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pleurum falcatum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42초

Inhibition of VLA-4/VCAM-1-mediated Cell Adhesion by Triterpenoid Saponins from Bupleurum falcatum L

  • Lee, Seung-Woong;Kim, Min-Seok;Lim, Ju-Hwan;Chang, Jong-Sun;Ling, Jin;Bae, Ki-Hwan;Lee, Woo-Song;Rho, Mun-Chua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931-1936
    • /
    • 2010
  • Discovery and isolation of compounds capable of blocking the interactions between VCAM-1 and VLA-4, a major pair of adhesion molecules contributing to the different steps of leukocyte migration across the endothelium in inflammatory responses, has been a major goal of this lab. Through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five saikosaponins were subsequently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analysis ($^1H-$, $^{13}C$-NMR and 2D-NMR), as follows, saikosaponins: A (1); D (2); C (3); B3 (4); B4 (5). Compounds 1 and 2 inhibited interaction of sVCAM-1 and VLA-4 of THP-1 cells with respective $IC_{50}$ values of 7.8 and 1.7 ${\mu}M$. The aglycone structure of 2 also showed cell adhesion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21.1 ${\mu}M$. With these results, we suspect these two saikosaponins from the Bupleurum falcatum L. roots to be prime candidates for therapeutic strategies towards inflammation.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시호(柴胡) 캘러스의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조덕이;소웅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3
    • /
    • 1997
  • 시호(柴湖)(Bupleurum falcatum L.) 캘러스로부터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호(柴胡)의 부정근(不定根) 유도(誘導)에는 2, 4-D 0.1 mg/l 가 가장 좋았으며, 부정측근(不定側根)의 형성에서도 동일하였다. 또한 생장조절물질별(生長調節物質別)로 일정시간 전처리(前處理)하여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무처리(無處理) 배지(培地)에 치상하였을 때도 2, 4-D전처리(前處理)에서 캘러스 형성이 가장 좋았다. 시호의 마이크로 캘러스를 120시간 전처리하여 생장조절물질(生長謂節物質) 무처리배지(無處理培地)에 배양하는 것이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이 양호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繼代培養)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한국 재배종 시호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Bupleurum falcatum L. Cultivated in Korea)

  • 정성현;방재욱;최혜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5
    • /
    • 1995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유전적 계통의 확립을 위해 시호(Bf), 참시호(BfC), 대전 삼도시호(BfJ) 및 수원 삼도시호(BfS)등 4계통을 대상으로 핵형분석을 통해 염색체의 다형현상을 비교하고, SDS PAGE를 이용하여 저장단백질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3계통(Bf, BfC, BfJ)에서 2n=20, 1 계통(BfS)에서 2n=26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1번은 2n=20 계통의 경우 차중부 염색체였으나, 계통 2n=26에서는 중부 염색체로 관찰되어 차이를 보였다. 계통 2n=20에서 2번, 3번 및 5번염색체가 다형현상을 보였으며,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계통의 핵형은 일본에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대전 삼도시호 및 수원 삼도시호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유전학적으로 다른 2가지 이상의 계통이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종자에서 추출한 저장 단백질은 45KD 이상의 단백질에서 수적 차이를 보였으며, 2n=20의 계통에서 3개, 2n=26 계통에서 2개의 특이한 밴드가 관찰되었다.

  • PDF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 (Saikosaponin Content in Adventitious Root Formed from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성길;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3
    • /
    • 1995
  • 시호 캘러스로부터 유도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발생은 0.1 mg/L a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에 따른 부정근 형성은 오래된 캘러스에 비해 4주 배양한 캘러스가 효과적이였다. 캘러스당 부정근 형성율은 캘러스의 크기가 900-1000 $\mu$M에서 가장 높았다. Saikosaponin의 총 함량은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a와 d의 함량은 배양 150일에서 g부정근 건물 중량당 각각 2089 $\pm$ 124 $\mu$g과 4778 $\pm$ 214 $\mu$g이였으며 saikosaponin c의 함량은 60일 배양에서 3492 $\pm$ 123 $\mu$g 으로 높았다.

