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

검색결과 37,468건 처리시간 0.056초

Cloning and Expression of pcbC and pcbD Genes Responsible for 2,3-Dihydroxybiphenyl Degradation from Pseudomonas sp. P20

  • Nam, Jung-Hyun;Oh, Hee-Mock;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68-73
    • /
    • 1995
  • Pseudomonas sp. P20 was shown to be capable of degrading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4CB)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benzoic acids wnich were not further degraded. But the potential of the strain for biodegradation of 4CB was shown to be excellent. The pcbA, B, C and D genes responsible for the aromatic ring-cleavage of biphenyl and 4CB degradation were cloned from the chromosomal DNA of the strain. In this study, the pebC and D genes specifying degradation of 2, 3-dihydroxybiphenyl (2, 3-DHBP) produced from biphenyl by the pebAB-encoded enzymes were cloned by using pBluescript SK(+) as a vector. From the pCK102 (9.3 kb) containing pebC and D genes, pCK1022 inserted with a EcoRI-HindIII DNA fragment (4.1 kb) carrying pebC and D and a pCK1092 inserted with EcoRI-XbaI fragment (1.95 kb) carrying pebC were constructed. The expression of pcbC and D' in E. coli CK102 and pebC in E. coli CK1092 was exa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UV-vis spectrophotometry. 2.3-dihydroxybiphenyl was readily degraded to produce meta-cleavage product (MCP) by E. coli CK102 after incubation for 10 min, and then only benzoic acid(BA) was detected in the 24-h old culture. The MCP was detected in E. coli CK1022 containing pebC and 0 genes (by the resting cells assay) for up to 3 h after incubation and then diminished completely in 8 h, whereas the MCP accumulated in the E. coli CK1092 culture even after 6 h of incubation. The 2, 3-DHBP dioxygenases (product of pebC gene) produced by E. coli CK1, CK102, CK1023, and CK1092 strains were measured by native PAGE analysis to be about 250 kDa in molecular weight, which were about same as those of Pseudomonas sp. DJ-12, P. pseudoa1caligenes KF707, and P. putida OU83.

  • PDF

Potassium Sorbate에 침지한 냉장 돼지고기 안심의 미생물, pH 및 관능평가 (Microbiological, pH and Sensory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Tender-Loins Treated with Potassium Sorbate)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2
    • /
    • 2007
  • 본 연구는 $4^{\circ}C$ 냉장 동안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미생물, pH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0.5{\sim}2.0%(w/w)$ potassium sorbate로 10분 동안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호기성 미생물과 그람음성 미생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circ}C$ 냉장 9일 동안 유의적 감소(P < 0.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4^{\circ}C$ 냉장 동안 potassium sorbate의 농도가 증가하므로 서 모든 처리군에서 돼지고기 안심의 호기성 미생물과 그람음성 미생물에 대한 항 미생물 효과를 보였다. $4^{\circ}C$ 냉장 6일 동안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pH가는 증가함을 보였다. $0.5{\sim}1.0%(w/w)$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관능평가 결과는 신선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냄새와 외관의 점수가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1.0% (v/w) potassium sorbate로 10분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은 관능평가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4^{\circ}C$ 냉장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결장암 및 직장암에서 암유전자 산물의 발현 (Expression of Oncogene Product in the Colorectal Carcinoma)

  • 심영란;장우영;최경찬;최준혁;최원희;심민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10-225
    • /
    • 1995
  • 1983년 6월부터 1993년 5월까지 10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결장 및 직장암으로 절제되어, 병리조직학적으로 결장 및 직장암으로 확진된 예 중, 파라핀 포매조직의 상태가 양호한 선암종 67례를 대상으로 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해서 대장암에서의 $p62^{c-myc}$$p21^{ras}$의 발현양상을 검색함으로써 종양유전자 산물과 대장암의 유형, 분화도 및 Dukes stage에 따른 연관성 유무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장 및 직장암에서 $p62^{c-myc}$ 발현은 직장암에서 더 많았으며 그 양상은 주로 미만성 반응이 많았고(p<0.05), $p21^{ras}$ 발현은 여자에서 더 많았다(p<0.05). 분화도에 따라서는 고분화 선암종에서 미만성으로 나타났고 강양성 반응의 경향을 보였다. 수정된 Dukes stage와 두 종양유전자 산물의 발현은 비교적 초기에 미만성으로 나타났다. 종양유전자 $p62^{c-myc}$의 발현은 전이된 림프절에서 원발병소보다 미만성, 강양성으로 더 많이 관찰 되었고, $p21^{ras}$의 발현은 원발병소에서 더 양성반응이 많았고 주로 미만성, 강양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환자의 나이, 종양의 육안소견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연구를 요약하면 종양유전자 산물 $p62^{c-myc}$$p21^{ras}$의 발현은 대장암 초기 및 고분화 선암종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환자의 나이, 종양의 육안소견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Cronobacter sakazakii의 산 저항성 (Acid Resistance of Cronobacter sakazakii)

