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majus var asiatic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발효 애기똥풀 주정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에 있어 발효 균주의 효과 (Effects of Different Starter Cultures on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Fermented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 함영주;신영근;최낙진;강상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7-47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on biological activity of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and to screen effective starter culture strain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gallinarum and antioxidant activity a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DPPH were tested. Total six starter culture strains, two of Lactobacillus brevis, one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thre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used. Plant extract was prepared after fermentation by using ethanol. All strains showed normal growth in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cultures and L. plantarum showed the highest cell growth significantly (p<0.05). In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the activity was found only in the extract from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In antioxidant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in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significantly (P<0.05). Newly produced spots in two of three elution systems on TLC-DPPH test were detected in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추출 용매에 따른 애기똥풀 색소의 특성 및 염색성 (Characteristics and Dyeability of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 최형열;이정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9-87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igment characteristic and changes in dying conditions on the dying properties by extracting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using distilled water and ethanol as solvents. Changes in dying conditions include variations in dye concentrations, dyeing temperatures and time on dye uptake, and K/S Valu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se changes. Additionally, color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mordant. Ultraviolet-visible spectrum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igment characteristic, and as a result, tannin was identified in distilled-water-extract, whereas berberine and chlorophyll were identified in ethanol-extract. In FT-IR analysis, tannin in distilled-water-extract was verified as hydrolyzable tannin. For ethanol extract, chlorophyll was verified through absorption band of C-H, which is aliphatic spectrum around $2920cm^{-1}$ and $2850cm^{-1}$. From GC/MS analysis, oil components as well as terpine compounds were detected in ethanol-extract, and this, in turn, brings expectation regarding functionality. When dying in silk, dye uptake increased as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increased, and the optimum dye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40^{\circ}C$ and 60 minutes respectively. Dyed fabrics' colors were all basically Y-series colors, and adjustment in brightness and revelation of khaki color were also availabl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rdant. Color fastness, except for washing fastness, was good in silk dyed with distilled-water-extrac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by selecting the right extracting method and by doing proper dyeing and mordant according to the needs, these dyed fabrics can be used as eco-friendly, functional clothing material.

유지 불검화물과 식물체 추출물이 식용유의 $180^{\circ}C$ 가열 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il Unsaponifiables and Plant Extracts on the Thermal Oxidation of Oils at $180^{\circ}C$)

  • 정문웅;윤석후;김성렬;이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60-868
    • /
    • 1997
  • 여러 종류(8종)의 유지로 부터 추출한 불검화물과, 강력한 자동산화억제력이 있다고 알려진 53종의 식물체(농산물 및 생약) 메탄을 추출물을 유지에 첨가한후 $180^{\circ}C$에서 14 혹은 16시간 연속 가열하는 동안 유지의 지방산조성을 측정하여 이들 추출물들이 유지의 고열 가열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추출된 유지의 불검화물들은 모두 $180^{\circ}C$의 고온 가열산화 조건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53종의 농산물 및 생약중에서는 일부 종들은 강력한 가열산화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황, 백굴체, 정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강력한 가열산화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대황, 백굴체 및 정향의 메탄올 추출물들이, 면실유를 $180^{\circ}C$에서 1일 7시간씩 8일간 가열 처리하는 과정에서 면실유의 linoleic acid 파괴 및 중합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결과 정향 및 백굴체추출물은 $180^{\circ}C$에서 장기간의 가열조건에서도 linoleic acid 파괴 억제 및 중합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낸 반면, 대황의 경우에는 장기 가열산화 조건에서 지방산의 파괴에 대한 억제력은 미미하였으나, 중합체 생성억제력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 PDF

야생화 개발을 위한 전라북도 지역산 자원식물 조사 (A study on Resource Plant from Chollabuk-do Area for Developing Wild Flower)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최성규;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99
  • 전라북도 지역내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초목화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식물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봄철에 꽃피는 식물은 131종류(전체의 34.7%), 여름에는 219종류(58.1%), 가을에 25종류(6.6%) 그리고 겨울에는 2종류(0.5%)이었고, 봄부터 겨울까지 피는 꽃의 색깔은 모두 26종류로 다양했으며 가장 많은 꽃색은 백색으로 전체의 28.9%, 그다음은 황색 20.7%, 자주색 16.4%, 홍자색 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지역별로 많이 심고있는 야생화는 애기똥풀, 원추리, 붓꽃, 산철쭉, 진달래, 할미꽃, 구절초, 민들레, 산국, 맥문동, 석산 등을 들 수 있다. 야생하고 있는 식물을 채취하여 그대로 시판하고 있는 식물은 26종류로 조사되었는데 보춘화, 원추리, 석산, 구절초가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우리나라 야생화를 외국에 반출당하지 않고 개량하여 우수상품으로 만들 대상으로는 총 343종이며 국화과 식물 41종류, 장미과 25종류, 백합과 20종류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18종류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는 창포, 광릉요강 꽃, 개불알꽃, 새우난초, 금낭화, 호랑가시나무, 노각나무, 송악, 미선나무, 산개나리, 자주꽃방망이 등이다. 이들은 식물수가 격감되어서 희귀상태이거나 멸종위기 또는 학술상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북지역에는 식물분포상 남방인자와 북방인자가 섞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 다양한 야생화 자원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