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 response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5초

Assessment of Salinity-Induce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Diazotrophic Cyanobacterium Nostoc muscorum

  • Srivastava, Ashish Kuma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506-1512
    • /
    • 201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alinity-induced oxidative damage and differential response of enzymatic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of Nostoc muscorum. As compared with carotenoid content that showed induction, the chlorophyll and phycocyanin contents were inhibited after salt stress. Accelera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eroxide production suggested the onset of oxidative damage. The activities of all studied enzymatic antioxida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salt stress, with maximum induction occuring with superoxide dismutase (154.8% at 200 mM NaCl treatment). Interestingly, under severe stress condition (250 mM NaCl), ascorbate peroxidase seemed to be more crucial than catalase for peroxide scavenging. Among the studied nonenzymatic antioxidants, ${\alpha}$-tocopherol was induced maximally (56.0%); however, ascorbate and reduced glutathione were increased by only 8.9% after 250 mM NaCl treatment as compared with control cells. Therefore, salinity was found to induce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N. muscorum.

LiCl이 Goldhamster의 빛 민감성과 활동주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thium Chloride on the Light-sensitivity and Circadian activity of Goldhamster.)

  • 한상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09-517
    • /
    • 1992
  • LiCl (0.047 M)은 Goldhamster의 활동주기 (T)를 평균 1.6시간 연장시키고, 동물 중 20%엑서 단축되는 것으로도 관찰되었다. 1시간 통안의 빛자극(75 Lux)에 의해 주기현상 시점 변화가 나타나는 데 LICI에 의해서 0.3 h 더욱 delav되었고 advance 현상은 1.5 h 감소되었으며 delay엔h advance 전환시기는 1시간 늦게 나타났다. 반면에 7 Lux의 빛 자극에서는 delay가 2.4시간으로 더 증가되었으며 advance 현상은 2.6시간으로 저하되었고, 30분 늦게 delay에서 advance로 전환되었다. subjective day 동안에는 빛자극에 의한 LiCl 효과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Phase-Response-Curve(PRC)는 Circadian Time에서 delay-advance로 전환되는 mid-subjective night에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weak phase curve로 형성되었다. 이 PRC에서 Li이 빛에 대한 민감성을 둔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PDF

작물의 내염성 기작연구 I. 염분농도에 따른 보리, 호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종자의 발아생리반응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Crop Plants I. Physiological Responses of Barley, Rye and Italian Ryegrass Seed Germination to NaCl Concentrations)

  • 김충수;조진웅;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1-376
    • /
    • 1993
  • 호밀, 보리, 이탈리안라이그래스에 대하여 NaCl로 염분농도를 높여가며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발아율은 호밀이 종자자체의 활력에 의해 염분을 처리하지 않은 구와 0.5%이하의 염분조건에서 높은 발아율과 발아세를 보였던 반면 고농도의 염분조건에서는 발아율이 떨어졌으나 보리의 경우는 0.8%의 염분농도까지는 발아율이 80%이상을 보였고, 이탈리안라이그래스의 경우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아율 감소는 보리나 호밀에 비하여 심하지 않았다. 2. 수분 흡수율은 보리의 경우 호밀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발아율은 증가했으며 또한 종자의 흡수율에 있어서 염분농도가 높을 경우 흡수수분의 감소정도가 흐밀보다 보리에서 심하지 않았다. 3. 탄수화물은 보리의 경우 염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전분은 감소의 정도가 약했고 환원당은 염분농도 흡수시간의 지속에 따라 별다른 변화의 양상이 없었다. 호밀의 경우는 0.3%의 염분농도까지는 환원당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흡수 20시간 이후에는 환원당의 함량이 급증하였다. 4. 염분의 흡수정도는 염분농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흡수의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beta-amylase 활력은 염분을 처리하지 않은구와 0.6%의 염분농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뇌척수액내 $Na^+$ 농도 증가에 의한 심혈관 반응과 Amiloride 민감성 $Na^+$ Channel과의 관계 (Amiloride-sensitive $Na^+$ Channels Are Not Involved in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to Increased $Na^+$ Concentration in Cerebrospinal Fluid)

  • 국현;김재하;백영홍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3-319
    • /
    • 1994
  • $Na^+$ 이동에 관여하는 약물을 가토 측뇌실내로 투여하여 나타난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심혈관 조절 중추의 $Na^+$ channel과 뇌척수액내 $Na^+$ 농도의 상승에 의한 심혈관 반응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1 M NaCl $200{\mu}l$을 urethane으로 마취된 가토의 측내실내로 투여시 승압과 서맥이 나타났고 이 서맥은 미주신경 절단으로 빈맥으로 역전되었다. $Na^+$ 이동억제제인 amiloride의 뇌실내 투여는 승압 및 서맥을 일으켰고 미주신경 절단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NaCl주입에 의한 심혈관계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miloride 유도체인 benzamil은 그 자체로도 심혈관계 반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NaCl의 효과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미주신경 절단 가토에서 amiloride는 NaCl에 의한 빈맥을 서맥으로 역전시켰으나, 그 서맥의 정도는 NaCl의 전처치로 영향받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amiloiride와 benzamil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나 그들 모두 NaCl에 의한 심혈관계 반응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았다. 이로부터 심혈관 조절 중추내 amiloride나 benzamil에 민감한 $Na^+$ channel은 NaCl-유발 반응과는 관련이 없을 것이라 추론하였다.

