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reconstructio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8초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the Glenoi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Validation through Comparison of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im, Jung-Han;Min, Young-Kyou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186-191
    • /
    • 2018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thods: We selected normal subjects (64 patients; group A) to study the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the glenoid by MRI measurements. To compare the MRI measurement method with the computed tomography (CT), we selected group B (70 patients) who underwent both MRI and CT. We measured the humeral-scapular alignment (HSA) and the humeral-glenoid alignment (HGA). Results: The HSA in the control group was $1.47{\pm}1.05mm$, and the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ere $1.15{\pm}0.65mm$ and $1.03{\pm}0.59mm$, respectively, on MRI. In the test group, HSA was $2.67{\pm}1.47mm$ and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as $1.58{\pm}1.16mm$ and $1.49{\pm}1.08mm$, on MRI. On CT, the HSA was $1.72{\pm}1.01mm$, and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ere $1.54{\pm}0.96mm$ and $1.59{\pm}0.93mm$, respectively. HS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mage modality (p=0.0006), but HG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reconstruction (p=0.8836 and 0.9234). Conclusions: Although additional CT scans can be taken to measure decentering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reliable measurements can be obtained with MRI alone. When using MRI, it is better to use HGA, which is a more reliabl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CT measurement (study design: Study of Diagnostic Test; Level of evidence II).

3D 동영상획득을 위한 Cone-Beam 형 X-Ray CT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X-Ray CT System Using the Cone-Beam for the 3D Dynamic Image Acquisition)

  • 정찬웅;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0-3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한 방사능 피폭량이 부챗살 형태의 Fan Beam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원추형 Cone Beam CT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X-ray가 조사된 각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영상처리부로 전송하고 영상을 구성하는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초월함수가 보다 적은 3단계 회전 행렬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회전 기반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시간단축을 통해 초당 3~5장의 영상을 얻음으로써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하였다.

3D CT 동영상 구성을 위한 속도 개선 알고리즘 (The Algorithm Improved the Speed for the 3-Dimensional CT Video Composition)

  • 정찬웅;박진우;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방사능 피폭량이 부챗살 형태의 Fan Beam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원추형 Cone Beam CT 시스템을 사용하여 3차원 영상을 빠르게 구성하기 위한 회전 기반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초월함수가 더 적은 3단계 회전 행렬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영상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돈 변환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3차원 영상과 비교하여 영상의 질은 평균적으로 단면 영상 당 10% 정도의 오차를 보이며 미약하게 저하되었으나 영상 구성 속도 면에서는 35배 개선됨을 보였다. 이는 대략 초당 $4{\sim}5$ 프레임을 얻을 수 있는 수치이며 간단한 구조를 가진 피사체라면 보다 많은 프레임을 얻을 수 있어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기법을 이용한 Bone SPECT/CT 검사에서 피폭량 감소 방안 (Reducing Dose in SPECT/CT Using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Technique)

  • 최진욱;최현준;박찬록;조성욱;김진의;이재성;이동수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34-139
    • /
    • 2014
  • ASIR기법은 statistical noise modeling을 사용하여 CT image를 reconstruction하는 방법으로, mA를 낮춰도 이미지 질을 보전하며 noise reduction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논문은 본원에서 주로 하는 bone SPECT/CT에 ASIR 기법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GE의 Discorvery 670을 이용하여 120 kVp, 100 mA를 기준으로 mA를 변화시켜서 ASIR의 적용 전과 적용 후 영상을 비교하였다(ASIR level: 20-80%). Anthropomorphic phantom으로 ASIR (%)의 변화에 따른 SPECT image의 감쇠 보정 정도를 측정하였다. 두번째로 ACR phantom으로 CT image의 CNR, image noise, spatial resolution을 평가하였다. 세 번째로 lower torso phantom을 이용하여 spine에 최적화할 수 있는 ASIR level을 선택한 후 2명의 bone SPECT/CT follow up 환자에게 ASIR를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5년 이상의 경험이 있는 10명의 방사선사에게 blind test를 시행하였다. SPECT의 영상의 감쇠 보정 정도는 ASIR의 변화와는 무관하게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ASIR을 적용했을 때 CT image의 noise는 mA의 변화에 따라 최소 17%에서 최대 52%까지 감소하였다. ASIR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CNR은 40 mA에서 0.42를 보여준 반면 ASIR를 적용한 40 mA (ASIR 60%)에서도 0.8 이상을 유지하였다. High contrast 영역의 비교에서는 ASIR 적용과 상관없이 40 mA까지 12 lp/cm 영역을 구별할 수 있었다. Lower torso phantom의 spine image에서 100 mA image와 육안적으로 비슷한 ASIR level은 60% (40 mA) 정도였고, bone SPECT/CT에 적용한 후 blind test에서 육안적으로 ASIR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SPECT/CT에서 ASIR 기법을 사용했을 때 SPECT와 CT image의 특별한 영상의 질 저하 없이 radiation dose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관심부위가 bone에 한정되어 있는 bone SPECT/CT 특성상 더 높은 ASIR level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cidental finding of subclavian artery occlusion and subsequent hypoplastic internal mammary artery as a candidate recipient vessel in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 Seong, Ik Hyun;Woo, Kyong-J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599-602
    • /
    • 2019
  • We report a case of autologous breast reconstruction in which a thoracodorsal vessel was used as a recipient vessel after a hypoplastic internal mammary vessel was found on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A 46-year-old woman with no underlying disease was scheduled to undergo skin-sparing mastectomy and breast reconstruction using a deep inferior epigastric artery perforator flap. Preoperative CT angiography showed segmental occlusion of the right subclavian artery with severe atherosclerosis and calcification near the origin of the internal mammary artery, with distal flow maintained by collateral branches. The thoracodorsal artery was selected to be the recipient vessel because CT showed that it was of adequate size and was not affected by atherosclerosis. The patient experienced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flap survived with no vascular complications. The breasts were symmetrical at a 6-month follow-up. This case highlights that preoperative vascular imaging modalities may help surgeons avoid using diseased vessels as recipient vessels in free flap breast reconstructions.

