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burnou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fter COVID-19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 이진열;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3-6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업무량을 조절과 사물인터넷 기술의 활용이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을 줄이기 위해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COVID-19 유행시기에 병원간호사의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in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정주희;송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3-20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in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nurses working at a hospital in Daegu from October 16 to 30, 2020, in the middle of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nts conducted self-reported surveys of post-traumatic stress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emotional exhaustion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resilience (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t-tests, Mann-Whitney U tests, Kruskal-Wallis tes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 mean scores for post-traumatic stress, resili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were 16.18±16.18, 183.41±18.29, and 32.64±9.66, respectively. A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resilience (r=-.20, p=.004) and with higher emotional exhaustion (r=.33, p<.001).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emotional exhaustion (r=-.35, p<.001). The resilience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verified by the Sobel test (Z=2.31, p=.02). Conclusion: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Thus, nurses should develop individual strengths to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nd manager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nurses' resilience.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strengthen nurses' resilience.

팬데믹 상황에서 음압병실 근무 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 경험 (Nurses' Experience with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a Negative Pressure Room Amid the Pandemic Situation)

  • 노은영;채영준;김현정;김은진;박연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85-59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urses' experience with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a negative pressure room amid the spread of the pandemic.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ree focus groups comprising 19 nurses were interviewed from February 17 to 25, 2021.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verbatim transcripts were scrutini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Struggling in an isolated space' and 'Limitations of nursing infrastructure and system'. The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experienced anxiety and fear about the infection, physical exhaustion, emotional burnout, and a sense of duty as a nurse. They also acknowledged the lack of guidelines, increased task and burden, limitations of nursing care, and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the nursing syste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encounter physical and emotional problems within the limited healthcare system. The study suggests that comprehensive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nurses. Furthermore, detailed guidelines, strengthening of nursing personnel, and improvements to the nursing system are vital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pandemic. The government and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aware of the needs of nurses and what they are going through,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healthcare workers and create a safe healthcare environment.

COVID-19 팬데믹 동안 간호사의 불안,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이 전문직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xiety,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진숙;정수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43-52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COVID-19 환자가 입원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불안, 회복력, 자기효능감 및 전문직 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전문직 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21년 2월 9일부터 19일까지 코로나 환자가 입원한 병원에서 환자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하였으며 총 120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s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전문직 역량은 자기효능감(r=.58, p<.001) 및 회복탄력성(r=.5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 역량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36, p=.004) 과 회복탄력성(β=28, p=.021)이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전문직 역량 분산의 약 3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팬데믹 동안 간호사의 전문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병원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예상보다 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간호조직 차원의 노력과 정책이 필요하다.

코로나19 대유행 시 지역사회 요양병원 종사자의 근무경험: 혼합연구방법 (Working Experience of the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ixed Methods Research)

  • 장현정;박정언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a mixed methods research that was conducted to verify factors affecting the working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19 to November 3, 2021 for 340 nurses who worked at 10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 city. Results: As the study results, factors that affected job stress of the workers working at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s included job satisfaction (β=-.27, p<.001), work demand (β=-.25, p<.001), fatigue (β=.19, p=.001), and cooperation and leadership (β=-.12, p=.049).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truggling with physical and mental stress caused by the increased workload due to the preventative measures taken to stop the infection and spread of COVID-19. Despite this, they accepted their situation as necessary to overcome the pandemic and shared the quarantine guidelines of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under the leadership of their supervisors. However, they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urnout in the prolonged pandemic situatio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help relieve their stress and provide psychological and mental support by adopting a policy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programs.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Exploring of Resilience in Emergency Infectious Diseases to Moderat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9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및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VID-19 and Patient-Related Social Stress on Healthcare Providers)

  • 박사라;장영혜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5-29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부당요구, 공격성)가 감정적 소진 및 친환자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의 일에 대한 의미감이 코로나로 인한 환자 관련 스트레스가 감정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 2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코로나 스트레스는 감정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환자 관련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환자의 부당요구는 감정적 소진을 증가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뿐만 아니라 내부직원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Occupational Profile, Psychosocial Aspects, and Work Ability of Brazilian Workers During COVID-19 Pandemic: IMPPAC Cohort

  • Andrade, Marcela A.;Castro, Cristiane S.M.;Batistao, Mariana V.;Mininel, Vivian A.;Sato, Tatiana 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104-111
    • /
    • 2022
  • Background: The IMPPAC cohort (Implications of the COVID-19 pandemic on psychosocial aspects and work ability among Brazilian workers) seek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pandemic on Brazilian workers. This article describes the occupational profile, psychosocial aspects, and work ability determined during the baseline and follow-up measurements of the cohort. Methods: Work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through media advertisements, social networks, and emails. From June to September 2020, 1211 workers were included in the cohort. Follow-up measurements finished on October 2021 with 633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andardized questionnaires using Google Forms. Psychosocial aspects were assessed using the COPSOQ II-Br. Work 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Work Ability Index (WAI). Results: At baseline and follow-up, high proportion of workers were in the risk zone with regard to work pace, emotional work demands, influence on work, work-family conflict, burnout, and stress. Approximately 75% of the workers reported good to excellent work ability at baseline and follow-up. Conclusion: The occupational profile, psychosocial aspects, and work ability of Brazilian workers from the IMPPAC cohort were described. Psychosocial aspects and WAI were similar at baseline and follow-up.

코로나 19 관련 공공근로자에서의 우울증상 및 스트레스 반응 (Impact of COVID-19-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in Public Sector Workers)

  • 박진솔;조혜미;고민수;지수혁;한창수;이현숙;이문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36-143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전세계가 보건 위기와 큰 혼란의 국면을 맞은 가운데, 특히 재난 상황에서 시민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는 공공 근로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과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 근로자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분석하고자 했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광명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한 531명의 공공영역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 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한국판 우울증 평가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 수정판(Impact Event Scale-Revised, IES-R-K)을 시행하였다. 결 과 분석 결과에 의하면 코로나 19 관련 종사자들은 중등도 이상의 지각된 스트레스 반응(85.2%), 우울증상(22.2%), 외상 후 스트레스 관련 증 상(38.8%)을 보여, 상당한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을 경험하는 상태로 나타났다. PSS 총점은 PHQ-9, IES-R 총 점 및 IES-R의 하위 척도별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관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반응 정도가 우울 증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PSS, PHQ-9, IES-R 총점은 각각 모두 연령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연령이 직무 스트레스 반응과 번아웃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결 론 향후에 공공영역 종사자 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정신건강 관리 및 적절한 개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