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ke Layer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4초

미세입자(微細粒子)를 함유(含有)한 슬러지의 고효율(高效率) 탈수(脫水) 연구 (A study for High Efficiency Dewatering of Sludge Contained Fine Particles)

  • 이정언;이재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4호
    • /
    • pp.36-43
    • /
    • 2006
  • 입자의 크기가 $5{\mu}m$ 이하인 미세입자를 함유한 안료 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될 때 기공의 크기가 매우 작아 물의 배출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기존의 외부가압력으로 탈수하는 기계식 탈수방법으로 탈수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케이크 층에 저온 열을 인가하여 케이크 충의 기공으로부터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탈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다. 케이크 층에 일정한 온도를 공급 할 수 있는 Piston형 열 탈수장치를 구축하여 미세 안료 입자 200g에 대하여 탈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여액량은 176.8g, 케이크 무게는 19.4g, 케이크 두께는 4.2mm로 측정되었으며, 함수율은 47wt%이며 면적당 건조 입자의 잔류량(여과 속도)은 $2.1DS\;m^{2}{\cdot}cycle$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기계식 탈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비하여 여액량은 증가하였으며, 케이크 무게와 두께는 감소하였고 탈수속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함수율은 약 30%감소하여, 전반적으로 탈수율이 매우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이유는 케이크 층에 열을 인가함으로서 케이크 기공에 작용하는 내부 증발압으로 인해 물이 케이크 충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 입자를 함유한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고효율 탈수 시스템 구축에 있어 매우 유용한 기술로 평가된다.

구기자 분말의 첨가가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ycium chinense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 김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3-407
    • /
    • 2005
  • 구기자의 기능성을 지닌 케이크의 제조를 위해서 밀가루의 4%, 0%, 12%, 16%, 20%를 구기자 분말로 대체한 후에, 케이크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저장기간 동안의 케이크의 경도와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케이크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구기자 함량이 12%, 16%, 20%인 반죽의 비중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지만, 케이크의 비 체적은 20%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껍질색은 구기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이 진해지괴 어두워졌으며, 내부색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둡고 주황색이 진해졌다. 구기자를 4%, 8% 함유한 케이크는 촉촉함과 부드러움성, 기호도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케이크에 대한 구기자 분말의 최적 대체비율은 4-8%로 나타났다.

커피 실버스킨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Added with Coffee Silver Skin)

  • 안혜령;황윤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45
    • /
    • 2013
  • 본 연구는 커피 실버스킨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서 0%, 3%, 5%, 7%로 대체 첨가하여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비중은 실버스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용적은 실버스킨 함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피지수는 실버스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칭지수와 균일지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의 부피지수, 대칭지수와 균일지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조직감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경도와 가장 높은 탄력성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버스킨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는 높아졌으나 탄력성은 낮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의 수치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향과 맛은 SS5가 가장 높았고 외관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SS3이 가장 높았다.

  • PDF

ESTIMATION OF CAKE FORMATION ON MICROFILTRATION MEMBRANE SURFACE USING ZETA POTENTIAL

  • Alayemieka, Erewari;Lee, Seock-Heon;Oh, Jeong-I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01-207
    • /
    • 2006
  • A simple empirical model with good quantitative prediction of inter-particle and intra-particle distance in a cake layer with respect to ionic strength was developed. The model is an inverse length scale with functions of interaction energy and hydrodynamic factor and it explains that the inter-particle and intra-particle distance in a cake is directly related to the effective size of particles. Particle compressibility with respect to ionic strength was also predicted by the model. The model corroborated very well with experimental results of polystyrene microsphere latex particles microfiltation in a dead end oper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model, specific cake resistance could be controlled by the same variables affecting the height of particle energy barrier described by the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theory.

사워종 분말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Added with Sourdough Starter Powder)

  • 안혜령;안희정;이광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9-356
    • /
    • 2013
  • When making a yellow layer cake, an existing chemical leavening agent, sourdough starter powder, was used instead of using baking powder in order to produce batter where the acid agent in the baking powder was reduced using baking soda. The control group had the lowest share of the batter and therefore had the highest specific volume. In a test group, the share of SP4 was low and therefore, the specific volume was high. In terms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volume, symmetry and uniform index was high in SP4 in the test group.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followed by SP4. In terms of texture, the control group had the lowest hardness and highest springiness. In the test group, SP4 had the lowest hardness and highest springiness.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s that SP4 had the best taste and flavor.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SP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verall. However,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고액분리 통합이론에서 pd의 역할: 간섭침전, 케이크 여과, 압착에서 케이크 두께를 중심으로 (The Role of pd in the Unified Theory on Solid-Liquid Separation: Especially on the Cake Thickness at Hindered Sedimentation, Cake Filtration and Expression)

