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bage Kimch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양배추 김치의 숙성과정 중에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0-608
    • /
    • 2006
  • 토하액젓, 멸치액젓 및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를 4${\pm}$1$^{\circ}C$에서 49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젓갈 첨가 양배추 김치의 경우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산화환원전위 값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7일 전까지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는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 함량은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양배추 김치의 발효숙성 중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5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14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으며, 그 이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는데,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 대조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 및 토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숙성과정 중 산가용성, 염가용성 및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펙틴질인 열수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 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산가용성 펙틴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젓갈을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에서 대조군보다는 토하액젓과 새우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환원당, 총 비타민 C, 경도, 열수가용성 펙틴 및 산가용성 펙틴에서 높게 나타났다.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Prepared wth Chiness Cabbages Harvested from Field and Hydroponic Cultivation

  • Kim, Soon -Dong;Kim, Mee -Kyung;Youn, Kwang -Sup;No, Hong-Kyoon;Han, Duck-Chu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41-245
    • /
    • 1999
  • The potential of hydroponic cultivated Chinese cabbage as a kimchi material was evaluated. The hydroponic-grown (HG) Chinese cabbage was heavier in weight, taller in height, wider in width, but less in number of leaves compared with the field-grown (FG) Chinese cabbage. The former showed higher contents of calcium, iron, vitamin A and niacin, and lower lipid and vitamin C than the latter. During fermentation of 28 days at 1$0^{\circ}C$, FG and HG kimchis showed comparable pH and acidity values, besides that the FG and HG kimchis showed a pH value of 4.2 and 4.0, respectively, at the 14th day. The FG kimchi showed higher numbers of total microbes as well as total and typical lactic acid bacteria than the HG kimchi at the 7th day. However, both kimch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t 14th 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X}$L^{*}${/TEX} value between FG and HG kimchis. However, HG kimchi showed a more reddish hue than FE kimchi between the 7th and 14th day of fermentation. In sensory evaluation, the HG kimchi revealed a slightly more sour taste and a less crispy texture than the FE kimchi at the 14th day. However, both kimch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overall quality until the 21st day of fermentation.

  • PDF

새우젓을 첨가한 전통적 통배추 김치의 최적 제조 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Standard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whole cabbage Kimchi with salted shrimp)

  • 이종미;이혜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9-85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whole cabbage Kimchi with salted shrimp. Sensor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various salted shrimp level(1.8, 3.6%), fermentation time(12, 24, 36 hrs) and storage period(1, 4, 7 days) were measured. As the fermentation time and storage day were extended, pH of Kimchis decreased but titratable acidity of Kimchis increased. The more salted shrimp in Kimchi resulted in the higher titratable acidity. The longer fermentation time and the longer storage resulted in the more citric, malic and succinic acid, and the less lactic and acetic acid in Kimchi.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whole cabbage Kimchi were 3.6% salted shrimp level, 12 hours fermentation time and 84 hours(3.5 days) storage period.

  • PDF

녹차의 첨가방법이 김치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Methods of Green Te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 김경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6-410
    • /
    • 2002
  • 김치제조시 녹차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의 녹차추출물를 함유하는 소금물로 절인 후 담근 김치(I), 절임배추를 1% 녹차추출 물에 일정시간 담금후 제조한 김치(II), 녹차 1%를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김치(III)의 3가지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균수, 색상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숙성중 I~III의 경우보다 낮아 녹차처리구가 숙성이 지연되었다. 산도의 경우도 pH와 역으로 pH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녹차처리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조구의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각각 6.16~9.29 및 4.59~8.42 log cfu/mL로I~III의 5.40~8.38 및 4.99~8.07 log cfu/mL보다 높았다. 김치조직의 L*값은 I< II

숙성온도(熟成溫度)에 따른 김치의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김현옥;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4-81
    • /
    • 1975
  •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를 ion-exchange chromatography로 총유기산(總有機酸)을 분리(分離)하고, silicic acid parti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각유기산(各有機酸)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한 후(後) paper chromatography로 정성확인(定性確認)하였다.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maleic, fumaric, lactic, succinic, malonic, oxalic, glycolic, malic, citric, tartaric acid 의 유기산(有機酸)과 $H_2SO_4$, $H_3PO_4$ 의 무기산(無機酸)이 들어 있다. 생(生)배추에는 유기산(有機酸)이 염(鹽)의 형태(形態)로 많이 들어 있으며, malic acid가 가장 많고,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lactic acid+succinic acid 가 가장 많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이 많으며, citr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비슷하고, oxalic, malic, tartaric, fumaric, malonic, maleic, glycolic acid 의 생성량(生成量)은 적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가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더 상큼한 산미(酸味)가 많고 맛이 좋으며 이는 많이 생성(生成)된 lactic acid와 succinic acid 가 관련(關聯)이 되는 것 같다.

  • PDF

토하젓 첨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한국인과 일본인의 관능적 특성 평가 (Sensory Evalu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by Koreans and Japanese)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2-4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eans and Japanese.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9 items such as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off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was tested by Koreans or Japanese whose ages vary from 30 to 50 years old and each group had 25~30 evaluators. Kimchi at different stages of fermentation day 0, 10 and 18th was evaluated. Saltiness of kimchi was 1.5~2.1% through the fermentation period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4~5.6 to 4.3~4.4 during the fermenta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an and Japanese showed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col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ation for 10th days was scored significantly high by Korean group while the score for the savory taste wa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hot taste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ed 18th days scored significantly high and also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by Japanese group. The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Japane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abbage kimchi tested at 10 and 18th days fermentation.

