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japonica

검색결과 1,190건 처리시간 0.032초

황련 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의 분리 및 활성 검정 (Separation and Activity Test of Antifungal Substance from C. japonica Extract)

  • 정일민;백수봉
    • 분석과학
    • /
    • 제10권2호
    • /
    • pp.153-159
    • /
    • 1997
  • 황련(C. japonica)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과겹무늬병, 사관탄저병 및 사과푸른곰팡이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함과 동시에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안정성이 있는 천연식물성 농약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공시균에 대한 황련의 조추출액 $EC_{50}$$400{\sim}500{\mu}g/mL$이고 TLC, HPLC 분석을 통한 생리활성물질은 berberine으로 동정되었고 그 함유율은 81.14%였다.

  • PDF

섬진강-광양만 하구 기수 재첩 (Corbicular japonica)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r japonica) from Seomjin River to Gwangyang Bay, South Korea)

  • 김지훈;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12-220
    • /
    • 2022
  • 재첩은 하구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섬진강 하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재첩은 담수와 해수생태계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종이다. 재첩은 외부형태만으로는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서식 재첩의 종 동정을 위해 형태적 관찰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기반 DNA 바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첩 간 다른 두 종을 확인하였으며, COI 염기서열의 다중배열 분석결과 약 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재첩과 내 다양한 종들과 계통수 분석으로 계통유 전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 C. fluminea와 하나의 계통군으로 묶여졌고 진화적 거리는 0.003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재첩속인 C. leana와 0.089, C. fluminalis와 0.096으로, 재첩과 내 3종과는 약 0.2로 C. japonic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화적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이고, 그중 한 개체가 C. flumine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NA 바코딩을 이용한 섬진강 하류 지역에 서식하는 재첩의 COI 시컨스를 통해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하여 형태학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종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Cordyceps miiitaris에 함유된 혈당강하 성분이 간세포 Glucokin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Cordyceps militaris Increases Hepatic Glucokinase Activities)

  • 김현숙;노영주;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1
    • /
    • 2005
  • 본 연구에서 는 P japonica와 c. mifitaris에서 혈당강하 기능성 성분을 분리하고 간세포내 glucokinase활성을 측정하여 항당뇨 작용 기전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동충하초에서 분리 된 fraction A의 간세포내 glucokinase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C. militaris는 371.4%, P. japonica는 379%로 증가하였다. Fraction B의 활성은 C. miliraris 314.2%, P. japonim는 147.4% 증가하여 C. milifaris에서 추출된 fraction B는 P. japonin와 비교했을 때 2배 이상의 glucokinase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C. militaris의 혈당 강하 작용을 in vivo에서 검증한 결과 C. militaris 첨가군의 glucokinase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1300% 이상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 militaris추출물은 간세포 내 glucokinase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포도당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for the Rehabili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 최규창;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0-77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for the rehabili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and artificial wetland. The results on the revegetation methods by seeding and sodding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eed germination of Phragmites japonica was 76.3% at $30^{\circ}C$, that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was 68.7% at $20^{\circ}C$, that of Themeda triandra germinated 52.3% at $25^{\circ}C$,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and that of Pennisetum alopecuroides germinated 86.7% at $30^{\circ}C/20^{\circ}C$ alternating temperature. Seed germination of Pennisetum alopecuroides exceeded 80% at $20^{\circ}C$, $25^{\circ}C$,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and $25^{\circ}C/15^{\circ}C$ alternating temperature. At 60 days after seeding, the ground coverage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reached 81%, 81 %, 74%, and 86% respectively in the soil media of vermiculite and peatmoss(1 : 1 by volume). In the results of sod experiment,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were formed sod completely in soil composition type of vermiculite and peatmoss(1 : 1, v/v). Thus this media seems to be best sad production media for rehabilitation works of Close-to-Nature River and man-made wetlands. Phragmites japonica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ot height and the number of tillers by different planting distance for the first one year of experiment. Pennisetum alopecuroides shows high possibility to be used for Close-to-Nature River rehabilitation works by seeding.

  • PDF

Effects of Callophyllis japonica powder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rats

  • Park, Dal-Soo;Lee, Ki-Hyun;Kim, Hee-Chul;Ahn, Mee-Jung;Moon, Chang-Jong;Ko, Myung-Soon;Lee, Kyoung-Kap;Go, Gyung-Min;Shin, Tae-Kyu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3호
    • /
    • pp.231-235
    • /
    • 2005
  •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bioactivity of Callophyllis japonica (C. japonica), which is a red seaweed that is traditional in the oriental diet. In this report,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C. japonica was studied in a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model in rats.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25 ml/kg of 20% $CCl_4$ in olive oil produced an elevated level of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and increased enzyme activity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GOT). Pre-treatment with C. japonica (150 mg/kg/d) for 3 days in $CCl_4-injected$ rats reduced the levels of SGPT and SGOT compared with control levels (P < 0.05), while higher doses (300 and 600 mg/kg) were ineffective. The administration of C. japonica (150 mg/kg/d) for 3 days after the $CCl_4$ injection in rats was ineffective at reducing SGPT and SGOT.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each group largely agreed with the biochemic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suggestion that C. japonica has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chemical-induced liver injury.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서 상록활엽수의 확산패턴 (Spreading Patter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Forest Community adjacent to the Camellia japonica Stands)