  • 임성삼;송연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334-342
    • /
    • 2012
  • 새로 개발된 '고액분리 통합이론'의 핵심 개념인 '케이크 첫 입자층이 받는 압력 $p_d$'의 역할을 인식하기 위해, 고압축성 케이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고액분리 분야를 새로운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침전된 플럭의 케이크 여과에서 여과 대상이 되는 침전 플럭의 두께 계산에서 $p_d$의 역할과, 케이크의 형성 두께 계산에서의 $p_d$의 역할. 둘째, 압착 과정에서의 $p_d$의 역할, 그리고 마지막으로 간섭침전 결과 쌓이는 높이에 미치는 $p_d$의 역할과 간섭침전 과정에서의 $p_d$의 중요성을 보였다. 이로써 고액분리 통합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에 있어 $p_d$의 중요성을 밝힐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케이크 여과, 압착, 간섭침전의 이론적인 새로운 정의가 가능해졌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Yellow Layer Cake Prepared with Diacylglycerol Oil)

  • 문성란;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75-7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 제조 시 트랜스지방산 함량을 줄이고 인체 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켜 저열량의 효과가 있는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사용하였을 때의 품질 특성을 보고자하였다. 대조구는 마가린만을 사용하였고, 실험처리구는 마가린 무게에 대하여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을 10, 20, 30, 40%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여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를 제조하였다. 반죽의 pH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반죽의 겉보기 점도는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pH 측정결과는 반죽의 pH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30% 첨가 시 부피와 수분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케이크의 명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적색도, 황색도, 총색차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텍스처의 경우 경도, 부착성, 검성과 씹힘성은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결과를 보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20%와 30% 첨가 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30% 첨가하여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를 만들 경우 맛과 품질을 향상시켜주고,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줄이며, 인체 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켜 저열량 케이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BR 공정에서 간헐공기주입에 따른 겔층 제거 메커니즘 (Mechanism of Gel Layer Removal for Intermittent Aeration in the MBR Process)

  • 노수홍;최영근;권오성;박희성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188-1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침지형(YEF 750D-2) 모듈을 적용하여 공기유량에 따른 유체 유속과 간헐적인 세정공기의 공급에 의한 오염제거를 평가하는 것이다. 공기유량에 따라 모듈의 유체 유속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LSS의 농도가 1,000 mg/L 증가할 때 마다 $3\times10^{-4}m{\cdot}min/sec{\cdot}L$의 비율로 유체 유속이 감소하였다. 세정공기의 공급이 정지되는 시간에 전여과가 일어나 흡인여과 시간 동안 겔층 위에 케익층이 형성되었다. 20초 정지와 20초 공기공급의 간헐공기주입으로 형성된 케익층이 역세정에 의하여 제거되면서 압력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겔층이 제거되는 메커니즘은 세정 공기공급을 교대로 하여 겔층 위에 케익층을 형성시켜 케익층이 제거될 때 겔층이 함께 제거되는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Fundamentals of Particle Fouling in Membrane Processes

  • Bhattacharjee Subir;Hong Seungkwan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7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ermeate flux decline due to membrane fouling can be addressed using a variety of theoretical stand-points. Judicious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heory is a key toward successful prediction of the permeate flux. The essential criterion f3r such a decision appears to be a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the feed solution and membrane properties. Modem theories are capable of accurately predicting several properties of colloidal systems that are important in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from fundamental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particle size, charge, and solution ionic strength. Based on such information, it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concentrated colloidal dispersion in a polarized layer or the cake layer properties. Incorporation of such information in the framework of the standard theories of membrane filtration, namely, the convective diffusion equation coupled with an appropriate permeate transport model, can lead to reasonably accurate prediction of the permeate flux due to colloidal fouling. The schematic of the essential approach has been delineated in Figure 5. The modern approaches based on appropriate cell models appear to predict the permeate flux behavior in crossflow membrane filtration processes quite accurately without invoking novel theoretical descriptions of particle back transport mechanisms or depending on adjust-able parameters. Such agreements have been observed for a wide range of particle size ranging from small proteins like BSA (diameter ${\~}$6 nm) to latex suspensions (diameter ${\~}1\;{\mu}m$). There we, however, several areas that need further exploration. Some of these include: 1) A clear mechanistic description of the cake formation mechanisms that clearly identifies the disorder to order transition point in different colloidal systems. 2)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a cake layer based on the interparticle and hydrodynamic interactions instead of assuming a fixed geometrical structure on the basis of cell models. 3) Performing well controlled experiments where the cake deposition mechanism can be observed for small colloidal particles (< $1\;{\mu}m$). 4) A clear mechanistic description of the critical operating conditions (for instance, critical pressure) which can minimize the propensity of colloidal membrane fluting. 5) Developing theoretical approaches to account for polydisperse systems that can render the models capable of handing realistic feed solutions typically encountered in diverse applications of membrane fil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