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ge Densit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1초

동해안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성장 (Growth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Suspended Culture in the East Coast of Korea)

  • 박영제;노섬;이채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1-195
    • /
    • 2001
  • 동해안의 주문진 연안에서 1991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한해성 패류인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Jay) 양식산업의 안정화와 지속적 생산을 위한 채롱식 본양성의 적정 서식환경조건, 이식시기 및 양성기간, 적정수용밀도와 성장, 양성 적수층, 상품출하시기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북한한류의 영향을 받는 본 연구해역에서 참가리비의 주 양식수층인 15~30m 층의 수온은 4.7~21.4$^{\circ}C$로 참가리비의 서식에 적합한 5~23$^{\circ}C$ 범위였으나 표층은 4.9~25.7$^{\circ}C$로 서식수온을 벗어났다. 양식 적정수온을 보인 해는 1993년과 1996년이었고, 고수온을 보인 해는 1994년, 1997년, 1998년이었다 특히 고수온과 함께 일교차가 크고 불규칙한 변동이 지속되는 시기에 나타나는 성장저하 및 폐사 현상은 수온과도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심 15m층에서 염분은 32.0~34.4$\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4.14~8.11 ml/L로 생육에 비교적 적합하였다. Chlorophyll a의 농도는 0.06~2.73$\mu\textrm{g}$/L로 빈영양 해역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해에 따른 변동이 크고 특히, 현저히 감소하는 여름시기에 참가리비의 폐사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수온과 함께 참가리비의 성장을 지배하는 하나의 제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채롱식 수하양성에 의한 성장은 봄, 가을 연중 2회의 주 성장시기가 있었다. 봄 성장기는 3~5월로 이때의 수온은 8~13$^{\circ}C$였고, 가을 성장기는 10~12월로 11~17$^{\circ}C$였다. 반면, 저성장 시기도 연간 2회로 나타났는데, 성장이 늦은 겨울시기는 1~2월로 수온 7$^{\circ}C$ 이하였고, 여름철은 7~9월로 수온 18$^{\circ}C$ 이상일 때 느렸다. 일간 각고 성장량은 수용믹도 12개체에서 0.02~0.24mm/day였고, 전중량은 -0.07~0.90g/day였다. 전중량의 주된 증가 시기는 역시 연중 2회로, 봄 성장은 2월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산란 직전인 4월에 최고에 이르고, 가을 성장은 10~12월이었으며, 고수온기인 8~9월은 중량증가가 매우 낮았다. 채롱(lantern cages ø50x20cm)에 의한 적정 양성수용밀도는 각고 5~6cm 크기의 경우 10~15개체가 적합하였다. 수증별 성장은 15~20 m 수층에서 빨랐으며, 성장촉진과 폐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수온이 지속되는 7~10월에는 20~30m수층으로 채롱을 내려 양성하고 그 외 시기에는 15 m층 내외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으로 출하 가능한 크기 인 각고 10 cm이상, 전중량 140 g 내외로 성장시 키기까지는 채묘후 22개월이 소요되었고, 출하시기는 전중량 증가가 최대에 이르는 3월에서 4월 중순이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해상가두리 및 실내 육상수조에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적정 수용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tocking Density of the Juvenile Abalone, Hailotis discus hannai Net Cage Culture or Indoor Tank Culture)

