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acutatum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에 보존중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 acutatum의 재동정 (Reidentific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Isolates Stored in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 김대호;전영아;고승주;이종규;홍승범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68-177
    • /
    • 2006
  •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보존되어 있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39 균주와 C. acutatum 5 균주를 ribosomal DNA-ITS와 $\beta$-tubulin 부분염기서열과 PDA와 Benomyl-PDA배지에서의 생장 특성에 의하여 재동정 하였다. 그 결과 13 균주가 Talhinhas 등의 C. acutatum A2 그룹으로, 5 균주가 C. acutatum A3 그룹으로, 1 균주가 C. acutatum A4 그룹으로, 18 균주가 Moriwaki 등의 C. gloeosporioides ribosomal DNA group(RG) 4로 2 균주가 C. gioeosporioides RG6로 2 균주가 c. boninense RG5로 2 균주는 C. coccodes RG2 그리고 1 균주는 c. dematium RG12로 재동정되었다. 이들 중에서 한국에서 분리된 31 균주는 12 균주가 C. acutatum A2 그룹으로, 1 균주가 C. acutatum A3 그룹으로, 14 균주가 C. gloeosporioides RG4 로 2 균주가 C. gloeosporioides RG6로 1 균주가 C. boninense RG5로 그리고 1 균주는 C. dematium RG12로 동정되었다. 더불어 C. acutatum/C. gloeosporioides의 분류적인 특징과 국내 주요 기주별 분포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Real Time PCR을 이용한 Colletotrichum acutatum과 C. gloeosporioides의 검출 (Detec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by Real Time PCR)

  • 김승한;권오훈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19-222
    • /
    • 2008
  • C. gloeosporioides와 C. acutatum의 개체군 밀도분석을 위해 기존 ITS부위를 이용한 PCR방법에 사용한 caInt2와 cgint 프라이머에 형광을 표지하여 C. acutatum에 특이적인 fcaInt2와 C. gloeosporioides에 특이적인 vcgint의 두 probe를 제작하였다. 이 두개의 프라이머와 Unicof1, Unicor1 primer를 이용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을 때 C. acutatum은 fcaInt2 probe에, C. gloeosporioides는 vcgint에 특이적인 형광증폭곡선을 나타냄에 따라 delta Rn 값을 비교함으로 두 종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사과에서 분리한 Colletotrichum acutatum, C. gloeosporioides 및 Glomerella cingulata의 병원학적 특징 (Etiological Characteristivcs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gloeosporioides and Glomerella cingulata Isolated from Apples)

  • 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1
    • /
    • 1994
  • Pathogenic fungal species associated with apple anthracnose were studied with diseased fruits collected over two major apple growing areas from 1986 to 1988. Colletotrichum acutatum Simmonds, c. gloeosporioides(Penz.) Sacc. and Glomerella cingulata(Stonem.) Spauld. & Schrenk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ycological characteristics. C. acutatum could be easily differentiated from C. gloeosporioides by producing their fusiform conidia and developing apricot∼salmon colony colors, non-forming an ascigerous stages. Growth rate of C. acutatum were slow in plate culture. The three species of anthracnose fungi tested caused apple rot. Symptoms produced by C. gloeosporioides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others. C. gloeosporioides and G. cingulata produced rot lesions on apples that appeared became brown and later black, but C. acutatum produced rot lesions appeared yellowish brown and later reddish brown. G. cingulata has the major species responsible for apple anthracnose, epidemics in Korea.

  • PDF

Analyses of the Less Benzimidazole-sensitivity of the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Causing the Anthracnose in Pepper and Strawberry

