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ELLIA JAPONICA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8초

A Novel Benzoyl Glucoside an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 Cho, Jeong-Yong;Ji, Soo-Hyun;Moon, Jae-Hak;Lee, Kye-Han;Jung, Kyung-Hee;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60-1065
    • /
    • 2008
  • A novel benzoyl glucoside (4) and 13 know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by a guid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structure of 4 was determined to be 4-hydroxy-2-methoxyphenol 1-O-$\beta$-D-(6'-O-p-hydroxylbenzoyl)-glucopyranoside (camelliadiphenoside). The 13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E)-coniferyl alcohol (1), (-)-epicatechin (2), 4-hydroxyphenol 1-O-$\beta$-D-(6-O-p-hydroxybenzoyl) glucopyranoside (3), naringenin 7-O-$\beta$-D-glucopyranoside (5), quercetin 3-O-$\bet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6), kaempferol 3-O-$\bet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7), (+)-catechin (8), 1,6-di-O-p-hydroxybenzoyl-$\beta$-D-glucopyranoside (9), phloretin 2'-O-$\beta$-D-glucopyranoside (10),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11),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12), kaempferol 3-O-$\beta$-D-galactopyranoside (13), and kaempferol 3-O-$\beta$-D-glucopyranoside (14).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the spectroscopic data of fast atom bondardment mass spectrometry (FAB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Flavonoids having the catechol moie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isolated compounds having monohydroxy phenyl group.

개화기(開花期)에 들어선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의 P32 표식(標識) 인산(燐酸)의 행동(行動)과 효율(効率)에 대(對)하여 (Efficiency and Behavior of P32-labeled Phosphorus in Camellia japonica L in Blooming Stage)

  • 김종만;김용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5-80
    • /
    • 1969
  •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 많이 분포(分布)되는 동백나무에 대(對)한 개화기인산(開花期燐酸) 효율(効率)과 체내행동(體內行動)에 대(對)하여 $P^{32}$ 표식인산(標識燐酸)을 사용(使用)하여 추적(追跡)하여 본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Flower-bud의 P%는 다른 부분(部分)의 약(約) 2배치(倍値)을 시현(示顯)하였고 Root와 Stem은 다같이 동일(同一)한 경시적(經時的) 변화상(變化相)을 나타내였다. 2. 체내이동(體內移動)은 전반적(全般的)으로 봐서 24시간(時間) 내(內)에 일어나는 것 같았으며 인산(燐酸) 함량비(含量比)는 Growing-Point와 Flower-bud가 나머지 3부분(部分)의 합계(合計)와 같은 절반치(切半値)를 점유(占有)하였다. 3. 동백나무의 부분별(部分別) 비방사능(比放射能)은 Growing-point가 가장 현저(顯著)하였고 48시간(時間) 이후(以後)에는 평균(平均) 80%이상(以上)을 해부분(該部分)이 차지하였으며 본(本) 실험(實驗) 결과(結果)에서 얻어진 인산(燐酸)의 효율도(効率度)(이용도(利用度))는 약(約) 19% 정도(程度)로 나타 났다.

  • PDF

동백나무의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종자 무게 및 저장방법의 영향 (Effect of Seed Weight and Storage Metho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mellia japonica)