  • 김병학;박민우;손맹현;김태익;;명정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9-195
    • /
    • 2013
  • 전복 치패의 성장은 해상가두리의 경우 $m^2$ 당 150마리 실험구에서 $60.53{\pm}5.75$ mm로 가장 빨랐고, 300마리 $54.01{\pm}5.17$ mm, 450마리 $51.48{\pm}5.37$ mm 및 600마리 $51.09{\pm}4.96$ mm 순으로 나타났다. 육상수조의 경우 $m^2$ 당 150마리 실험구에서 $47.50{\pm}6.31$ mm로 가장 빨랐고, 300마리 $45.92{\pm}5.23$ mm, 450마리 $44.24{\pm}5.59$ mm 및 600마리 $43.62{\pm}4.44$ mm 순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97.9% 이상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험 결과 실험개시 후 3개월 이전에는 성장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3개월 이후에는 성장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6개월부터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고밀도 실험구인 450마리 및 600마리에서는 3개월 후부터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비교적 낮은 300마리 실험구에서도 6개월 후부터 150마리 실험구에 비해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전복 가두리양식에 적용하면 일반적인 수용밀도인 $m^2$ 당 300마리 ($2.4{\times}2.4$ m, 1칸당 1,500마리) 로 1년간 사육 후 분조하는 방법에서는 사육개시 6개월 이후부터 성장이 급격히 둔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1년 후 분조하는 방법으로 사육할 경우는 $m^2$ 당 150마리 ($2.4{\times}2.4$ m, 1칸 당 750마리) 가 적정 수용밀도라 생각되고, 기존의 수용밀도인 $m^2$ 당 300마리로 사육할 경우 6개월 후 분조하여 밀도를 낮출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전복 가두리양식에 적용하는 것이 양식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안 삼척 호산에 서식하는 둥근성게 Strongylocentrotus nudus의 분포와 피식 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in Relation to Predation Pressure in Hosan, the East Coast of Korea)

  • 유재원;손용수;이창근;김정수;한창훈;김창수;문영봉;김동삼;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1호
    • /
    • pp.40-49
    • /
    • 2004
  • 강원도 삼척 호산해역에서 해조장의 회복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짐작되는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nudus) 개체군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2년 6월의 예비연구를 통해 조하대에 3개 실험구(인공해조장. 갯녹음지역, 자연해조장)를 설정하고, 8월, 10월, 12월에 둥근성게의 분포와 섭식률, 포식압, 포식자 조합을 추정하였다. 둥근성게의 서식 밀도는 자연해조장에서 가장 낮았으나, 각경(test diameter)의 중위수는 가장 큰것(Kruskal-Wallis test, 8월, p<0.001; 10월, p=0.036)으로 나타났다. 둥근 성게의 먹이 섭식률을 추정하기 위한 실험(enclosure cage experiment)은 자연해조장에서 수행되었으며, 8월과 10월에 각각 160, 13.8 mg seaweed/g sea urchin/day로 추정되었다. 둥근성게에 대한 상대적인 포식압의 실험구 간 비교를 위해 수행된 포박실험 (tethering experiment)으로부터 자연해조장의 포식압이 다른 두 실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도중 현장에서 관찰된 포식자는 대부분 무척추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 포식의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죽은 성게나 산 성게를 담은 통발을 이용하여 포식자 조합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둥근성게의 포식자는 복족류 Neptuned arthritica와 별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집게류 Pagurus cf. samuelis, 그리고 게류에 속하는 Atergatis integerrimus 등이며, 집게류인 Paguristes barbatus와 게류인 Actaea subglobosa도 가능성이 있는 포식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험구 간 대비되는 관찰 결과로부터 (1)성게의 낮은 서식 밀도와 관련된 요인은 포식압이며, (2) 이는 조사 해역의 백화 현상의 발생, 유지와 낮은 포식압 간 가능한 상관관계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Macrozoobenthos at the Intensive fish Fanning Groun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임현식;김성수;박종수;전경암;이영식;이재성;김귀영;고우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4호
