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6 세포

검색결과 2,677건 처리시간 0.026초

축산폐수 미생물의 초기적 동정 연구 (Initial Study on Behavior of Microorganisms in livestock Wastewater)

  • 김태진;서종원;김진경;김종철;정태훈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30-434
    • /
    • 2001
  • 축산폐수 배양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축산폐수 내에는 주로 bacillus 계통의 균주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미생물 농도 측정을 위하여 630 nm를 최적흡수파장으로 선정하였다. 축산폐수 원액의 접종량(5, 10, 20, 30, 40, 50%) 및 온도 변화(2$0^{\circ}C$, 37$^{\circ}C$)에 따른 성장곡선을 구한 결과 2$0^{\circ}C$에서는 6~7시간 이후부터, 37$^{\circ}C$에서는 5~6시간 이후부터 세포 농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축산폐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1시간 동안 미생물의 농도(X)가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축산폐수를 10$0^{\circ}C$로 2분 이상 중탕 처리하여 2$0^{\circ}C$ 및 37$^{\circ}C$에서 배양하면 1시간 이내에는 온도에 관계없이 미생물의 동정이 변화 없음을 확인하였다. 축산폐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순수하게 분리.여과한 축산폐수의 세포농도는 흡광도 및 건조세포무게와 각각 높은 선형성(98.88% 및 98.98%)을 나타내었다. 이때 축산폐수 원액의 경우에는 0.375 g/L의 건조세포무게 농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벼 냉해의 초기 기작으로서 생체막과 세포질 사이의 대사 불균형 (Metabolic Imbalance between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Induced by Low Temperature in Rice Plants)

  • 이근표;부용출;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36-240
    • /
    • 2000
  • 식물의 저온 스트레스 및 방어체계에 대한 기작론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저온에서 보이는 벼 유묘의 생장력 상실과 생체막의 상전이 및 세포질 대사 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주변환경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유묘의 생장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약 $13^{\circ}C$ 이하에서는 생장이 실질적으로 정지하였다. 이 온도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물리적 상전이 온도 및 기능적 상전이 온도와 일치하였다. 또한 해당과정의 중간생성물인 glucose 6-phosphate(G6P), fructose 6-phosphate(F6P)의 함량과 온도간의 상관곡선에서 보여주는 변곡점도 $13^{\circ}C$ 부근에서 나타났다. 이들-세포생리의 생화학적, 생물물리적 특성들의 불연속적 변화를 나타내는-온도들의 일치는 저온하에서의 생장정지가 우선적으로 미토콘드리아막의 상전이에 기인하며, 이 상전이가 세포 대사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주요인임을 시사한다. 저온처리된 벼를 다시 상온으로 옮겼을 때 축적된 G6P와 F6P함량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온환원시 TCA cycle을 거쳐 호흡전자전달에 필요한 전자공여체를 짧은 시간에 과다생성시키는 요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total DNA 및 단백질 함량변화에 의한 C. polykrikoides 조기적조 예측 응용 (Application of DNA Content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to Predict Blooms Caus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in Korean Coastal Waters)

  • Cho, Eun-Seob;Park, Yong-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5-262
    • /
    • 2004
  • 본 연구는 남해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 C. polykrikoides 조기적조를 예측하기 위한 기법으로 DAPI로 염색시킨 DNA와 단백질 함량변화를 단기간으로 조사했다. 조사기간 중의 환경요인, 영양염 (질산, 아질산, 인산염) 농도는 조사지점이나 시기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보였다. 그러나 C. polykrikoides 밀도는 조사지점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2000년 8월 초순의 경우 C2, C5, C6에서 리터 당34, 62, 57세포를 각각 출현했으며, 8월 중순에는 C3에서 최고 547 세포가 보였다. C. polykrikoides 출현밀도와 DNA 및 단백질 함량과는 양성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C. polykrikoides 세포밀도가 아주 낮을 경우에 높은 상관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DNA 및 단백질 함량변화 기법은 C. polykrikoides 조기적조를 쉽게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도 이용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이 C2C12 세포 내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세포사멸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xed plant-extract powder on the regulation of differentiation and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C2C12 cells)

  • 박세은;최다빈;오교녀;김한중;박형범;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8-30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을 최대 1,000 ㎍/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되었다. 식물 추출물 혼합분말이 근육세포 분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yogenin과 MHC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 처리에 의해 H2O2 단독 처리군보다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LDH와 creatine kinase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caspase-9와 -3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효과 및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은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유효성 확보를 위해서 근감소증 세포 및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및 기전 분석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중구에서 phospholipase D의 활성에 대한 protein kinase G의 영향 (Effects of Protein Kinase G on Phospholipase D Activity of Human Neutrophils)