  • PDF

재료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 유재연;이혜성;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4
    • /
    • 1984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부재료를 한가지씩 첨가한 각 시료들을 $12{\sim}16^{\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이산화탄소, alcohol 및 카보닐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succinic, fumaric, malic acid가 분리되었고,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formic, propionic, butyric, valeric n-heptanoic acid 등이 분리되었으며, 카보닐 화합물은 acetaldehyde와 acetone이 분리되었다. Lactic acid는 숙성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했고, 고춧가루, 마늘, 파가 첨가된 김치에 많았다. Acetic acid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서 두드러졌다.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 많았으며, alcohol류는 전 시료에서 ethanol 만이 확인되었다. Acetaldehyde와 acetone은 김치의 off-flavor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및 부산근교의 명가김치 발굴을 위한 연구 (A Study of Famous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 문갑순;송영선;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4-81
    • /
    • 1996
  • 김치는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가정마다 독특한 김치맛을 이어왔으나 최근 산업화와 주거환경의 변화 등으로 사먹는 김치의 수요가 늘고 있고 점차 레시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지역의 기호에 맞는 김치를 표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기호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긴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급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 및 부산인근의 예로부터 김치맛으로 유명한 명가김치들을 발굴하고 이를 현대화할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이의 발굴을 위해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내에 명가김치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러 채널을 통해 9종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를 발굴하였고 이를 공장김치나 문헌상의 김치의 레시피와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상의 특징은 고춧가루, 마늘, 젓갈의 사용량이 많았고 젓갈은 대부분 자가의 멸치젓을 사용하고 있어서 맛이 진하고 매운 남부지방 김치의 특성을 나타내 주었다. 생선류와 청각 같은 해산물의 사용이 많았던 것도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 다량의 고추가루를 개기 위하여 멸치 우린물이나 새우 우린물, 배ㆍ무ㆍ양파 즙을 사용하였고 찹쌀풀을 넣어 맛을 부드럽게 하였다. 재료의 선정에 매우 신경을 써서 좋은 배추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고추가루는 색깔을 중시하여 태양초를 선호하였고 풍부한 고명의 사용도 명가김치로서의 품위를 높이는데 소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절인배추 1000 g에 대한 부재료의 비에서 명가김치와 타김치와의 차이가 확실하여 김치에 첨가하는 부재료들의 다양성과 함량이 김치의 맛과 품위를 높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염농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남부지방 김치의 특징인 짭짤한 김치는 많지 않아서 2% 부근의 슴슴한 김치가 많았고 이는 소량의 김치담그기, 냉장고의 일반화 및 저염화의 경향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고 특히 대부분의 조사대상들은 김치의 소금절임 과정을 대단히 중시하여 슴슴하게 소금절임하는 것이 배추의 아삭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알고 있어 김치의 염농도와 조직감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

김치의 맛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에 관(關)하여 -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On Free Amino Acids-)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79
  • 김치의 지미성분(旨味成分)에 관해서 분석(分析)하고 멸치젓갈을 첨가(添加)한 경우와 첨가(添加)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해 보았다. 김치를 날김치, 숙성(熟成)시킨 김치, 멸치젓갈 10 ml/100 g of cabbage 첨가(添加)하여 숙성(熟成)시킨 김치, 멸치젓갈 15 ml/100 g of cabbage 첨가(添加)하여 숙성(熟成)시킨 김치, 4가지로 구분(區分)하고 Beckman model 116 amino acid autoanalyzer에 의(依)해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하였으며 아울러 유리당(遊離糖遊)의 정량(定量)도 병행(竝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모든 종류(種類)의 김치로부터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eine, valine, methion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等) 18가지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을 동정(同定)하였는데 각(各)김치에 있어서 각(各)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 또는 전(全) 아미노산(酸)의 총량(總量)에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날김치에 비(比)해 전(全)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총량(總量)이 감소(減少)하였고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 serine, arginine 등(等)의 아미노산(酸)의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더 현저 하였다. (3) 숙성(熟成)된 김치의 주요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glutamic acid, arginine, lysine, aspartic acid, alanine 등(等)이다. (4) 10%(주재료(主材料) 무게의) 멸치젓갈을 첨가(添加)하여 발효(醱酵)시킨 김치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소금김치에 비(比)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특히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등(等)이 많아서 김치의 맛을 더 좋게 하는 것 같다. (5) 날김치의 경우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이 많았으나 숙성(熟成)되면 감소(減少)하였고 숙성(熟成)된 다음에는 소금김치나 멸치 젓갈을 첨가(添加)한 김치나 간(間)에 주목(注目)할만한 유리당(遊離糖) 양(量)의 차이(差異)를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 PDF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발효성당의 영향과 Shelf-Life예측 모델 (Effects of Fermentable sugar on Storage Stability and Modeling Prediction of Shelf-Life in Kimchi)

  • 유형근;김기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7-110
    • /
    • 1992
  • 배추에서 발효성당을 0%, 30%, 58% 그리고 74% 제거한 후 김치를 제조하여, 초기당함량에 따른 산생성량을 알아보았으며 유통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였다. 김치의 적숙기에서의 산도인 0.75%를 김치에서 생성되는 데 소요되는 기간(T)을 보면 초기당함량(So)이 2.30%, 0.97%, 0.60%인 김치에서 각각 2일, 7일, 12일이었다. 이 관계를 T=-16.82 LogSo +7.66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배추에서 80%까지 발효성당을 제거할 경우 김치에서 최대 0.8% 정도의 산을 생성하므로써 본 연구에서의 유통기간 설정기준인 총산도 생성량으로 $25^{\circ}C$에서 30일 이상 보존 가능하였으나 관능적으로는 다소 우수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