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anding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G-and C-Banding Pattern Analyses of Korean Rodents: I. Chromosome Banding Pattern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Black Rats (R. rattus rufescens)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92
    • /
    • 1982
  • 한국내 4개 지역에서 채집된 17마리의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G-와 C-banding patter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염색체쌍의 다형현상 (차단부 및 단부)은 동원체 주위의 이질염색질이 어떤 때는 short arm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내 2개 지역에서 채집된 곰쥐 (R. rattus rufescens)의 G-와 C-banding pattern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염색체쌍의 다형현상 (차단부 및 단부)은 pericentric inversion에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한국산 조류의 핵형 II. C-banding 방법에 의한 박새속 4종의 핵형분석 (Karyotyppes of the Korean birds II. Karyological analysis on four species of genus Pans by C-banding method.)

  • 이성근;이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5-373
    • /
    • 1989
  • 한국산 박새속 조류 Porus maior(박새), Parus ater(진박새), Parus palustris(쇠박새), Parus varius(곤줄박이)의 핵형을 C-band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ZZ-ZW 염색체를 동정,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조적 이질염색질의 부위가 일반염색 방법에 의한 핵형 비교에서 보다 종간에 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일반염색 방법과 C-banding 방법 만으로는 4종간의 종분화 기작을 추측할 수 없었다. The chromosomal analysis of Paws motor, Paws ater, Pahs palustris and Pows varius of the genus Paws in Korea were performed by C-handing method. The identification of sex chromosones was ascertained and the part of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was more different between interspecies than by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method. However,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and C-banding methods could not explain mechanisms of speciation between four species.

  • PDF

Allium속 이배체 4종의 C-분염 핵형 및 유연관계 (Giemsa C-banded Karyotypes and Their Relationship of Four Diploid Taxa in Allium)

  • 서봉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3호
    • /
    • pp.173-180
    • /
    • 1989
  • Giemsa C-banded karyotypes of A. thunbergii, A. deltoide-fistulosum, A. cyaneum and A. cyaneum var. deltoides were analyzed, and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C-banding patterns. The banding pattern of each species was unique and made possible an easy and clear separation among them. A. thunbergii and A. deltoide-fistulosum revealed very close banding relationship but a. cyaneum and A. cyaneum var. deltoi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anding pattern in spite of their close plant systematic position.

  • PDF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 분석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Band Markers of the Korean Native Chicken)

  • 백규흠;이철영;상병돈;최철환;김학규;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유 재래 가축들의 유전정보와 유전학적 개량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고분염 분석(high-resolution 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한국재래계로서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화 시킨 황갈색 및 적갈색 계통으로 이들이 생산한 수정란의 초기 배자를 이용하여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닭의 초기배자에 EtBr 및 colchicine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고정도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한국재래계의 GTG-banding 결과 모든 상동염색체간에 뚜렷하고 특징적인 band 양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Leghorn 및 국제표준핵형(ISSAK)과 비교시 염색체의 형태적 양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대표적 landmark간에도 거의 일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재래계의 대형염색체에서 더 많은 G-band의 분리 양상을 보이고 특히 1번 및 Z 염색체에서 특징적 분리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국재래계의 C-banding 분석에서는 세포별 heterochromatin의 다형성을 보이기는 하나 대부분의 염색체의 동원체와 말단부위에서 C- band가 나타났으며,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와 W 염색체 전체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C-band가 출현하였다. 또한 3번 염색체 동원체와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에서 특징적 다형성을 나타내어 이들 염색체들에서는 상동염색체간 heterochromatin의 이형적 양상(heteromorphic)이 존재함을 밝혔다.

한국산 조류의 핵형 VI. C-Banding방법에 의한 딱다구리의 두 종의 핵형분석 (Karyotype of Korean Birds VI. Karyological Anaiysis on Two Species of the Genus Dendrocopos by C-Banding Method)

  • 이혜영;이성근;유성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7-221
    • /
    • 1990
  • 한국산 Dendmcopos major hondoensis와 D. leucotos Ieucotos의 핵형을 일반염색과 C-banding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종의 염색체 수는2n=90-92이고, 완의 수는 AN= 92-96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C-banding 결과 일부 염색체의 장완과 몇 쌍의 단부염색체는 말단에 구조적인 질염색 band가 있었다.