  • 강희경;최수지;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39
    • /
    • 2020
  •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대량번식 및 양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자 무게와 저장방법에 따른 발아특성과 유묘생장을 조사하였다. 실온저장과 4℃건조저장의 발아율은 종자 무게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습윤모래저장의 발아율은 종자무게가 무거울수록 높아졌으나 저장 120일에 매우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4℃ 습윤여과지저장의 발아율은 60일, 90일, 120일 저장 모두 80% 이상으로 높았고, 종자 무게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발아일수는 실온저장과 건조저장에서 30일 내외의 긴 시간이 요구되었지만 습윤저장(모래, 여과지)은 13일 내외로서 짧았다. 엽수, 엽건물 중, 줄기직경, 뿌리건물중은 종자 무게 1.21 g 이상부터 평균치를 상회하였고, 줄기길이는 종자 무게 1.01 g, 식물체건물중은 종자 무게 0.81 g, 줄기건물중은 종자 무게 0.61 g부터 유묘의 평균치를 상회하였다. 유묘 생장은 종자 무게가 무거울수록 양호하였으며, T/R율은 종자가 무거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동백나무 유묘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종자 무게 및 크기를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고, 파종을 위한 종자저장은 4℃ 습윤여과지저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4종의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국내산 자생 식물 열매 추출물의 항균성 탐색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erry Extract of Domestic Plants on 4 Kind of Pathogenic Microorganism)

  • 권민경;이해은;박주연;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33-438
    • /
    • 2003
  • 4종류의 식중독 세균 E. coli, S. typhimurium, S. aureus, L. monocytogenes 에 대하여 35 종의 국내산 자생 식물 열매 추출물에 의한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1 mg/disc 농도의 추출물을 6.0 mm paper disc 에 흡수시켰으며 disc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 (mm)을 생육저해환으로서 비교하였다. S. aureus에서는 덜꿩나무가 6.5 mm, 가막살나무와 독활이 각각 7.0 mm, 신나무가 8.0 mm 동백나무 와 만주고로쇠가 각각 9.5 mm의 clear zone을 보이며 우수한 항균성을 가진 것으로 검색되었고 L. monocytogenes에서는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만 7.0 mm의 clear zone이 나타났으며 E. coli 와 S. typhimurium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항균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S. aureus 와 L. monocytogenes에 항균성을 보인 동백나무 열매 MeOH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S. aureus에 대하여 1,250 $\mu\textrm{g}$/mL,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1,250∼2,500 $\mu\textrm{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35종의 국내산 자생 식물 열매의 항균 효과를 검토하고 동백나무 열매의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여 향후 천연 항균 소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동백 유박 에탄올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defatted Camellia japonica L. seeds)

  • 박원표;김난경;한석희;이상현;김지현;최진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03-511
    • /
    • 2023
  • 본 연구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백나무 유박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후 부탄올(BuOH),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O2-)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ABTS+ 및 O2- radical 소거능을 증가시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은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가장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26 mg GAE/g 및 32.39 mg QE/g이었으며,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보다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 및 EtOAc 분획물의 cameliaside B 함량은 각각 102.37, 165.05 ㎍/g임을 확인하여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백 유박 추출 및 분획물 중에서 BuOH 분획물 및 EtOA c 분획물은 다른 추출 및 분획물에 비해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 물질 함유량이 높아,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백잎 추출물의 신생혈관 및 세포부착 억제작용과 그 기전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Effects and Their Mechanism with the Extract of Camellia japonica Leaf)

  • 송민규;서효진;문제학;박근형;김종덕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49-254
    • /
    • 2007
  • 동백잎의 열수 추출물이 신생혈관 생성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이들 추출물에 대한 독성 시험을 HUVECs를 사용하여 검토한 바는 200 ug/mL에서도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5, 3.0, 15 및 30 ug/mL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30.7%, 38.5%, 53.8% 그리고 70.0%의 신생혈관 생성억제율을 보였다. 세포부착 저해효과는 C. japonica leaf (CJL)의 농도가 50, 100, $200{\mu}g{/well}$으로 증가할 때 E-selectin이 46.7%, 66.7% 그리고 86.76%, VCAM-1이 23.0%, 61.5% 그리고 84.6%, ICAM-1이 11.0%, 55.5% 그리고 88.8%로 나타났다. C. japonica leaf (CJL)의 성분 증가에 따라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보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ell adhesion의 저해 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신호전달의 기전규명은 western blot으로 행하였으며 CJ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밴드의 발현이 약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전달 분자인 VEGFR-2, $\beta$-catenin, Pl3-K는 CJL에 의해 신호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NF-${\kappa}$B를 억제함으로서 신생혈관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백잎은 신생혈관 생성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암 등의 치료와 암전이의 억제, 류마치스성 관절염, 그리고 항비만제제로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udies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Vegetation Transition over 25 year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Island