  • PDF

카드뮴의 Salmonella typhimurium 변이균주 및 랫드 간장 상피세포에서의 유전독성 (Genotoxicity of cadmium chloride in Salmonella typhimurium and rat liver epithelial cells)

  • 정상희;조명행;조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06-613
    • /
    • 1998
  • Cadmium is one of the well-known environmental toxicants and induces cancer in rodents and human, but its carcinogenic mechanism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until now. Genotoxic effects of cadmium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and TA1535/pSK1002 or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tumor initiating effects of cadmium. TA98, TA100 and TA1535/pSK1002 tester strains were used to detect frameshift mutation, base-pair mutation and SOS repair response, respectively, in Salmonella mutation test. Reverse mutations from histidine to $histidin^+$ of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by $CdCl_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up to the maximum doses ($100{\mu}M$ and $200{\mu}M$ in TA98 and TA100, respectively) at which non-cytotoxicity was observed. DNA SOS repair responses(${\beta}$-galactosidase activity) generally did not show significant increases compared to control in both of the condition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pSK1002 by $CdCl_2$. But the activities of ${\beta}$-galactosidase by $400{\mu}M$ of $CdCl_2$ in metabolic activation condition and by 130 and $400{\mu}M$ of $CdCl_2$ in non-metabolic activation condition were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DNA single strand breaks for 4hrs were observed only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treated with $200{\mu}M$ of $CdCl_2$. As a conclusion, $CdCl_2$ did not induce gene mutation in microbials but induce DNA single strand breaks in rat liver epithelial cells.

  • PDF

더덕의 주근에서 유래한 Dehydrin 1 (Dhn1)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hydrin 1 (Dhn1) gene from Codonopsis lanceolata)

  • 이강;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8-244
    • /
    • 2003
  • 더덕 뿌리에서 유래한 EST 라이브러리로부터 dehydrin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 을 나타내는 full clone cDNA를 얻었다. 더덕의 dehydrin, ClDhn1은 893 bp의 cDNA로 159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480 bp의 ORF를 가지고 있다. ClDhn1의 아미노산을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며, lysine이 풍부한 K 반복구간(KIKEKLPG)을 카르보닐기 쪽에 2개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dehydrin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7개의 연속적인 serine잔기가 첫 번째 K반복 구간 앞에 위치한다. 그러나, 아미노기쪽의 DEYGNP보존 구간은 변형(DEHGNP)되어 있다. ClDhn1 유전자는 전사 단계에서 더덕의 뿌리에서 가장 높은 발현 양상을 보이며, 줄기와 잎에서는 적은 양이 발현되었다.

스트레스 물질에 의한 벼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패턴 변화 (Alterations of Glutathione Peroxidase Patterns by Stressor Treatment in Rice Seedling Roots)

  • 김윤경;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53-59
    • /
    • 2005
  • 동진벼 유묘 뿌리에 환원제인 ascorbic acid,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 중금속인 $NiCl_2$$CuSO_4$ 및 NaCl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PX)의 활성과 동위효소의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Ascorbic acid 처리에 의한 GPX의 총활성은 ascorbic acid 농도 증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GPX활성 증가는 GPX1 동위효소의 현저한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GPX는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성을 보였다. GPX의 활성은 0.1 mM salicylic acid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GPX는 methyl jasmonic acid의 농도증가에 의존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 mM methyl jasmonic acid에 의하여 약 3배의 활성증가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GPX1 동위효소는 salicyl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한 반면 methyl jasmon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PX의 총활성은 $NiCl_2$ 농도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CuSO_4$ 처리군의 경우 GPX의 총비활성도는 0.5 mM $CuSO_4$에 의하여 약 2배 증가한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NiCl_2$$CuSO_4$ 처리에 의한 GPX 활성증가도 주로 GPX1 동위효소의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NaCl 처리에 의한 GPX 총활성은 300 mM NaCl 처리군에서 약 1.7배 증가되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특이하게도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PX2 동위효소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염화칼슘 처리가 산딸나무 잎의 광합성 기구, 기공전도도 및 형광이미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2)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Apparatus, Stomatal Conductance, and Fluorescence Image of the Leaves of Cornus kousa)