  • 장성란;방우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1-556
    • /
    • 2011
  • 본 연구는 표준균주 C. sakazakii(CAFM2)와 4개의 야생균주(EB 1, EB 5, EB 7, EB 41)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한 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을 살펴보았다. C. sakazakii는 pH 4.5 TSB에서 5시간, 10시간 동안 적응한 경우, pH 4.5 TSB에서 적응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EB 7을 제외한 모든 균주가 pH 2.5 TSB에서의 D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약산성 환경에서 적응한 균주는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C. sakazakii는 pH 4.5 TSB에서 배양한 경우, pH 7.2 TSB에서 배양한 경우와 비교하여 모든 균주가 pH 2.5 TSB에서의 D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약산성 환경에서 배양한 균주는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 sakazakii는 약산성 환경에 적응한 경우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cid adaptation response는 C. sakazakii와 관련된 식품 가공 산업에서의 hurdle technology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확보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VI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I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47-157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여덟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Passalora 1종, Pseudocercospora 4종, 그리고 Stenell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스토크와 무우에서 Cercospora bassicicola, 자리공에서 C. flagellaris,참깨에서 C. sesami, 백일홍에서 C. zinniae, 개회나무에서 Passalora amurensis, 봉선화와 물봉선에서 Pseudocercospora balsaminae, 환삼덩굴에서 P. humuli, 찔레꽃에서 P. puderi, 버드나무류에서 P. salicina, 그리고 패랭이꽃에서 Stenella dianthi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V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38-146
    • /
    • 1999
  •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일곱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Neoramularia 1종, Pseudocercospora 4종, 그리고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우엉에서 Cercospora arcti-ambrosiae, 꽃상추와 치코리에서 C. cichorii, 콩에서 C. kikuchii, 당개지치에서 C. subhyalina, 석잠풀에서 Neoramularia koreana, 쥐똥나무에서 Pseudocercospora ligustri, 달맞이꽃에서 P. oenotherae, 복분자딸기와 줄딸기에서 P. rubi, 느티나무에서 P. zelkowae, 그리고 구릿대에서 Ramularia archangelicae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X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X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54-362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열 한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Phaeoramularia 1종, Pseudocercospora 4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밤나무와 산밤나무에서 Cercospora castaneae, 애기나리에서 C. dispori, 낙상홍에서 C. ilicis-opacae, 아욱에서 C. malvarum, 쥐오줌풀에서 Phaeoramularia valerianicola, 사위질빵에서 Pseudocercospora clematidis, 개야광나무에서 P. cotoneasteris, 영산홍에서 P handelii, 조록싸리에서 P. lespedezicola, 그리고 전호에서 Ramularia chaerophylli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X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X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3-371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열두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Mycovellosiella 1종, Pseudocercospora 4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제라늄에서 Cercospora brunkii, 노루오줌에서 C. deutziae, 삼색제비꽃(팬지)에서 C. granuliformis, 옥잠화에서 C. hostae, 가지에서 Mycovellosiella nattrassii, 국화에서 Pseudocercospora chrysanthemicola, 뱀무에서 P. geicola, 밀나물에서 P. mississippiensis, 가새덜꿩나무에서 P. viburni-cylindrici, 그리고 벼룩이 자리에서 Ramularia moehringiae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농촌시설물 P-C-M Support System 범위를 위한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for P-C-M support System Design in Agricultural Facilities)

  • 김미경;신한우;김태희;김광희;김준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127-130
    • /
    • 2009
  • Recently agricultural productivity innovation projects are increasing all over the farming countries. To reform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industry is important factors. This research is to do the functional Analysis for P-C-M support System Design in Agricultural Facilities. By analyzing the for P-C-M support System modules in the agricultural construction process, P-C-M support System factors are derived and def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widely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guide to develop the agricultural P-C-M support System in the agricultural construction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