  • Lee, Sung-Je;Kim, Ji-Tae;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5-357
    • /
    • 2014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over 25 years (between 1986 and 2010),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some conditions (the vegetation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s WI, CI, mean annual temperature, mean annual total precipitation etc.)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ong-Do island. The EBLF is classified into five units of vegetation (Hedera rhombe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M-M comm.), Castanopsis sieboldii forest (Machilus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C. sieboldii community), community (Qa comm.), Carpinus turczaninovii community (Ct comm.), Camellia japonica stand (Cj st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by CCA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nd it did the succession (transition) that the M-M comm. (2010) from Mallotus japonicus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Carpinus coreana community (Cc comm.) Aucuba japonica community (Aj comm.) Trachelos 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Quercus acuta community (TQ comm.) (1986), the communities of C. sieboldii forest (2010) from Aj comm. TQ comm. Raphiolepis umbella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RC comm.) (1986), the Qa comm. (2010) from Ardisia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C comm.) and TQ comm. (1986), the Ct comm. (2010) from Cc comm. RC comm. Aj comm.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the Cj stand (2010) from AC comm. (1986).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re also changed.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during fermentation)

  • 고은혜;박은미;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35-23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0, 1, 2, 및 4% (w/v)의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그리고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첨가 결과 DPPH,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및 superoxide onion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사료된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낙엽의 분해와 영양원소의 동태 (Decomposition and Nutrient Dynamics of Leaf Litter of Camellia japonica L. in Korea)

  • 차상섭;이경의;이상훈;최문종;심재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17
    • /
    • 2016
  • 낙엽은 육상 생태계에서 영양원소의 주요 원천이며, 낙엽의 분해는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고,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원소의 방출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조절하는 생물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 분포역의 확대가 예상되는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를 대상으로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원소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은 전라남도 완도군 주도 상록활엽수림에서 2011년 1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31일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동백나무 낙엽은 기타 상록활엽수 낙엽에 비해 작고 두꺼우며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높은 수용성물질과 셀룰로즈, 리그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해 시작 후, 731일 경과 된 동백나무 낙엽의 잔존율은 42.6%이고 분해상수(k)는 0.427으로 나타났다. 동백나무 낙엽의 탄소 함량은 44.6%를 나타내었고, 분해과정에 따른 탄소의 잔존량은 낙엽 잔존량의 변화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와 인의 초기 함량은 각각 0.47%와 324.7mg/g을 나타내었다. 질소의 잔존량은 분해 초기 증가하여 최고 1.66배까지 증가하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731일 후 초기양의 1.18배를 나타내었다. 인의 경우 최고 1.64배까지 증가하였고 731일 후 1.15배를 나타내었다. 동백나무 낙엽의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잔존량은 분해과정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칼륨의 경우 빠르게 감소하여 8.9%의 잔존율을 보였다. C/N, C/P 초기 비율은 각각 94.87과 1368.5로 나타났지만,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질소와 인의 함량이 초기 함량에 비해 최대 2.78배와 2.68배까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동백나무의 낙엽은 조사기간 동안에 질소와 인에서는 부동화가, 나머지 원소에서는 무기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의 페놀류 함량과 항산화 효능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young leaves of Camellia japonica L. in Jeju)

  • 정동원;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07-311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페놀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4.9과 46.1 mg GAE/100 g 및 30.6과 21.4 mg RE/100 g이었다. 또한 추출물들은 DPPH, superoxide와 nitric oxide 라디컬 소거능, chelating 및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 동백나무 어린 잎이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차후 기능성 식품 및 약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