  • Kim, Yun-Sik;Min, Ji-Young;Kang, Beum-Kwan;Bach, Ngyeun-Van;Choi, Woo-Bong;Park, Eun-Woo;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87-192
    • /
    • 2007
  • The anthracnose disease on pepper fruits in Korea was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as well as C. gloeosporioides. Since C. acutatum showed less sensitivity to benomyl,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ss sensitivity was given by the same mechanism for the fungicide resistance of C. gloeosporioides. The isolates of C. acutatum were less sensitive to the three benzimidazole fungicides tested, benomyl, carbendazim, and thiophanate-methyl. However, the of C. acutatum isolates were different from the resistant isolates of C. gloeosporioides in their response to diethofencarb, one of N-phenyl-carbamates; the former was still less sensitive to diethofencarb than the latter. The differences in the resistance mechanisms in two species were conspicuous in sequence analysis of the tub2 genes. The genes from C. acutatum did not show any non-synonymous base substitutions at the regions known to be correlated with the benzimidazole-resistance. All of these data may indicate that the less sensitivity of C. acutatum to benomyl is based on different mechanism(s) from that of C. gloeosporioides.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 의 포장 밀도 조사를 위한 반선택 배지의 확립 및 활용 (Semi-selective Medium for Monitoring Colletotrichum acutatum Causing Pepper Anthracnose in the Field)

  • 강범관;민지영;김윤식;박성우;;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27
    • /
    • 2005
  • 고추 탄저병균인(Colletotrichum acutatum)은 100$\mu\textrm{g}$ / $m\ell$ 의 ampicillin과 tetracycline과 같은 항생물질과 100$\mu\textrm{g}$ / $m\ell$의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체를 첨가한 PDA 배지에서 특이적으로 생장하였다. 탄저병의 발병 정도가 다른 고추 열매르 ㄹ갈아서 C.acutatum의 반선택 배지에 도말한 결과, 발병 정도와 반선택 배지에 나타나는 병원균의 균총 수는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고추를 재배했던 포장에서 이병 잔재물과 토양을 채집하여 반선택 배지 상에서 병원균의 수를 조사한 결과, C.acutatum은 토양보다는 이병 잔재물에서 더 많은 수가 검출되었다. 반선택 배지에 나타난 병원균을 무작위로 10균주를 선발하여 동정하였다. 선발한 균주들의 DNA를 추출하여 C. acutatum 특이적인 printer를 사용한 PCR 을 수행한 결과, 모든 균주가 C. acutatum으로 확인되었다.

Resistance to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Chili Pepper(Capsicum annuum L.)

  • Kim, Sang-Hoon;Yoon, Jae-Bok;Do, Jae-Wahng;Park, Hyo-Gue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77-280
    • /
    • 2007
  • Pepper fruit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results in serious yield loss and affects crop quality in many Asian countries, making it a disease of economic consequence. A source resistant to C. acutatum was identified by the AVRDC within the line Capsicum chinense Jacq. PBC932. The resistant breeding line C. annuum AR is the $BC_3F_6$ generation derived from C. chinense Jacq. PBC932.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C. acutatum was analyzed in segregating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two crosses HN 11$\times$AR and Daepoong-cho$\times$AR. Detached mature green fruits were inoculated using microinjection method. The disease response was evaluated as the disease incidence at 7 DAI. The segregation ratios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to C. acutatum in the $F_2$ and $BC_R$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two crosses fit significantly to a 1:3 Mendelian model. This indicates that the resistance of AR to C. acutatum is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 PDF

청양 지역 고추와 구기자에서 분리한 탄저병균의 동정, 균학적 특징 및 살균제 저항성 (Identificati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to fungicides of Anthracnose Pathogen Isolated from Pepper and Boxthorn in Cheongyang)