  • 박지연;이민정;장민정;이선영;배외식;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03-910
    • /
    • 2003
  • Phosphipase D(PLD)는 호중구의 활성에서 중요한 신호전달 인자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중구에서 PLD의 활성화에 대한 nitric oxide(NO)와 cGMP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 내 NO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인 sodium nitroprusside (SNP)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SNP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교하여 PLD 활성은 0.5 mM 농도에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세포 내 cAMP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인 dibutyryl-cAMP를 처리하였을 때 formyl-Met-Leu-Phe(fMLP)에 의한 PLD활성은 억제되었으나 cGMP를 증가시키는 물질인 8-bromo-cGMP(300 $\mu$M)를 단독으로나 fMLP와 같이 처리하였을 때 PLD의 활성은 큰 영향이 없었다. NO에 의한 PLD의 활성은 cGMP-의존형 인산화 효소인 protein kinase G(PKG)의 억제제인 KT 5823에 의하여 억제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PKG 이외의 경로를 통하여 일어남을 제시한다. NO를 처리한 호중구에서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가 활성화되어 인산화된 p38 MAPK가 Western blot에서 증가되었다. NO에 의한 p38 MAPK의 인산화는 KT 5823에 의하여 억제되지 않았고 PLD 억제제인 n-butanol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PLD 활성의 인자인 RhoA는 fMLP나 phorbol myristate acetate(PMA)의 자극에 의하여 세포질로부터 세포막으로 전이가 되었으나 cGMP의 전처리에 의하여 fMLP에 의한 RhoA의 전이는 억제되었으나 PMA에 의한 전이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결과들은 호중구 내 증가된 cGMP가 RhoA를 억제하였으나 세포 내 증가된 NO는 cGMP 이외의 인자를 통하여 PLD의 활성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내장신경절 및 우 체벽신경절에 관한 연구 II. 미세구조적 방법 (Studies on the Visceral Ganglion and Right Parietal Ganglion in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II. Ultrastructural Method)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01-108
    • /
    • 2001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의 내장신경절(visceral ganglion)과 우 체 벽신경절(right parietal ganglion)을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5종류(type-A, B, C, D 그리고 E)의 신경분비세포(neurosecretory cell)와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신경망 등이 관찰되었다. A형 세포(직경 $35{\mu}m$)는 두 신경절의 피질부에서 가장 많이 관찰된 삼각형 또는 불규칙한 세포로서, 세포질에는 직경 $1{\mu}m$인 큰 과립과 $0.1{\mu}m$정도인 작은 둥근과립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작은 과립들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과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과립 등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B형 세포(직경 $19\times12{\mu}m$)는 두 신경절의 피질부와 수질부의 여러 부위에서 고르게 관찰된 세포로서 A형 신경분비세포와 그 형태가 비슷하였다. 세포질 내에는 $0.1{\mu}m$정도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로 가득찬 반면 둥글고 큰 과립(직경 $0.7{\mu}m$정도)들은 드물게 관찰되었다. C형 세포는 크기가 $8\times6{\mu}m$정도인 가장 작은 세포로서, $6\times5{\mu}m$정도인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세포질에는 $0.23{\mu}m$정도인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는데, 이들은 $0.03{\mu}m$정도 크기의 작은 과립들이 둥글게 모여 있는 특이한 형태였다. D형 세포는 $28\times20{\mu}m$정도 크기의 중형세포서,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다. 이들은 두 신경절의 수질부와 피질부 중, 피질부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다. 세포질은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관찰되고 직경 $1.6{\mu}m$$0.6{\mu}m$인 두 종의 둥근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E형 세포는 크기가 $100\times50{\mu}m$정도인 대형세포로서 두 신경절의 상단부와 중앙부위에서 드물게 나타났다. 핵은 $70\times30{\mu}m$정도로 세포질 대비 매우 컸다. 이들은 다양한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sim0.2{\mu}m$)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세포의 표면은 여러 형태의 사상족(filopodia)들을 뻗어 노쇠한 세포들을 포식하였다. 신경망(neuropiles)들은 신경분비세포를 둘러싸고 있었으며, 신경섬유 속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접소포들(synaptic vesicles)이 관찰되었는데, 전자밀도, 크기 그리고 모양에 따라 6종류로 분류되었다.

