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AHL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간염에 관한 문헌의 증가추세(1984-2003): 계량적 분석 (Trends in the Growth of Literature on Hepatitis(1984-2003): Quantitative Analysis)

  • Babu, B. Ramesh;Ramakrishnan, J.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1-5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1984년부터 2003년까지 200년에 걸쳐 MEDLINE과 CINAKL. IPA 등 3개 서지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간염에 관한 분야의 문헌의 증가추세를 계량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MEDLINE은 최대인 75,750건의 레코드를 수록하였으며, CINAHL, IPA의 순이었다. 특정지식영역의 연간문헌증가율은 동일하지 않으며, 연간증가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GR을 적용하는 것이 아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RGR은 감소추세를 보였는데, 다만 1985년과 1997년에 성장률에서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들은 RGR 및 Dt와 관련한 성과에서 성장추세와 감소추세, 변동추세 등의 결과에서 혼재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간염연구는 논문수와 페이지수의 측면에서 연단위로 RGR과 Dt를 산정했을 때는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중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클로르헥시딘의 효과 : 메타 분석 (The Effects of Oral Care with Chlorhexidine for Ill Patients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A Meta-Analysis)

  • 이하늬;박정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41-249
    • /
    • 2017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들의 구강간호에 있어 클로르헥시딘의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임상에서 실질적으로 구강간호 시행에 있어 명확한 근거를 제시 하고자 시도 되었다. 주요 검색어는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AND (Oral care OR Dental care OR Chlorhexidine*)으로 검색원으로는 국내 RISS, Koreamed, KISS와 국외 MEDLINE, Cochrane Central, CINAHL, Pub Med를 활용하여 2017년 5월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총 19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Revman 5.3 프로그램으로 분석 하였으며, RoB (The Cochrane's Risk of Bias)도구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에 있어 클로르헥시딘의 적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월경곤란증에 관한 요가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Yoga for Dysmenorrhea Relief: A Systematic Review)

  • 김상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96-4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월경곤란증에 관한 요가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에 따라 진행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1966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CINAHL, Cochrane Library, Embase, CycINFO, PubMed 및 KoreaMed 등 전자데이터베이스와 "footnote chasing"를 통해 최종 7편이 추출되었다. 주요 결과는 요가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생리통 강도 및 기간, 스트레스, 삶의 질, 우울, 불안 및 분노 등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생리통 유발인자인 호모시스테인, 성선자극 호르몬, 여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프로락틴 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요가가 월경곤란증의 완화를 위한 적절한 중재방법임을 암시한다.

간염에 대한 국가별 연구패턴과 우선순위의 계량과학적 분석 (National Patterns of Research output and Priorities in Hepatitis: a Scientometric Analysis)

  • Babu, B. Ramesh;Ramakrishnan, J.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215-24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MEDLINE과 CINAHL, IPA 등 3개 서지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1984년부터 2003년까지 20년간의 문헌을 바탕으로 간염의 하위영역의 국가별 연구패턴과 우선순위에 대한 계량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의 간염연구분야의 전반적인 문헌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특히 하위영역에 대한 계량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간염분야의 주요 하위영역의 문헌은 23개로 세분되고 있으며, 1984-1993년의 기간중에는 일부 하위영역이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위영역의 우선순위가 높은 국가를 분석기간의 전반기와 후반기로 비교해 보면, 전반기(1984-1993)에는 미국(10개하위영역), 영국(9), 독일(8), 캐나다, 러시아, 네덜란드(각각 7) 순이었고, 후반기 (1994-2003)에는 독일(10), 영국(9), 미국(8), 캐나다, 러시아, 네덜란드(각각 7) 순이었다.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 (Assessment Tools of Sensory Processing for Preschool-Age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김명희;신현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종류를 알아보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감각처리 평가도구는 PubMed, Cochrane, CINAHL, PsycINFO와 같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논문을 검색한 뒤, 초록과 원문 검토를 통해 포함기준에 적합한 평가도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결과 : 총 38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으며, 8개의 평가도구가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Sensory Processing Measure-Preschool(SPM-P)이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부족한 도구로 는 Sensory Experiences Questionnaire(SEQ), Sense & Self-Regulation Checklist(SSRC), 그리고 Sensory Processing Scale Assessment(SPSA)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이 학령전기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처리 평가도구를 선정할 때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간질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 Systematic Review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pilepsy: Systematic Review)