    • /
    • pp.235-246
    • /
    • 2002
  • 가두리를 이용한 집약적 어류양식은 지난 20년 동안 남해안의 만 내에서 크게 활성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약적 가두리 양식은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과 갊은 형태로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킨다. 본 조사는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인 가막만의 월호도와 통영의 학림해역에서 가두리 양식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1월에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가두리 양식장 인접지역에서 저서동물은 종 수. 밀도, 다양도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런 변화는 가두리로부터 30m 이내에서 나타났다. 가두리로부터 5m 이내에서 낮은 다양도와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다 15~30 m 지점에서는 높은 종 수와 밀도를, 그리고 가두리가 설치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높은 다양도를 보이는 정상적인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두리로부터 0~5m 지점은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부영양화 되었으며, 15~30m지점은 부영양화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두리 양식장은 다른 형태의 유기물 오염과 유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 폐쇄적인 만에서 가두리 양식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에 의한 자가오염은 해양 저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큰이랑피조개 Scapharca satowi의 양성 밀도별 성장 (Density Dependent Growth of Scapharca satowi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송홍인;박광재;조영록;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5-155
    • /
    • 2002
  • 큰이랑피조개의 적정양성 밀도와 양성방법에 따른 성장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내파수도 앞바다에서 2000년 4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양성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성시험 기간 중 표층수온은 4.2~25.5$^{circ}C$, 염분은 30.23~32.15 $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5.12~7.16 $mell$/L이었고, pH는 7.84~8.17이었다. 영양염류 중 인산염은 0.22~0.56 $mu$M 및 용존무기질소는 3.16~9.10 $mu$M, 부유물질은 7.6~17.9 mg/L, COD는 0.46~1.61mg/L 및 chlorophyll-a는 0.92~5.93$\mu\textrm{g}$/L로 양성에 비교적 적합하였다. 각장의 일간성장 값은 채롱수하식이 0.066~0.071mm/day, 바닥식은 0.Off~o.082mm/day로 밀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전중량의 일간성장 값은 채롱수하식이 0.067~0.082 g/day, 바닥식은 0.099~0.114 g/day로 밀도가 높을 수록 낮았다. .양성방법에 따른 성장률의 유의적 검증에서 각장은 채롱수하식과 바닥식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P = 0.08), 전중량에서는 유의차가 있었다 (P = 0.0004). 양성밀도에 따른 각장 성장률의 유의적 검증에서 밀도에 따른 각장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P < 0.0001). 또한 전중량도 각장과 같이 채롱수하식 (P < 0.0001)과 바닥식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P : 0.0012). 각장과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수온이 낮아짐에 따라 성장률도 낮아지는 경향으로 전중량보다는 각장 성장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하식으로 양성한 것은 바닥식에 비해 패각 중량은 무거웠으나 육중량이 가벼울 뿐 만 아니라 동일 각장에서도 개체의 무게가 가벼웠다. 밀도별 생존율은 채롱수하식이 42.5~93.3%, 바닥식은 83.3~93.3%로 채롱수하식 및 바닥식 모두 밀도가 낮은 30개체구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양성밀도가 높아질수록 낮았다

