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DA 토론학습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인터넷 수업에서의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토론 모델연구 (Developing CEDA Model for Internet-based Class)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93-101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의 토론 모형인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방식을 인터넷 토론학습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향후 인터넷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CEDA형 인터넷 토론수업 모델을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미국의 CEDA토론 기법의 기본 요소를 인터넷 토론학습모델에 적용한 수업설계를 통하여 1,2차에 걸쳐 각각 200명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CEDA토론을 실시하고 그 결과와 토론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터넷 CEDA토론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개방형 토론방법보다 찬반형의 CEDA토론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2차 연구에서는 토론에서 튜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튜터의 전략에 따라 토론결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스스로 토론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튜터의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CEDA형 인터넷 토론학습 모델이 학교현장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목별, 학습자별 다양한 토론학습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 입장에서 토론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PDF

인터넷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토론모델 연구 (Developing CEDA Model for Internet-based Instructional Debate)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0-309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의 토론 모형인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방식을 인터넷 토론학습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향후 인터넷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CEDA형 인터넷 토론수업 모델을 고안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미국의 대학 토론 경시대회에서 활용되는 CEDA토론 기법의 기본 요소를 인터넷 토론학습모델에 적용한 수업 설계를 동하여 1,2차에 걸쳐 약200명의 학습자 들에게 인터넷 CEDA 토론을 실시하고 그 결과와 토론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터넷 CEDA 토론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개방형 토론방법보다 찬반형의 CEDA토론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2차 연구에서는 토론에서 튜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튜터의 전략에 따라 토론결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스스로 토론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튜터의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CEDA형 인터넷 토론학습 모델이 학교현장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목별, 학습자별 다양한 토론학습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 입장에서 토론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PDF

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thics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 Concept, Ethical Dilemma and Ethical Decision Making Confidence)

  • 방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68-576
    • /
    • 2020
  • 본 연구는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 C시 소재, 3학년 간호대학생 총 57명이었고,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4일부터 5월 13일까지였다.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은 이론교육 3주와 CEDA 토론학습 6주로 총 9주 동안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1.0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t=13.816, p<.001)과 윤리적 딜레마(t=6.205, p<.001)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t=11.950, p<.001)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딜레마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들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자신있게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윤리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간호윤리 수업에서의 CEDA 토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도덕 판단력과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based upon CEDA Debates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 정현정;박현주;장인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8-25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debate with those of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DIT and the ethical values.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9 weeks,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12, 2010. Participants were 71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36 students) or a control group (35 stud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4 stage scores of moral judgment (t=-2.19, p=.036) and ethical values (t=3.04, p=.004)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 score of moral judgm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benefits of providing a CEDA debate course for nursing ethics education. Therefore, in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strategies or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ethical values and moral jud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