  • 정재민;정혜란;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89-94
    • /
    • 2011
  •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 대한 상록활엽수종의 치수발생량과 종자산포량을 분석하였다. 치수밀도와 비율의 경우, 동백나무림과 동백나무림 가장자리, 동백나무림내 해송아래, 편백림에서 발생하는 전체치수의 약 90%이상이 동백나무를 포함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 돈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는 동백나무림에서 200 m 정도 떨어진 해송림과 낙엽활엽수림에까지 밀도는 낮지만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시작되고 있었다. 흉고 직경급 분포에서 동백나무는 역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고 후박나무, 참식나무, 광나무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동백나무 종자는 동백나무림 주변 50 m 이내에 주로 산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Ⅶ. 작살나무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속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Ⅶ.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Callicarp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151-170
    • /
    • 1987
  • Taxa of genus Callicarpa in Korea were described taxonomically and studie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based on the leaf length, leaf width, peduncle length, fruit width and geograhic distribution. Among 12 taxa reported previously in Korea, 3 forms of C. japonica were unifed to original species, C. japonica var. glabra was reserved, Whereas C. shirasawana was not distributed in Korea. As a result, 7 taxa belonging to 3 species, 4 varieties of genus Callicarpa remained. C. japonica complex is considered to be more advanced among the species compared with the bract shapes.

  • PDF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japonica and Chenopodium album)

  • 김신애;최수철;윤영한;고창인;하영순;이인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7-3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참마와 명아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EC_{50}$)에서 각각 2.386, 0.524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혼합 시료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참마 추출물:명아주 추출물 비율이 2:1일 때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L-6와 $TNF-{\alpha}$의 ELISA 실험을 통해 항염증효능을 평가한 결과,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IL-6의 경우 1 mg/mL 농도에서 참마 추출물은 대조군과 대비하여 27.17% IL-6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명아주 추출물은 72.30%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NF-{\alpha}$의 경우 참마 추출물은 61.97%, 명아주 추출물은 77.85%로 유의성 있는 $TNF-{\alpha}$생성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제제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진강 하구역의 어류 군집과 실뱀장어 소상 (Fish Community and Upstream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the Imjin River Estuary, Korea)

  • 변화근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31-38
    • /
    • 2014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임진강 하구역에서 어류 군집과 실뱀장어 소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8과 42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Microphysogobio jeoni) 1종으로 고유화빈도가 0.04%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떡붕어(Carassius cuvieri)와 초어(Ctenophayngodon idellus) 2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06%로 매우 낮았다. 출현한 어종 중 순수담수어에 속하는 종은 17종(40.5%), 회유성 6종 (14.2%), 기수성 8종 (19.1%), 해산어 11종(26.1%) 등 이었다. 개체수 구성비가 높은 종은 뱀장어(Anguilla japonica (glass eels, 49.8%)), 웅어 (Coilia ectens, 23.3%), 두우쟁이 (Saurogobio dabryi, 8.1%), 강주걱양태(Repomucenus olidus, 3.3%), 점농어(Lateolabrax maculata, 2.9%),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2.8%)등 이었으며 생체량에 있어서는 C. ectens (33.6%), C. haematocheilus (14.2%), 잉어(Cyprinus carpio, 10.5%), 숭어(Mugil cephalus, 9.1%), S. dabryi (7.6%) 등이 풍부하였다. 우점종은 개체수에 있어 A. japonica (glass eels)이었고 C. ectens가 아우점종이었다. 파주시에서 연간 어획된 양은 83.6~240.3 t이었으며 2011년과 2012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어획된 어류 중 생체량에 있어 M. cephalus (48.0~80.0%), C. carpio (6.7%), 붕어(Carassius auratus, 4.9%), 메기 (Silurus asotus, 3.9%), 황복(Takifugu obscurus, 2.5%), A. japonica (adult, 2.2%),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2.1%) 등의 순으로 풍부하였다. 연간 포획된 A. japonica (glass eels)는 양은 0.03~1.13 t이었고 연평균 212.0 kg이었으며 개체당 평균 체중이 0.16 g으로 약 1,325,000개체이었다.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Thunberg)의 온도별 성충 수명, 산란수 및 두 종 진딧물에 대한 포식량 (Temperature-dependent Longevity and Fecundity of Propylea japonica Thunberg (Coleoptera: Coccinellidae) and Its Predation Amount on Two Aphid Species)

  • 박부용;정인홍;김길하;전성욱;이상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77-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온도(20, 25, $30^{\circ}C$)에서 꼬마남생이무당벌레의 생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을 먹이로 사육한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암컷의 성충기간은 20, 25, $30^{\circ}C$에서 각각 134.0, 101.0, 55.2일이었고, 총 산란수는 각각 508.6, 875.6, 383.4개였고, 수컷의 성충기간은 각각 128.8, 97.8 및 46.5일이었다. $25^{\circ}C$에서 꼬마남생이무당벌레의 1령, 2령, 3령, 4령, 수컷 및 암컷의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일일 평균포식량은 각각 2.2, 7.3, 14.5, 29.1, 35.0 및 42.9마리이었고, 목화진딧물 성충의 일일 평균포식량은 각각 2.2, 7.5, 13.9, 29.5, 37.0 및 40.8마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