  • 김가혜;김주형;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5-344
    • /
    • 2015
  • 병든 고추와 구기자 열매에서 분리한 탄저병균 11균주와 36균주를 동정한 후, 몇 가지의 균학적 특징과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고추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모두 Colletotrichum acutatum의 A2 그룹으로 동정되었다. 구기자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14균주가 C. gloeosporioides, 22균주가 C. acutatum으로 동정되었으며, C. acutatum 균주는 15균주가 A1 그룹, 7균주가 A3 그룹에 속하였다. $25^{\circ}C$의 PDA 배지에서 10일간 배양한 후 병원균 균총의 색깔을 조사한 결과, 분리한 기주에 관계없이 C. acutatum은 회백색의 균총을 보였으며, C. gloeosporioides는 균총의 중앙은 주황색을, 주변부로 갈수록 회백색과 주황색이 혼재된 색깔을 나타냈다. 고추에서 분리한 C. acutatum의 분생포자 중에서 양끝이 둥근 형태을 나타내는 포자의 비율은 95% 이상이었으나, 구기자 균주는 75%로, 약 25%의 분생포자가 최소한 한 쪽이 뾰족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균주는 Colletotrichum의 종에 관계없이 $25^{\circ}C$가 생장 적온이었다. 한천희석법을 통해서 조사한 고추의 C. acutatum A2 그룹에 속하는 균주의 carbendazim과 carbendazim/diethofencarb 대한 평균 $EC_{50}$값은 0.68과 $3.16{\mu}g/ml$이었으며, 구기자의 C. acutatum A1과 A3 그룹은 carbendazim에 대해서 0.21과 $0.24{\mu}g/ml$, 그리고 합제에 대해서는 1.52와 $3.35{\mu}g/ml$이었다. 또한 구기자에서 분리 한 C. gloeosporioides의 평균 $EC_{50}$값은 각각의 살균제에 대해서 0.12와 $0.92{\mu}g/ml$이었다. 두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 값(Rf값)은 구기자에서 분리한 C. acutatum 균주 집단이 고추 균주 집단보다 더 높았다.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및 부착기(附着器)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onidium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4-229
    • /
    • 1993
  • C. dematium 과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및 발아관 신장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며 부착기는 $20^{\circ}C$에서 형성이 잘 되었으나 포자의 발아는 늦었다. $30^{\circ}C$에서는 포자발아와 발아관의 신장이 양호하였으나 부착기의 형성은 낮았다. C. acutatum의 포자발아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으나 발아관의 신장이 $25^{\circ}C$에서 촉진되었다. 분생포자는 격막이 생기고 발아관 대신 $1{\sim}2$개의 딸세포가 포자화되었으며, 제2차 포자를 형성하면서 수지상(樹枝狀)으로 되었다. 부착기는 포자의 발아에 의해서 드물게 형성되었으며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다. 그러나 $30^{\circ}C$에서 발아된 포자는 부착기의 형성능력이 없었다.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 등의 분생포자 발아 및 부착기 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관해서 논의(論議)하였다.

  • PDF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n the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the Causal Agent of Pepper Anthracnose in Soil and Pepper Fruit Debris

  • Kang, Beum-Kwan;Kim, Joo-Hyeong;Lee, Kyeong-Hee;Lim, Sang-Cheol;Ji, Jae-Jun;Lee, Jong-Won;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28-135
    • /
    • 2009
  • The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was investigated in soil, infected fruits, and infected fruit debris incorporated into soil at several temperatures with different soil moisture levels. Samples were examined at 2-week intervals for 18 weeks to determine the survival of the pathogen based on the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 (CFU) of C. acutatum recovered on a semi-selective medium. C. acutatum conidia survived in both sterile and non-sterile soil at 4 and $10^{\circ}C$ for 18 weeks. If infected pepper fruits were completely dried, C. acutatum survived for 18 weeks at temperature from 4 to $20^{\circ}C$.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affected the survival of C. acutatum in infected fruit debris incorporated into soil after air-drying. The effect of soil moisture on survival was weaker at low temperatures than at high temperatures. For up to 16 weeks, conidia were recovered from fruit debris in soil that had been kept at 4 to $20^{\circ}C$ and below 6% soil moisture. Conidia were recovered from fields until approximately 6 months after pepper fruits were harvested. Using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s and a pathogenicity test, we identified conidia recovered from soil and infected fruit from both the laboratory and field as C. acutatum and as the primary inoculum causing pepper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및 C. acutatum에 의한 복분자딸기 탄저병 (Anthracnose of Black Rasp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and C. acutatum in Korea)

  • 김주희;정우성;정성수;이기권;이희권;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62-64
    • /
    • 2012
  •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전북 고창지역에 재배하는 복분자에서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탄저병은 처음에 흑갈색의 작은 원형반점들이 잎자루와 줄기에 나타나고 병반이 커지거나 융합되어 불규칙한 병반에 나타난 반점은 대개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융합되거나 진전되어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탄저병징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배양형태적 특성조사 결과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ode, C. acutatum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C. gloeosporioides, C. cocodes, C. acutatum 3종의 병원균은 인공접종에 의한 병원성 검정에서도 동일한 병징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