시설재배 피망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밀도와 피해관계 (Relationship of larval density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to damage in greenhouse sweet pepper)

  • 박홍현;김광호;김정준;고현관;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1-355
    • /
    • 2010
  • 본 연구는 시설재배 피망에서 발생하는 담배거세미나방의 가해에 따른 피해양상을 규명하고 밀도와 피해관계를 해석에 합리적인 해충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잎에 대한 섭식량은 유충발육 진전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피해를 받은 잎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멍이 뚫리거나 부분적으로 소실되었고, 과실은 다소 큰 구멍이 과실 표면에 뚫리거나 꽃받침 주위에 지저분한 식흔들이 있었다. 2008년 자연발생 포장에서 피해과율은 최고 3.5%에 달했고, 포장내 유충밀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망사케이지 접종시험에서 유충 접종수준이 높을수록 비상품과율이 증가하였고 수확 2주전 담배거세미나방 유충밀도와 수확된 과질에서 피해과 비율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해과율 1, 3, 5%를 유발히는 담배거세미나방 2령 유충밀도는 각각 0.2. 0.5, 0.8마리/주에 달했다.

DENSITY DEPENDENT GRWOTH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ARED IN CAGES IN GOMSO-BAY, KOREA

  • Park, Kyung-Il;Yang, Hyun-Sung;Kang, Do-Hyung;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5
    • /
    • 2010
  • Density-dependant growth and mortality rat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ared in net cages was investigated in Gomso Bay, Korea where unusually high mortality of clams has been reported. For the experiment, four groups of clam cages were set up with a density of $2,000clams/m^2$ (group A), $1,000clams/m^2$ (group B), $500clams/m^2$ (group C) and $100clams/m^2$ (group D). Mortality and growth of clams in each experimental cage was monitored biweekly from May 2001 to September 2001. Highest mortality in group A was observed in late August, while highest mortality of rest groups was observed in early September. In September, the cumulative mortality in group A was 99%, while it was 93.2% in group B, 91.2% in group C and 88% in group D. Shell growth rate of clams in thecages was found to be density dependent; monthly shell length increase was 0.67 mm in group A, 1.33 mm in group B, 1.63 mm in group C and 1.71 mm in group D. Our study indicated that clam growth and mortality in the Bay is density dependent an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nsity.

Effect of Different Housing System on the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

  • Hassan, Md. Rakibul;Sultana, Shabiha;Choe, Ho Sung;Ryu, Kyeong Se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1-267
    • /
    • 2012
  • Different housing systems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performance in poultry produc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fferent housing systems on the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and egg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 Hy-line brown pullets (n=450) of 12 weeks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housing systems with 6 replicates of 25 birds in each room. A diet with 2,750 kcal/kg ME and 16.5% CP was assigned to all birds. The pullets provided free access to feed and water.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s for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were found in battery cages, however egg weight, egg shell color and breaking strength was remarkably (P<0.05) higher in floor system. The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attery cages which was statistically similar to aviary housing system. The egg yolk fatty acids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viary and in floor system, respectively, however both values were lower in battery cages.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 in egg yolk did not influence by any housing systems.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floor and aviary housing system than that of battery cage system. It was concluded that in battery cages the egg production and composition maximized, however higher bone mineral density and yolk fatty acids content can be improved in the laying hen reared on floor and aviary housing systems.

Analysis of Nonclassical Fullerene C24 Regioisomers Encapsulating H2O using Hybrid Density Functional Methods B3LYP and M06-2X

  • Lee, Seol;Lee, Ji Young;Lee, Kee Ha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3호
    • /
    • pp.899-904
    • /
    • 2014
  • The atomic structures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six classical and nonclassical $H_2O$@$C_{24}$ fullerene regioisomers are systematically studied using the hybrid density functional B3LYP method and M06-2X method with empirical dispersion in conjunction with the 6-31G(d,p) basis sets. The charge transfer, frontier orbitals, dipole moment, energy gap between the HOMO and LUMO, and volume change of the $C_{24}$ cage are analyzed upon encapsulation of a $H_2O$ molecule in each $C_{24}$ regioisomer. All encapsulation processes are endothermic and the relative stabilities of six $C_{24}$ fullerene regioisomers change upon encapsulation of $H_2O$.

Structural and Bonding Trends among the B7C11-,B6C2, and B5C31+

  • Park, Su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63-71
    • /
    • 2005
  • Equilibrium geometries, electronic structures, and energies of borocarbon clusters (binary compounds of carbon and boron), an unexplored class of molecules with highly unusua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B3LYP/6-311+G$^*$ density functional theory computations. A large number of B$_7$C${_1}^{1-}$, B$_6C_2$, and B$_5C_{3}\,^{1+}$ clusters with planar and non-planar monocyclic and polycyclic rings, as well as cage structures, have been systematically studied. Unexpectedly, planar forms are predicted not only to be the most stable structures, but also, in many cases, to have unprecedented planar heptacoordinate boron (p-heptaB) and planar heptacoordinate carbon (p-heptaC) arrangements. All these pheptaB and p-heptaC have 6π electrons and are aromatic according to the nucleus independent chemical shift (NICS). This novel bonding pattern is analyzed in terms of natural bond orbital (NBO) analysis. For virtually all possible B$_7$C${_1}^{1-}$, B$_6C_2$, and B$_5C_{3}\,^{1+}$ combinations, the p-heptaB arrangements are the more stable than other type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