경부 종물에서 3차원 재건 영상과 적출 조직 사진의 비교 (Comparison of 3D Reconstruction Image and Medical Photograph of Neck Tumors)

  • 유영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3
    • /
    • 2010
  • Objectives : Getting full information from axial CT images needs experiences and knowledge. Sagittal and coronal images could give more information but we have to draw 3-dimensional images in mind with above informations. With aid of 3D reconstruction softwares, CT data are converted to visible 3D images. We tried to compare medical photographs of 15 surgical specimens from neck tumors with 3D reconstructed images of same patients. Material and Methods : Fifteen patients with neck tumors treated surgically were recruited. Medical photograph of the surgical specimens were collected for comparison. 3D reconstruction of neck CT from same patients with aid of 3D-doctor software gave 3D images of neck masses. Width and height of tumors of each photos and images from the same cas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statistically. Visual similarities were rated between photos and 3D images. Results : No statatistical difference were found in size between medical photos and 3D images. Visual similarity score were higher between 2 groups of images. Conclusion : 3D reconstructed images of neck mass looked alike the real photographs of excised neck mass with similar calculated sizes. It could give us reliabl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mass.

삼차원 재건 기술을 이용한 맞춤형 몽고메리 T-Tube의 제작에 관한 예비 연구 (Custom-Made T-Tube Designed by 3-D Reconstruction Technique, a Preliminary Study)

  • 유영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7
    • /
    • 2010
  • Background: Montgomery T-tube is widely used to maintain airway in many cases. Market-available tubes are not always fit to the trachea of each patient and need some modification such as trimming. Complications do happen in prolonged use like tracheostomy tubes. To overcome above limitations, we designed custom-made T-tube using CT data with the aid of 3D reconstruction software. Material and Method: Boundaries were extracted from neck CT data of normal person and processed by surface rendering methods. Real laryngotracheal model and tracheal inner surface-mimicking tube model were made with plaster and rubber. The main tube was designed by accumulation of circles or simple closed curves made from boundaries. Stomal tube was made by accumulation of squares due to limitation of software. Measurement data of tracheal lumen were used to custom-made T-tubes. Tracheal lumen residing portion (vertical limb) was made like circular cylinder or simple closed curved cylinder. Stomal portion (horizontal limb) was designed like square cylinder. Results: Custom made T-tube with cylindric vertical limb and horizontal limb of square cylinder was designed. Conclusion: CT data was helpful in making custom made T-tube with 3D reconstruction technique. If suitable materials are available, commercial T-tube can be printed out from 3D printers.

