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pleurum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1초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in Bupleurum falcatum by HPLC-ELSD analysi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Choi, Jungwon;Kim, Juree;Kang, Sam Sik;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57-61
    • /
    • 2021
  • Saikosaponin derivatives such as saikosaponins A, B1, B2, B3, B4, C, and D present in Bupleurum falcatum were analyz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equipped with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water and 70% ethanol). The samples were injected into a YMC Pack Pro C18 column and separated using a gradient elution system with a mobile phase composed of acetonitrile and water at a flow rate of 1.1 mL/min. The content of saikosaponin derivatives was higher in 70% ethanol extract than in water extract. This study provides an efficient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pharmaceutical products from B. falcatum.

약용작물의 경영성과와 효율성 분석 -구릿대와 시호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Medician Crop Farm - Mainly on Angelica dahurica and Bupleurum falcatum -)

  • 최돈우;임청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00-406
    • /
    • 2017
  • 본 연구는 수입산 한약재 수입으로 경영상황이 극한으로 몰린 약용작물 재배농가의 경영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릿대와 시호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경영성과 및 경영 효율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릿대 재배농가와 시호 재배농가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릿대 재배농가의 10a당 총수입은 평균 1,363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은 500천원으로 소득율은 36.7%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호 재배농가의 10a당 총수입은 평균 1,705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은 873천원으로 소득율은 44.6%였다. 셋째, 구릿대 재배농가의 기술효율성은 0.790, 순수기술효율성은 0.856, 규모효율성은 0.924로 분석되었다. 넷째, 시호 재배농가의 기술효율성은 0.670, 순수기술효율성은 0.794, 규모효율성은 0.844로 분석되었다. 구릿대와 시호 재배농가모두 기술효율성에 있어서 상대적인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규모적 측면보다 순수 기술적 측면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영규모 확대를 통한 효율성 제고보다는 농가들의 기술수준에 적합한 영농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효율성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산다년생약용 식물에 대하여 (Investigation of perennial herbs on the medicinal plants in Korea)

  • 임기흥;정보섭
    • 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
    • /
    • 1959
  • I) Bupleurum $\circled1$ In ooder to study on the histological review, we have devided into two types of all Bupleurum species of Korean products 1) Rhizoma type 2) root type and we selected one, B. leveilei (Jae-Ju-Do) and B. latislimum (Ul-Nung-Do) is Compared with each others as shown in figures. II) Gentiana Uchiyamana Nakai We have studied about the classifical seats of this Gentiana Uchiyamana Nakai. and compared with Gentiana sebra Bunge. III)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Also has been studied about the calssifical, echological steats, and we now decided the relation of this all species each others.

  • PDF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plants for antitumor activity

  • Chang, Il-Moo;Woo, Won-Sic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75-78
    • /
    • 1980
  • Potential antinumor activity of sixteen Korean medicinal plants was tested against leukemia SN 36, murine tomor model. Survival studies by measuring life span indicated that Morus alba (Moraceae), Verbascum phlomoides (Scrophulariaceae), Curcuma longa (Zingbieraceae), Torilis japonica (Umbelliferae), Bupleurum falcatum (Umbelliferae) and Codonopsis pilosula (Campanulaceae) exhibit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with the dose-schedule employed in the experiment. Methanol (70%) extracts of Platycodon gradiflorum (Campanulaceae), Bupleurum longeradiatum (Umbelliferae) and Asiasarum sieboldii (Aristolochiaceae) showed rather potent toxicity.

  • PDF

Inhibition of VLA-4/VCAM-1-mediated Cell Adhesion by Triterpenoid Saponins from Bupleurum falcatum L

