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A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25초

CS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평가 (Evaluation of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Mortar with CSA)

  • 주명기;노병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5-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S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흡수율, 염화 이온 침투 깊이, 중성화 깊이, 길이변화 및 내약품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구명하였다. 그 결과, CS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휨, 인장 및 부착강도는 CSA 첨가량 및 폴리머-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흡수율은 CSA 첨가량 및 폴리머-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길이변화는 CSA 첨가량 및 폴리머-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화 이온 침투깊이 및 중성화 깊이는 CSA 첨가량 및 폴리머-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내약품성은 CSA 첨가량 및 폴리머-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강도 및 내구성 개선은 EVA 폴리머의 높은 인장강도에 기인하며, EVA 폴리머 및 CSA 혼입에 의하여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사이의 부착력이 개선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CSA계 팽창재료의 수화특성 (Hydration of Expansive Materials with CSA-System)

  • 정성철;송명신;이경희;한천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31-637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hydration properties of the OPC with CSA-system expansive materials. In OPC using CSA, that was formed monosulfate for the main part. but In OPCs using CSA and gypsum, using CSA and gypsum and lime, that were formed ettringite for the main part. On the shrinkage ratio, the former is larger than the latter And CSA-system with gypsum and lime is smallest of all systems. According to dimension of shrinkage ratios are as follows; OPC using CSA only> OPC only> OPC using CSA and gypsum> OPC using CSA, gypsum and lime. And "R"s are 0.32, 0.37, 0.8, 0.8, 0.8 each others. In OPC with CSA-system expansive materials, we know that expansive properties were depend upon the value of "R". "R" means supplying quantities about demanding quantities for ettringite. In the case of expansive materials with CSA-system and lime, it is to be rich Ca(OH)$_2$ in the solution. so, it is formed small ettringite as the needle shapes. they are contribute to expansive.

개선된 다정도 CSA에 기반한 모듈라 곱셈기 설계 (A Design of Modular Multiplier Based on Improved Multi-Precision Carry Save Adder)

  • 김대영;이준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4호
    • /
    • pp.223-230
    • /
    • 2006
  • 가산기를 이용하여 몽고메리 곱셈을 수행하는 모듈라 곱셈기를 구현하는 방법은 선택한 가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가산기로 CPA를 사용하는 경우는 캐리 전파 문제가 발생되며, CSA를 사용하는 경우는 최종 결과 보정이 요구된다. 다정도 CSA는 CSA와 CPA를 접목함으로써 이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정도 CSA의 캐리 체인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하드웨어 자원과 수행시간을 동시에 감소시킨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듈라 곱셈기를 반복 사용하여 큰 정수의 곱셈과 멱승을 수행하는 모듈을 기존의 방식보다 더 빠르고 더 작게 구현할 수 있다.

캐리-세이브 가산기에 기초한 연산 하드웨어 최적화를 위한 실질적 합성 기법 (A Practical Synthesis Technique for Optimal Arithmetic Hardware based on Carry-Save-Adders)

  • 김태환;엄준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10호
    • /
    • pp.520-529
    • /
    • 2001
  • 캐리-세이브 가산기(CSA)는 빠른 수행과 작은 면적을 가지는 연산 하드웨어 구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연산 셀들 중의 하나이다. 현재 CSA 적용기술의 근복적인 약점을 그 적용이 덧셈식으로 직접 변환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회로에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위하여, 우리는 새로운 몇가지 CSA 변환 기법들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멀티플렉서를 포함한 연산에서의 CSA 변환, 다수 회로를 포함한 연산에서의 CSA 변환, 곱셈 연산을 내포한 연산에서의 CSA 변화를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기법들을 실제의회로 합성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통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기법들에 기반한 우리의 알고리즘의 기존의 CSA 방법들과 비교하여 실제적인 회로 합성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보인다.

  • PDF

단백질 함량 향상을 위한 치킨스톡 제조 조건의 최적화 및 성분 분석 (Optimization of Chicken Stock Manufacturing Conditions to Improve Protein Content and Analysis of Its Components)

  • 김보경;신유진;임승철;김인경;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2-428
    • /
    • 2023
  •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성 원료의 첨가에 따른 치킨스톡의 영양성분 향상 및 단백질 용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유기산에 의한 단백질 용출 증가를 목적으로 사과를 첨가한 치킨스톡(CSA, chicken stock added apple)을 제조하여 사과를 첨가하지 않은 치킨스톡(CS, chicken stock)과 비교하였다. 시료의 당도 분석 결과 CSA군이 CS군에 비해 비교적 높은 당도를 나타냈다. CSA군의 조단백 함량을 측정한 결과, CS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과 첨가로 당도가 높게 나타나 사과의 양을 줄이고 유기산 함량이 높은 토마토를 첨가한 군(CSA-T, chicken stock added apple and tomato)과 토마토 및 레몬을 첨가한 군(CSA-TL, chicken stock added apple, tomato and lemon)을 추가하여 성분을 비교하였다. 치킨스톡의 조단백 함량을 측정한 결과, CSA-TL군의 조단백질 함량은 CSA-T군에 비해 35%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S군, CSA-TL군 및 시판용 치킨스톡(CCS, commercial chicken stock)군의 영양소 분석을 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의 경우 CSA-T군은 CS군에 비해 약 79% 향상되었으며, 시판용 치킨스톡에 비해 약 6.8배 정도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CS군에 비해 CSA-TL군에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각종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치킨스톡은 기존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건강지향적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CSA 첨가량에 따른 광산 차수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e Lin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SA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강석표;이영훈;강혜주;조성현;조용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4-8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CSA와 이수석고를 광산 차수재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CSA와 이수석고 첨가량에 따른 차수재의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CSA 첨가량에 따른 광산 차수재의 압축강도, 길이변화, 흡수율 측정결과 CSA30%까지는 초기재령에서의 강도증가와 더불어 수축 및 흡수율저감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SA50%에서는 과량 사용으로 인하여 수축보상 및 공극충진보다는 과팽창으로 인한 흡수율 증가와 시멘트양 감소로 인하여 OPC와 비교하여 15% 감소하였다.

