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QR-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노인상담에 대한 노인들의 내적 지각 탐색 - CQR-M 방식을 활용하여 - (Searching for the Elderly's Inner Perception of Elderly Counseling - Using the CQR-M method-)

  • 김단비;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69-384
    • /
    • 2020
  •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지각 및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장벽, 상담에 대한 기대를 노인들의 직접적인 보고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거주하고 있는 56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 수정본(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민거리에 대한 대처 방법, 상담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상담에 대한 동기, 상담이 꺼려지는 이유, 상담자에 대한 기대, 상담효과에 대한 기대라는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례관리 및 상담영역의 확대, 진정성 있는 인간적 관계 형성, 활동을 병행한 상담 방식 고려, 전문성 강화 등 노인의 상담 숙고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노인상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 류소형;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33-6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듣기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9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결과는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의 의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 등 3개의 영역에서 2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의미'에서는 '학업성취·취업 역량 증진·다양한 경험 쌓기·만족스러운 취업·원하는 진로 설정·관계형성 능력 증진·나만의 목표 설정과 달성·자기 개발·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에서는 '진로개발 지원·직무역량 향상 시스템·대학생활 참여지원·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학습역량 증진 시스템·경제적 지원 확대·학생 편의를 위한 환경'으로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에서는 '학습능력·자기효능감·대인관계 유능성·자기인식 및 개선·직무역량·자기조절 능력·풍부한 경험·진로인식·자존감'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 빈도와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to Explore Variables that Predict Teachers' Referral Intention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 Lee, Ji-Yeon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1
    • /
    • 2021
  • Purpose: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predict teachers' intent when referring students to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importan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 (TPB) is a theory of predicting people's intentions of performing a particular behavior; the intent to perform a certain behavior is determined by three factors. (1) attitudes toward the behavior, (2) subjective norms, and (3) perceived control.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PB measurement to investigate what variables predict the intentions of teacher's referral behavior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following standardized manuals and guidelines for developing a TPB measurement was us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was used.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study,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to assess teachers' referral int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behavioral control was developed. Resul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were tested and verified.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would contribute to a future empirical study that will examine predictors of teachers' referral intention.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 CQR-M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 최수미;유인화;김동일;박애실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421-44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version of Classism Attitude Scale(K-CAS) for College Students)

  • 신윤정;김은하;이은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05-621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측정하는 한국판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관련 문헌, 대학생들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지 자료를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주요 구인과 초기예비문항을 제작한 후 4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4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 1에서 도출된 상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와 하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의 2개 요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더불어, 연령, 주관적 계층,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부정 정서(우울, 불안), 적대감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통해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 주관적 계층, 가정의 총수입,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 믿음 외에 K-CAS가 추가적으로 부정정서(우울, 불안) 변량의 5%를 설명하여 증분타당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서 계층차별주의 관련 개입 및 예방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주요 시사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