  • 성주한;제선미;김선희;김영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3-150
    • /
    • 2009
  • 겨울철 도로의 안전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제설제가 가로변의 식생에 축적이 되면 식물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데, 특히 이른 봄의 제설제 사용은 식물이 다량의 수분을 요구하게 되는 개엽 시기와 맞물리게 되면서 그 피해가 가속화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제설제인 $CaCl_2$ 으로 산딸나무(C.kousa) 3년생 유묘를 대상으로 개엽 전 대조구를 포함해 각 처리구당 3본씩 선정하여 배치하고 각각 $CaCl_2$ 0.5%, 1.0%, 3.0% 를 2회 근권부에 처리하였다. 먼저, 가시적 피해 현상으로 잎눈에서 개엽이 어려워지며, 잎의 전개 후에도 시들음 현상과 잎끝마름 현상 등이 나타났다. $CaCl_2$ 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딸나무의 피해가 가중되었는데, $CaCl_2$ 처리에 따른 생리적 반응은 총엽록소함량, 엽록소 a:b, 광합성속도, 양자수율, 기공전도도, $F_V/F_M$, NPQ의 감소를 가져왔다. 반면 광보상점과 암호흡속도의 증가를 나타냈다. 기공의 닫힘으로 인한 엽육내 $CO_2$ 농도 저하와 이로 인한 광합성속도의 감소가 1차적으로 일어나고 이후 물질대사량의 감소, 광화학계의 피해가 동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CaCl_2$ 처리농도에서 산딸나무의 생리적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으로 볼 때 $CaCl_2$ 에 민감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Role of Kupffer Cells in Vasoregulatory Gene Expression During Endotoxemia

  • Kim, Tae-Hoon;Lee, Sun-M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306-311
    • /
    • 2008
  • Although hepatic microcirculatory dysfunction occurs during endotoxemia,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is remains unclear. Since Kupffer cells provide signals that regulate hepatic response in inflamm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Kupffer cells in the imbalance in the expression of vasoactive mediators. Endotoxemia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E. coli endotoxin (LPS, 1 mg/kg body weight). Kupffer cells were inactivated with gadolinium chloride ($GdCl_3$, 7.5 mg/kg body weight, intravenously) 2 days prior to LPS exposure. Liver samples were taken 6 h following LPS exposure for RT-PCR analysis of mRNA for genes of interest: endothelin (ET-1), its receptors $ET_A$ and $ET_B$,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heme oxygenase (HO-1),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mRNA levels for iNOS and TNF-$\alph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31.8-fold and 26.7-fold in LPS-treated animals, respectively. This increase was markedly attenuated by $GdCl_3$, HO-1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S-treated animal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line and $GdCl_3$ groups. ET-1 was increased by LPS. mRNA levels for $ET_A$ receptor showed no change, whereas $ET_B$ transcripts increased in LPS-treated animals. The increase in $ET_B$ transcripts was potentiated by $GdCl_3$. We conclude that activation of Kupffer cel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balanced hepatic vasoregulatory gene expression induced by endotoxin.

Overexpression of afsR and Optimization of Metal Chloride to Improve Lomofungin Production in Streptomyces lomondensis S015

  • Wang, Wei;Wang, Huasheng;Hu, Hongbo;Peng, Huasong;Zhang, Xue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5호
    • /
    • pp.672-680
    • /
    • 2015
  • As a global regulatory gene in Streptomyces, afsR can activate the biosynthesis of many secondary metabolites. The effect of afsR on the biosynthesis of a phenazine metabolite, lomofungin, was studied in Streptomyces lomondensis S015. There was a 2.5-fold increase of lomofungin production in the afsR-overexpressing strain of S. lomondensis S015 N1 compared with the wild-type strain. Meanwhile, the transcription levels of afsR and two important gen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lomofungin (i.e., phzC and phzE)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S. lomondensis S015 N1. The optimization of metal chlorides was investigated to further increase the production of lomofungin in the afsR-overexpressing strain. The addition of different metal chlorides to S. lomondensis S015 N1 cultivations showed that CaCl2, FeCl2, and MnCl2 led to an increase in lomofungin biosynthesis.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these metal chlorides were obtain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aCl2 (0.04 mM), FeCl2 (0.33 mM), and MnCl2 (0.38 mM) gave a maximum lomofungin production titer of 318.0 ± 10.7 mg/l, which was a 4.1-fold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S. lomondensis S015 N1 without the addition of a metal chloride. This work demonstrates that the biosynthesis of phenazine metabolites can be induced by afs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metal chlorides addition might be a simple and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of other phenazine metabolites in Streptomy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