  • PDF

닭 염색체의 분리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Methodology of Chromosome Preparation and Banding Analysis in Gallus domesticus)

  • 손시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96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가금에 있어 세포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닭 염색체의 분리방법과 G, C-banding에 의한 분염분석 방법을 재고하여 보다 명확한 염색체의 형태적 양상을 제시하였다. 염색체의 분리는 성장중인 초기배아를 이용하므로써 유사분열 중기상을 쉽게 포악할 수 있었으며, 성장 4-5일째의 배아조직으로부터 염색체의 분리는 다소 불편함이 많았다. 가금에 있어 염색체 분리기술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적합한 sample의 채취와 적절한 중기상의 유도, hypotonic 처리에 따른 뚜렷한 형태의 유도, 도말방법 및 염색의 처리과정이다. 또한 보다 명확한 염색체의 분석을 위하여서는 중기 분열상중 초기 중기 상태의 상을 포착함이 바람직하다. G. C-banding 처리를 위해서는 공히 충분하고도 완전히 건조된 air-dried prepration된 sample을 이용하여야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slide의 보존시간에 따라 band 양상에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G-banding 양상에 크게 영향하는 요인으로서는 trypsin의 농도, 처리시간, 처리온도가 주된 작용을 하고, Giemsa solution에 사용하는 buffer의 pH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banding에 있어서는 Ba(OJ)$_2$의 농도 처리시간, 처리온도가 큰 영향을 미친 바 다소 짧은 시간의 처리가 바람직한 양상을 보이고, 처리전 HCl 처리로서 세포들의 균일성을 가하고, 처리후 철저한 수세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Band 양상의 보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densitometer를 이용하므로써 구체적 양상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양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romosomal Banding Analysis of Korean Native Fowl)

  • 오희정;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1-207
    • /
    • 1989
  • 본 실험은 우리나라 재래계의 육종 기초 자료를 얻고자 염색체의 형태와 G-, C-banding pattern을 조사하여 보았다. 시료는 성장중인 초기배아를 이용하였고 염색체 분양분석은 현재 Ohio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법을 다소 수정하여 행하였다. 실험결과 macrochromosome의 armratio와 centromeric index 그리고 relative length에서 다소 개량종과 차가 있으나 designation에는 차이가 없었다. Densitometric recording에 나타난 graph의 정점은 G-banding에서 1, 2, 3, 4, Z, 그리고 5번의 각 염색체에서 각각 21, 14, 12, 8, 11 그리고 4 개였고, C-banding에서는 各各 16, 13, 9, 9, 9,그리고 4 개였다. 이러한 banding pattern은 분염분석 방법에 따라 더 많이 발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banding pattern 에 의해서 genetic marker를 시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G-, C-Banding 및 NORs 분포 양상에 따른 한국산 단모고양이(Felis catus)의 핵형분석 (The G-, C-, and NOR-Banded Karyotypes of Korean Short-hair Cat(Felis catus))

  • 조은정;공일근;손시환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61-167
    • /
    • 2013
  • The karyotype of Korean short-hair cat was presented using the G-, C- and NOR-banding techniques. For chromosomes preparation, the fetus skin fibroblast cells were cultured and metaphases were obtained. In results, the Korean short-hair cat had 38 chromosomes with XX or XY, which consisted of 5 pairs of metacentric chromosomes(Group A and C), 3 pairs of submetacentric chromosomes (Group B), 6 pairs of medium metacentric chromosomes except for 1 pair of medium submetacentric D2 chromosomes (Group D, E), 2 pairs of acrocentric chromosomes(Group F) and metacentric X and Y sex chromosomes. In G-banding analysis, the Korean short-hair cat exhibited a typical and identical G-banding pattern in each homologous chromosome. Total number of bands and landmarks on the G-banded chromosomes of Korean short-hair cat well correspond to those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karyotype of domestic cat. The heterochromatins of Korean short-hair cat chromosomes distributed at terminal and/or centromere regions on almost chromosomes by C-banding analysis. In addition, the C-banding pattern showed greatly heteromorphic in some chromosomes. Using the AgNOR-staining, we found the nucleolar organizer regions(NORs) of Korean short-hair cat located at chromosomes 1p12 site in E group. The quantity and number of NORs were constant among cells.

고분염분석법(High-resolution banding)에 의한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 설정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Band Marker of Korean Native Chick by High-resolution Banding Technique)

  • 백규흠;손시환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0년도 제17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 /
    • pp.85-87
    • /
    • 2000
  • To obtain the genetic information of Korean native livestock, the karyotyping of Korean native chick were performed by high-resolution banding technique. The chromosomes were prepared from lymphocyte culture and early embryos with 200 Korean native chick which have been rais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chick and Leghorn in the number of chromosomes and chromosomal morphological pattern. Using high resolution banding technique, the yield of G-bands of prophase is much greater than that can be obtained by International System for Standardzed Avian Karyotypes(ISSAK, 1999). The G-band landmarks of Korean native chick were similar to those of ISSAK and Leghorn except some macrochromosomes. chromosome Z and 3 had C-band variants with heteromorphic patterns on distal and centromeric site. The proportion of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the heterochromatin ratio of Korean native chick was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of Leghorn in all chromoso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