  • Lee, Seung-Woong;Kim, Min-Seok;Lim, Ju-Hwan;Chang, Jong-Sun;Ling, Jin;Bae, Ki-Hwan;Lee, Woo-Song;Rho, Mun-Chua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931-1936
    • /
    • 2010
  • Discovery and isolation of compounds capable of blocking the interactions between VCAM-1 and VLA-4, a major pair of adhesion molecules contributing to the different steps of leukocyte migration across the endothelium in inflammatory responses, has been a major goal of this lab. Through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five saikosaponins were subsequently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analysis ($^1H-$, $^{13}C$-NMR and 2D-NMR), as follows, saikosaponins: A (1); D (2); C (3); B3 (4); B4 (5). Compounds 1 and 2 inhibited interaction of sVCAM-1 and VLA-4 of THP-1 cells with respective $IC_{50}$ values of 7.8 and 1.7 ${\mu}M$. The aglycone structure of 2 also showed cell adhesion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21.1 ${\mu}M$. With these results, we suspect these two saikosaponins from the Bupleurum falcatum L. roots to be prime candidates for therapeutic strategies towards inflammation.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시호(柴胡) 캘러스의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조덕이;소웅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3
    • /
    • 1997
  • 시호(柴湖)(Bupleurum falcatum L.) 캘러스로부터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호(柴胡)의 부정근(不定根) 유도(誘導)에는 2, 4-D 0.1 mg/l 가 가장 좋았으며, 부정측근(不定側根)의 형성에서도 동일하였다. 또한 생장조절물질별(生長調節物質別)로 일정시간 전처리(前處理)하여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무처리(無處理) 배지(培地)에 치상하였을 때도 2, 4-D전처리(前處理)에서 캘러스 형성이 가장 좋았다. 시호의 마이크로 캘러스를 120시간 전처리하여 생장조절물질(生長謂節物質) 무처리배지(無處理培地)에 배양하는 것이 부정근(不定根) 형성(形成)이 양호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繼代培養)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한국 재배종 시호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Bupleurum falcatum L. Cultivated in Korea)

  • 정성현;방재욱;최혜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5
    • /
    • 1995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유전적 계통의 확립을 위해 시호(Bf), 참시호(BfC), 대전 삼도시호(BfJ) 및 수원 삼도시호(BfS)등 4계통을 대상으로 핵형분석을 통해 염색체의 다형현상을 비교하고, SDS PAGE를 이용하여 저장단백질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3계통(Bf, BfC, BfJ)에서 2n=20, 1 계통(BfS)에서 2n=26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1번은 2n=20 계통의 경우 차중부 염색체였으나, 계통 2n=26에서는 중부 염색체로 관찰되어 차이를 보였다. 계통 2n=20에서 2번, 3번 및 5번염색체가 다형현상을 보였으며,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계통의 핵형은 일본에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대전 삼도시호 및 수원 삼도시호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유전학적으로 다른 2가지 이상의 계통이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종자에서 추출한 저장 단백질은 45KD 이상의 단백질에서 수적 차이를 보였으며, 2n=20의 계통에서 3개, 2n=26 계통에서 2개의 특이한 밴드가 관찰되었다.

  • PDF

배수체 작성에 따른 시호 작물 특성 (Colchicine-Induced Polyploidy and It's Agronomic Characters in Bupleurum falcatum)

  • 손태권;이상철;정일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9-43
    • /
    • 2008
  • The effect of colchicine treatment on the agronomic performance and polyploid formation of Bupleurum falcatum using flow cytometry technique was investigated. The roots of 4-leaf stage plants were treated with colchicine (0.5%) for 3, 6, 12, and 24 hours and then transplanted in the field. Agronomic characters (survival rate, plant height, chlorophyll content, bolting rate) were recorded at 4 weeks and 6 months after transplanting while flow cytometry technique was conducted for determination of polyploid formation. Flow cytometry technique revealed polyploid nuclear DNA formation in colchicine treated plants. The highest number of polyploids was obtained at the shortest colchicine treatment time indicating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colchicine treatment time and polyploid formation. Results also showed that survival and bolting rates were inversely related with the treatment time while plant height and chlorophyll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 This study showed a convenient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olchicine-induced polyploid in B. falcatum and its superior agronomic performance at shorter treatment time.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 (Saikosaponin Content in Adventitious Root Formed from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성길;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3
    • /
    • 1995
  • 시호 캘러스로부터 유도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발생은 0.1 mg/L a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에 따른 부정근 형성은 오래된 캘러스에 비해 4주 배양한 캘러스가 효과적이였다. 캘러스당 부정근 형성율은 캘러스의 크기가 900-1000 $\mu$M에서 가장 높았다. Saikosaponin의 총 함량은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a와 d의 함량은 배양 150일에서 g부정근 건물 중량당 각각 2089 $\pm$ 124 $\mu$g과 4778 $\pm$ 214 $\mu$g이였으며 saikosaponin c의 함량은 60일 배양에서 3492 $\pm$ 123 $\mu$g 으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