  • PDF

배지응고제가 시호캘러스의 Saikosaponin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lling Agents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9-365
    • /
    • 1996
  • In order to product the saikosaponin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product from Bupleurum falcatum efficiently through the tissue culture, several levels of agar and gellan gum as the gelling agent, 2,4-D as the growth regulator, and L-phenylalanine as the precursor were used with single or combination treatment on MS basal medium. Gellan gum was more effective than agar as the gelling agent in fresh and dry weight increase of callus induced from Bupleurum falcatum leaf segment. Gellan gum medium supplemented with L-phenylalanine produced 1.6 times of fresh weight more than that of agar. The fresh weight was remarkably high in gellan gum when the calli was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2,4-D and L-phenylalanine similar to the single treatment of 2,4-D or L-phenylalanine. However, the saikosaponin content in callus was high in gellan gum with the single treatment of L-phenylalanine. Especially, the saikosaponin content in gellan gum supplemented with 1.0mg/L L-phenylalanine was 2 times(2.4 mg/g) higher than that in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2,4-D(0.9 mg/g).

  • PDF

위축(萎縮), 총생(叢生) 증상의 천궁, 시호, 질경이의 마이코플라스마병(病)에 관한 연구(硏究) (An Investigation of Undescribed Witche's Broom Symptom Disease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 on Bupleurum falcatum, Cnidium officinale and Plantago asiatica in Korea)

  • 최용문;이순형;김정수;이응권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51
    • /
    • 1985
  • 울릉도에서 채집(採集)한 위축(萎縮), 총생(叢生), 황화(黃化) 증상의 천궁, 전북 장수에서 채집한 위축(萎縮), 황화(黃化) 증상의 시호, 대관령에서 채집한 황화(黃化), 총생(叢生) 증상의 이병주(罹病株)로 부터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마이코프라스마 병원체(病原體)가 발견(發見) 되었으며 천궁은 울릉도에서 발병률(發病率) 11.9%로써 피해가 심하였다.

  • PDF

배양 기간이 다른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된 시호 (Bupleurum falcatum L.) 체세포클론의 사이코사포닌 함량 변이 (Saikosaponin Contents in Somaclones Derived from Different Aged Calli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은경;이미경;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3-327
    • /
    • 1998
  • 시호 재분화 체세포클론과 야생 개체의 뿌리에서 사이코사포닌 함량을 정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은 1년생 체세포클론, 경상북도 영덕시호, 강원도 정선시호, 2년생 체세포클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이코사포닌 함량 변이는 3개월간 배양한 캘러스에서 유도되어 2년간 재배된 체세포클론에서 2년간 배양한 캘러스에서 유도되어 1년간 재배된 체세포클론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호의 경우 사이코사포닌 변이가 캘러스 배양 기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년생 체세포클론에서 야생 개체에서보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이 2배 이상 높은 4개의 체세포클론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클론 변이를 이용한 우량 변이주 선발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자호(紫胡)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ed Germination Characters and Germination Inhibitors of Bupleurum falcatum L.)

  • 이상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6-283
    • /
    • 1997
  • 본 실험(實驗)은 자호종자(紫胡種子)의 발아적정온도(發芽適定溫度)를 구명(究明)하고, 유수 황산(流水 黃酸) 및 $GA_3$ 처리(處理)가 시호종자의 발아(發芽)에 미치 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며,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을 검정(檢定)하고자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모두 암상태(暗狀態)에서 15, 20, 25및 $30^{\circ}C$ 처리(處理)에서는 $15^{\circ}C$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0.1및 1.0%를 5, 10 및 60분간처리 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5분간 처 리 하였을 때 발아율이 높았으며, 유수(流水)에 1, 2및 5일간 처리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2일간 처리 하였을 때 발아율이 가장높았고, 10, 50 및 100ppm의 $GA_3$를 처리하였을 경우는 두 품종 모두 100ppm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이상 모든 처리(處理)의 품종간 비교에서는 처리에 상관(相關)없이 정선종이 삼조종보다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2. SEM으로 관소(觀素)한 결과(結果) 무처리 에 북(比)해 유수(流水)에 2일간 처리한 경우는 시호종자의 종피 에 붙어 있던 많은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같은 것이 씻겨져 종피 표면(種皮 表面)이 깨끗하였다. 3. 시호종자 EtOH 추출물 농도(抽出物 濃度)가 4000ppm일 때 정선종에서는 41.7%, 삼도종에서는 58.3%의 상추종자 발아율을 나타내어 추출(抽出)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추종자 발아억제 현상(發芽抑制 現象)이 심(甚)하게 나타났다. 4. Phenolic acids의 검정(檢定)에 있어서는 두 품종에서 orchinol, Pyrogallol 및 p-hydroxybenzoic acid의 함양(含量)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삼도종은 정선종에 비하여 salicylic acid와vanillic acid의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