  • PDF

멜라틴이 세포자멸사 유발에 의해 DU-145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Melittin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 심윤섭;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49-58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 멜리틴이 DU-145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cell viability 측정으로는 WST-1 assay를,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4,6-diamidino-2-phenylindole)와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calpain, Bax, caspase-3, -9, cleaved caspase-3, cleavaged PARP, cleaved caspase-9, Bcl-2, XIAP, cIAP2, Akt, p-Akt, MMP-2, MMP-13)의 관찰을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멜리틴이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의 방사선보호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In vivo Radioprotective Effects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C3H Mice)

  • 김연실;윤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53-263
    • /
    • 2002
  • 목적 :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섬유아세포뿐 아니라 간질조직과 골수 및 다른 상피 근원세포의 성장에도 관여하며 방사선보호제 역할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사선보호제로서의 bFGF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엽조직 기원(mesenchymal origin)인 마우스육종 180 종양세포를 생쥐 대퇴부 피하에 이식하고 bFGF를 투여한 후 전신방사선조사(6, 8, 10 Gy)하여 생쥐의 생존률을 조사하고 bFGF (3, $6\;{\mu}g$/쥐)의 방사선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동시에 이식한 마우스 180 고형종양을 국소방사선조사한 후 bFGF가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bFGF에 의한 방사선보호효과의 기전을 이해 하고자 소장점막, 골수, 폐조직 및 이식종양조직에 대한 병리 조직학적 검사와 DNA terminal transferase nick-end labeling assay 방법으로 아포프토시스(apoptosis)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생쥐의 골수치사를 감소시켜 생존률이 증가되었다(p<0.05). 2)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공장 소낭선 깊이 및 미세융모 길이가 의의 있게 증가되었다(p<0.05). 소낭선세포의 아포프토시스 빈도는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bFGF 투여병행군에서 방사선조사후 8시간, 24시간에 감소하였으며 bFGF를 고용량 투여한 군에서 뚜렷하였다. 3) 골수조직에서는 방사선조사 후 7일, 14일째 세포 밀도가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거핵구(megakaryocyte) 계열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4) 폐조직의 H-E 염색 조직소견에서 방사선단독군과 방사선조사와 bFGF 투여병행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5) 골수 및 폐 조직에서 bFGF 투여에 따른 초기 아포프토시스 빈도의 차이는 려었다(p>0.05). 6) 양성대조군과 bFGF단독투여군 비교시 bFGF투여에 의한 종양성장은 관찰되지 않았으며(p>0.05) 방사선조사단독군과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도 종양성장곡선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 bFGF는 소장점막 및 골수세포에 방사선보호효과가 있었으며 그 기전은 조혈모세포 및 소장낭선세포의 성장 및 재생을 촉진하고 조기에 방사선으로 유도된 아포프토시스를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후박 열수 추출물의 Jurkat T 세포에서 세포사멸 효과 (Machilus Thunbergii Water Extract Induces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Jurkat T Lymphoma)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51-957
    • /
    • 2017
  • 후박은 전통적으로 동양의학에서 사용되어왔는데 인간 급성 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T 세포를 사용하여 후박의 세포독성 관련 기작을 알아보았다. 후박 뿌리(3 kg)를 메탄올로 추출, 증류한 후 내용물을 물에 녹여 동결 건조 후 사용 하였다. 그 활성물질을 MTWE이라 명명하였다. MTWE을 0, 25, 50,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사멸 과정을 보았다. 즉,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caspase-3의 활성화 및 ICAD 분해를 관찰하였다. 더욱이,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억제자인 Bcl-xL이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Jurkat T 세포에서는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TWE가 mitochondria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TWE를 0, 25, 50, $100{\mu}g/ml$ 처리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인자인 DUSP6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핵의 apoptotic morphology 변화를 DAPI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비록 DUSP6와 다른 관련인자들간의 관련성을 찾아야 하지만, 이상의 결과는 MTWE가 T세포에 의한 급성 백혈병을 조절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는 것의 의미한다.

대황 추출물이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ubarb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In-A Ch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6
    • /
    • 2023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황 추출물이 골수 유래 대식세포(BMM)에서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골 세포는 골 재흡수 및 재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파골 세포의 조절 장애는 다양한 골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잠재적인 항염증 특성을 가진 약용 식물인 대황은 뼈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연구방법: 생후 5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대퇴골과 경골에서 BMM을 분리하고 M-CSF(mous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존재하에 3일간 배양한 후 M-CSF와 파골 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핵 인자-κB 리간드(RANKL)의 활성화제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대황 추출물로 처리하면 BMM에서 파골 세포 분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은 파골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유전자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및 CTSK(cathepsin K)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전사 인자인 활성화된 T 세포 c1(NFATc1)의 핵 인자의 RANKL 유도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황 추출물이 BMMs에서 파골 세포 형성에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황 추출물은 비정상적인 파골 세포 활동과 관련된 뼈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망한 치료제이다. 잠재적인 임상 적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연구와 탐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