus 네종은 한 시간 이상 유영속도를 $20m\;h^{-1}$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쇄파대에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바로 알려면, 주야 생물량이 매우 다르므로 주간과 야간 채집을 함께 해야 한다.

  • PDF

한국 연안에 출현하는 부유성 요각류의 종다양성과 주요 종의 분포특성 (Species Diversity of Planktonic Copepod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ts Major Specie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서민호;최서열;박은옥;정달상;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25-537
    • /
    • 2018
  • 각기 다른 해양 환경 특성을 보이는 서해, 남해, 동해, 제주연안역을 대상으로 춘계(5월)와 하계(8월)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봄과 여름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는 총 73종이었으며, 이 중 연안종이 28종이었다. 봄(49종)에 비해 여름(58종)에 출현 종이 다양하였다. 요각류 출현 개체수는 봄과 여름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난 동해연안해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봄에 Chl-a 농도가 높게 나타난 서해연안해역에서 출현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름에 제주연안해역에서 Chl-a 농도가 $0.6{\mu}g\;L^{-1}$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봄에 한국 연안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는 Acartia hongi, A. ohtsukai, Paracalanus parvus s. l., Oithona similis 이었다. 여름에는 이들 종 이외에 A. omorii, A. pacifica, A. steueri,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Corycaeus sp., Pseudodai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이었다. Paracalanus parvus s. l.은 봄에 조사 해역에서 최우점종 또는 차우점종으로 생태적 지위를 달리하였으나, 여름에는 전조사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요각류 군집특성은 수온, 염분, Chl-a 농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서해, 남해, 동해, 제주 4구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한국근해 동물성 부유생물의 주요군의 양적 분포 (Zooplankton Abundance in Korean Waters)

  • 박주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5
    • /
    • 1973
  • 1967년 3월과 8월 쿠로시오 국제 합동조사의 일환으로 채집한 부유생물 시료로서 동물성 부유생물의 양적분포, 특히 35군에 대한 개체수출현조성을 고찰하였다. 1. 현존량(습중량, mg/㎥)은 해역별 및 시기별로 각기 농도를 달리하고 있다. 3월은 동해남부해역이 30-400mg/㎥, 평균 130mg/㎥로서 가장 풍부한 곳이며 제주도 서방과 서해측은 대부분 50mg/㎥이하로서 농도가 가장 빈약하였다. 8월은 3월과 대조적으로 제주도 서남방 및 서해측과 남해 연안측이 20-1,060mg/㎥, 평균 약 130mg/㎥로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이나 동해쪽은 비교적 희소한 편이었다. 소라도 근해는 전기간 풍부하고 서해측은 3월은 연안에 8월은 외양이 더욱 풍부했고 난류주류역은 희소한 편이었다. 2. 35개군의 개체수 출현상황은 해역별 및 시기별 농도가 습중량의 것과 비슷한 경향임을 알수 있다. 3월은 동해남부 해역이 230-1,240mg/㎥, 평균 750mg/㎥로서 가장 풍부한 곳이며, 제주도 서방 및 서해역은 평균 200mg/㎥ 정도로서 희소한 곳이었다. 8월은 난류 주류역을 제외한 남해연안측과 제주도 서남방이 140-3,180mg/㎥, 평균 약 850mg/㎥로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곳이며, 동해측은 약 500mg/㎥로서 빈약한 편이었다. 3. 주요군별 개체수의 출현조성은 요각류가 3월에 69%, 8월에 58% 차지하는 지배적인 군이며, 다른군들은 해역별 시기별로 조성률의 순위가 다소 상이하나 대체로 3월은 유우파우시아류, 관해파리류, 모악류, 미충류 순이고 8월은 모악류, 지각류, 미충류, 유우파우시아류, 관해파리류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해역별 조성상의 큰차이를 볼 수 있는 곳은 서해오 ㅏ동해남부 해역으로서 전자는 타 해역에서 압도적인 요각류가 8월에 42%정도 뿐이고 반면 지각류와 모악류가 특히 농밀히 조성되어 있으며 후자는 관해파리와 유우파우시아류가 많았다.의 압축강와 흡수율과의 관계는 후라이애쉬를 제외하면 다른 재령에서와 같이 흡수율이 적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되며 회기직선관계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후라이애쉬는 장기강도에서 그 특징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어 다른 콘크리트의 흡수율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7) 부식율에 있어서는 1년간 해수작용을 받었을 때 각 콘크리트의 유의적인 부식율이 인정될 수 없으며 외관상에서도 부식현상을 식별할 수 없었다.대에 따라 3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의 토대위에 향후 필요분야마다 구분이 가능한 기후특성을 포함시킨다면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해설될 수 있는 유역군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즉, 토양특징, 농업특징, 기후특징에 비점오염가능성 등 토지이용상 문제점등을 포괄한다면 다양한 자연현상을 기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역군이 될 것이다. 별변화가 없으나 황색종, Turker종 및 재래종은 파기가 늦어짐에 따라 낮아지고 이는 파종기에 따른 엽장과 엽폭의 신전율이 종류에 따라 차가 있기 때문이다. 9. 품질은 Turkey종이 가장 높고 황색종 음건종, 재래종의 순이고 또 황색종은 2-3파기 Turkey종은 1파기, 음건종은 3파기의 것이 가장 양질이였으나 재래종은 파기에 따른 변동이 별로 없었다. 그러므로 질과 양을 함께 고려하면 황색종 및 음건종은 3파기가 적기이고 재래종은 3-4파기이나 향끽미료인 Turkey종은 질에 중점을 둔다면 1-2파기가 파기적기라고 볼수 있다. 일반적으로 품질은 책장조직의 발달이 좋고 세포간극률이 낮으며 세엽형인 것이 양질로 판정되나 종류에 따라 차가 있다. 10. 전알카로이드는 Turkey종이 낮고 황색종, 음건종, 재래종의 순으로 높다. 향끽미용인 Turkey종 및 황색종은 파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하나 음건종 및 재래종은 감소된다. 이에 수반하여 함질화합물도 Turkey종이 가장 적고 다음이 황색종,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