CSA 팽창재를 사용한 무수축 고강도 콘크리트 현장적용 (A field Application of Non-shrinkage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CSA Expansive Additive)

  • 조일호;양재성;김진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80
    • /
    • 1999
  • Before the field applications, several basic laboratory tes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workability and strength of the concrete containing CSA expansive additive. As a result,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CSA expansive additive show similar workability and compressive to that of plain concrete, the optimum replacement ratio of them to plain concrete were obtained for CSA expansive additive 10%.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CSA component is effective to prevent shrinkage crack reducing concrete using superplasticizer and to achive volume stability of concrete structure.

  • PDF

제조 조건에 따른 Polyaniline의 전기적 성질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aniline according to Preparation Conditions)

  • 김언령;김태영;이보현;김종은;서광석;배종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15-222
    • /
    • 2001
  • Polyaniline-Camphorsulfonic Acid Emeraldine Salt(PANI-CSA ES) was prepared by doping Polyaniline Ermeralidine Base(PANI EB) with DL-10-Camphorsulfonic Acid(CSA). PANI-CSA ES was solved in an organic solvent by ultrasonification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its surface resistivity was measured. Several PANI-CSA ES solutions solved in different organic solvents were prepared and their surface resistivities were measured. Thermal stability of film casted with PANI-CAS ES solution in m-cresol was estimated by measuring its surface conductivity and the content of this moisture and organic solvents. PANI-CSA ES was blended with different polymeric binders to improve its physical properties and the surface resistivities of several kinds of PANI-CSA ES blends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content of PANI-CSA ES. PANI-CSA ES polymerized by 1-step oxidative polymerization was prepared and its surface resistivity was measured.

  • PDF

The property of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depending on CSA contents and atmospheric steam curing condition

  • Kim, Tae-Yeon;Chu, Yong-Sik;Seo, Sung-Kwan;Yoon, Seog-Young
    •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407-412
    • /
    • 2018
  • In this study, we have made a cement based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and added CSA (Hauyne Clinker) to reduce the demolding time and enhance the handling workability. CSA contents were varied by 0%, 1%, 3%, 5% and the atmospheric steam curing was tried for enhancing the compressive strength. As the CSA contents are increased to 5%, a rapid reaction of hydration caused the sinking of the slurry. So, the setting-retarder was added to control the reaction of hydration. By this, the sinking of the slurry was controlled but the height of the green body after expansions was a little bit lowered. In the CSA-added slurry, it was possible to demold within 24 hours and in case of CSA 5%-added, the sufficient workability was secured. Atmospheric steam curing (temperatures $-40{\sim}80^{\circ}C$, for 6~10 hrs.)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ound that an excellent strength of 0.25 MPa was achieved at $80^{\circ}C$ for 8 hrs. Specific gravity was about $0.12{\sim}0.13g/cm^3$ and heat conductivity was about 0.045 W/mK in all specimens. This strategy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SA 5%-added specimen up to 25% compared to without CSA added specimen.

다성분계 고유동 모르타르의 특성 (The Properties of Multi-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Mortar)

  • 김태완;강충현;배주룡;김인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4-132
    • /
    • 2018
  • 본 연구는 다성분계 고유동 모르타르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그리고 초속경시멘트(URSC)를 혼합한 결합재이다. GGBFS는 OPC 질량에 대해 30%(P7 series), 50%(P5 series) 그리고 70%(P3 series)치환하였고, CSA와 URSC는 10%와 20%를 치환하였다. 혼화제는 폴리카르복실계를 사용하였다. 모든 배합의 물-결합재 비(w/b)는 0.35로 일정하다. 실험은 미니슬럼프, V-funnel, 압축강도 그리고 건조수축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CSA와 URSC의 치환율이 증가하면 혼화제 사용량, V-funnel 시간 그리고 압축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응결시간과 건조수축은 CSA와 URSC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SA는 건조수축을 감소시키지만 URSC는 효과가 미미하다. CSA와 URSC를 혼합한 결합제는 상호보완 작용에 의해 건조수축 감소 효과가 컸다. 이는 URSC의 초기강도 향상효과와 CSA의 팽창과 장기강도 향상효과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