  • PDF

Micro-CT image-based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multiscale modeling of Sheet Molding Compound (SMC) composites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 Lim, Hyoung Jun;Choi, Hoil;Yoon, Sang-Jae;Lim, Sang Won;Choi, Chi-Hoon;Yun, Gun Jin
    • Composite Materials and Engineering
    • /
    • 제3권3호
    • /
    • pp.221-239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a multiscale modeling method for sheet molding compound (SMC) composites through a novel bundle packing reconstruction algorithm based on a micro-CT (Computed Tomography) image processing. Due to the complex flow pattern 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process, the SMC composites show a spatially varying orientation and overlapping of fiber bundles. Therefore, significant inhomogeneity and anisotropy are commonly observed and pose a tremendous challenge to predicting SMC composites' properties. For high-fidelity modeling of the SMC composites, the statistical distributions for the fiber orientation and local volume fraction are characterized from micro-CT images of real SMC composites. After that, a novel bundle packing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a high-fidelity SMC model is proposed by consider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s. A method for evaluating specimen level's strength and stiffness is also proposed from a set of high-fidelity SMC models. Finally, the proposed multiscale modeling methodology is experimentally validated through a tensile test.

반복적 재구성 알고리즘과 관전류 자동 노출 조정 기법의 CT 영상 화질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 관상동맥 CT 조영 영상 프로토콜 기반의 팬텀 실험 (Effects of 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 Automatic Exposure Control on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Phantom Experiments with Coronary CT Angiography Protocols)

  • 하성민;정성희;장혁재;박은아;심학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1호
    • /
    • pp.28-3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구성 기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이 영상의 화질과 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 영상(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을 대상으로 팬텀 실험에 기반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의학물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in Medicine) 표준의 성능 평가 팬텀을 320 다중검출열 CT로써 촬영하였다. 80 kVp, 100 kVp, 120 kVp의 관전압에 있어서,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은 저선량 목표 표준편차(SD=44)와 고선량(목표 표준편차=33)의 두 가지 설정으로써 촬영하였다. 재구성 변수로서는 필터보정 역투영(FBP)와 반복적 재구성 방법을 설정하여, 전부 12개의 재구성 영상을 획득하였다(12=3 (80, 100, 120 kVp)${\times}2$ (저선량(목표SD=44), 고선량(목표SD=33))${\times}2$ (필터보정역투영, 반복적 재구성). 영상의 화질은 잡음의 세기(표준편차), 변조전달함수, 대조대잡음비(CNR)에 의하여 평가하였으며, 관전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절 기법에서의 목표 선량과 대소 및 재구성 기법의 선택이 화질과 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반복적 재구성 기법은 필터보정역투영 기법보다 영상 잡음을 대폭 감소시켰으며 이는 저선량의 경우 더욱 뚜렷하였다. 즉, 잡음의 세기는 관전류 노출자동조절의 설정이 고선량 (목표SD=33)과 저선량(목표SD=44)인 경우, 각각 평균 38%와 평균 46% 감소하였다. 반복적 재구성 기법에 의하여, 변조전달 함수에 의한 공간적 해상도의 평가에 있어서 미약한 감소를 보였으나, 이로써 잡음 저감과 대조대잡음비(CNR)에 있어서의 현저한 개선을 상쇄할 정도의 영향에는 미치지 못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 영상의 획득에서 있어서, 반복적 재구성 기법과 관전류 노출자동조정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면서 공간적 해상도의 저하 등 그 부작용은 최소화함으로써, 합리적으로 획득 가능한 한 최소한의 선량 (ALARA)의 원칙에 충실한 실제 임상적 효과를 의미한다고 기대할 수 있다.

CT 재구성에 의한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 치료 계획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in Head and Neck Cancer by CT-Reconstruction)

  • 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41-148
    • /
    • 1987
  • 방사선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상 조직의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암종의 완전 국소 관해를 도모하는데 있다. 1970년대에 전산화 단층 촬영법이 대두된 후로 환자의 해부학적 정상 조직과 암종의 부위와 침윤 정도를 거의 정확하게 알게 되었고, 표적 암조직에 인체 외부에서 가해지는 방사선의 등선량 곡선을 각 단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 치료 계획에 있어서 재구성 영상으로 암종과 주위 정상 조직의 상관관계를 삼차원적으로 파악하고 영상 위에서 바로 등 선량 곡선을 볼 수 있으므로 암종에는 관해에 충분한 방사선을 투여하면서 정상 조직 (예, 척수 등)에 가해지는 방사선량을 명확히 알 수 있어 최소한의 선량으로 후유증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는 축, 종, 횡, 단면의 재구성 영상을 얻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종래의 이차원적인 한 개의 단면에서만 시행하던 치료 계획을 서로 다른 세 개의 단면에서 삼차원적으로 시행함으로서 입체적으로 분포 선량을 추정할 수 있어 두경부 종양 환자의 치료에 더 유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