  • 유하나;윤오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19-22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간질 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들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을 밝혀 추후 간질아동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PRISMA 문헌선택 흐름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Ovid-MEDLINE, EMBASE,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KMbase, and Koreamed)를 통해 454개의 논문들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의해 7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2명의 연구자가 분석에 포함된 모든 연구를 독립적으로 검토하였고,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위해 코크란의 Risk of Bias 도구와 국내의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도구를 이용하였다. 결과 중재 전략의 형태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교육; 상담; 인지행동치료; 신체활동. 중재의 목표들은 매우 다양하였다. 결론 각각의 중재들은 간질관련 건강 결과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불충분한 중재 정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결과 측정법, 적은 표본 수, 연구 설계의 제한점과 같은 방법론적인 약점들이 있었다.

무릎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적용한 자가관리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 knee osteoarthritis)

  • 김영일;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46-1956
    • /
    • 2015
  • 이 연구는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자가관리를 실시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Ovid Medline, CINAHL, PubMed, RISS, KISS 등을 통해, 주요어 '골관절염(osteoarthriti* OR OA)', '자가관리(self-(management OR care OR help))'를 사용하여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총 11편(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는 7편, 유사실험연구는 4편)으로 RevMan 5.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가관리 중재방법으로 운동, 교육, 마사지, 환우모임이 있었다. 메타분석 결과, 자가관리는 골관절염 대상자의 통증, 신체기능,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가관리가 일상생활능력에 대하여 큰 효과가 있었으며, 통증 및 신체기능에 대하여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골관절염 대상자를 위한 표준화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COVID-19 Risk Factors Among Health Workers: A Rapid Review

  • Mhango, Malizgani;Dzobo, Mathias;Chitungo, Itai;Dzinamarira, Tafadzw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262-265
    • /
    • 2020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oses an important occupational health risk to health workers (HWs) that has attracted global scrutiny. To date, several thousand HWs globally have been reported as infected with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virus that causes the disease. It is therefore a public health priority for policymakers to understand risk factors for this vulnerable group to avert occupational transmission. A rapid review was carried out on 20 April 2020 on Covid-19 risk factors among HWs in PubMed, Google Scholar, and EBSCOHost Web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Complete, MEDLINE with Full Text, CINAHL with Full Text, APA PsycInfo, Health Source-Consumer Edition, Health Source: Nursing/Academic Edition) and WHO Global Database. We also searched for preprints on the medRxiv database. We searched for reports, reviews, and primary observational studies (case control, case cross-over, cross-sectional, and cohort). The review included studies conducted among HWs with Covid-19 that reported risk factors irrespective of their sample size. Elev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Lack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exposure to infected patients, work overload, poor infection control, and preexisting medical conditions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Covid-19 among HWs. In the context of Covid-19, HWs face an unprecedented occupational risk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is need for rapid development of sustainable measures that protect HWs from the pandemic.

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환자관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 김희언;김은자;김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00-307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 환자 관리관련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임상적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 중심의 가이드라인 제공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Ovid, CINAHL, Cochrane library를 활용하였으며 (app*OR mobile) AND (nurs*OR health* OR medic*) AND (diabet*)을 주요어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총 375편의 연구 중 3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고,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의 Checklist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앱을 적용한 당뇨관리는 당화혈색소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추후 연구의 설계유형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중재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향후 충분한 표본수를 고려한 무작위 실험연구와 당화혈색소 이외 생리적 지표와 심리적 지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교육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n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 홍은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60-7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교육 연구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터넷 기반 전자 데이터베이스 CINAHL, Pubmed, RISS에서 국문 또는 영문으로만 출판된 문헌들을 수집하였다. 총 3,588편의 문헌 가운데 최종적으로 12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교육시간은 8시간 이내, 교육내용은 대응기 위주로 다룬 연구가 많았다. 교육방법은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액션러닝, 역할극, 문제중심학습 등 다양했다. 이와같은 재난교육은 재난 관리 역량, 재난 지식, 재난 간호 자신감, 재난 대응 능력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을 통해 타직종과의 협동심 증가 및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 형성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문헌 중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단 한편뿐이었으므로 향후 재난교육의 효과에 대한 확실한 근거제시를 위해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호사의 근무 부서별 특성과 재난관리연속체의 전 단계별 간호학적 중재를 고려한 재난교육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