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 Imag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2초

천수국만다라수장(天壽國曼茶羅繡帳) 자수 연구 -한국 고대 자수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eonsuguk Mandala -Embroidery Insignia and Ancient Korean Embroidery-)

  • 이임순;김소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77-995
    • /
    • 2023
  •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ancient Korean embroidery and the Cheonsuguk mandala-embroidery insignia.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the scope of these analyses spanning up to 7C in ancient Korea and Japa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Goguryeo tomb murals influenced by Buddhist art is represented in the Cheonsuguk mandala-embroidery insignia, and changes in the image resulted in modifications to the embroidery technique. Embroidery and color composition via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were implemented through Variant 1 outline stitching, which exhibited the development of Baekje embroidery. The embroidery technique confirmed that the form of embroidery developed in to chain stitching, needle looping stitching, outline stitching, satin stitching and Variant 1·2 outline stitch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eonsuguk mandala-embroidery insignia is the result of the integration of the Goguryeo and Baekje cultures.

토함산 불국사의 공간인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Space in Pulkuksa Temple at Tohamsan Mountain)

  • 허준;김용기;홍광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5-134
    • /
    • 1999
  • To analyze in detail the cognitive factors in the sense of place in Korea traditional temples and their occurrence and significance, the questionaring was conducted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visitor's using of and preference for Pulkuksa Temple as an object of the investigation.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visitors' sense of respective factors forming the image of the temple is as follows: 1. While the male visitors for outnumbered the female, the female visito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senses of the temple than male. The younger visitors are larger in number while the older visitors have the more satisfaction. It took the largest number of the visitors at least three hours to come to the temple. The most numerous are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The most numerous are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by their own cars. The visitors are coming not only from the Kyunsang Provinces but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they made a family trip to the temple. 2. 86 people among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Tower stands best for Pulkuksa temple.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main sanctuary does. The third largest number of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does. 3.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for sightseeing showed their highest preferences for each of the main sanctuary and the tower. The buddhist visitors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as non Buddhist ones in their preference. 4. On the whole, the space factors such as buildings and scenes which represent Pulkuksa Temple are the towers such as Sukka Tower and Tabo Tower, the sanctuary buildings such as main sanctuary, the natural scenery such as Toham Mountain, and the steps such as Chungwun-Kyo and Paekwun-Kyo. 5. The potential factors to expla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cenery in Pulkuksa Temple are revealed to be a factor of overall valuation, of orderliness, of individuality and of comfortableness, through hypothetical. T.V was 54.1% and the orderliness of Sukkatap was highly evaluated in factor score analysis.

  • PDF

비파괴 분석법을 통한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내부구조 및 금박층 조사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Gold-thin Layer of the 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Anseong Cheonryong Temple through the Non-destructive Analysis)

  • 최정은;최학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70-678
    • /
    • 2021
  •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고 있는 청룡사(靑龍寺)는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산 자락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바닥면 XRF 분석 결과는 Cu-27.2 wt%, Sn-12.6 wt%, Pb-48 wt%이며, 과거 여러 전란으로 인해 소지금속 성분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불상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감마선(γ-ray, Ir-192)으로 촬영하였으며, 파손된 배면 부분과 후대에 나무로 덧대어 수리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γ-ray 촬영 결과와 XRF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한 좌, 우의 수리 경계면은 허벅지 중간부터 목 아랫부분까지로 청동과 나무로 분리된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금박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표준시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얼굴과 가슴과 같은 육신 부분의 금박 두께가 20.7 ㎛와 21 ㎛로 가장 두꺼웠으며, 나무를 소지 재료로 한 부분이 평균 11.9 ㎛, 마지막으로 소지금속이 청동인 부분이 평균 7.4 ㎛로 금박 두께가 가장 얇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광객 공유한 사진 및 머신 러닝을 활용한 도시 색채 특성 분석 연구 - 중국 대리시를 대상으로 - (Research on Characterizing Urban Color Analysis based on Tourists-Shared Photos and Machine Learning - Focused on Dali City, China -)

  • 인샤오옌;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39-50
    • /
    • 2024
  • 색채는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서 도시 이미지와 사람들의 인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도시환경에서 색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복잡한 과정을 필요로 하여 과거에는 실행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머신 러닝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관광객이 공유한 사진을 이용하여 도시 색채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는 중국의 인기 관광지인 대리시를 사례로 선정하여 관광객이 공유한 대리시의 사진을 수집하였으며, 머신 러닝 기술을 결합하여 대규모 도시 색채를 측정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DeepLabv3+ 모델을 사용하여 ADE20k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관광객이 공유한 사진의 의미 분할을 수행하여 사진에서 인공 요소를 분리했다. 다음으로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리시의 인공 요소의 주요 색상을 추출하고, 이러한 색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인접 매트릭스를 구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리시의 인공 요소의 주요 색상은 주황-회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회색 계열의 색상이 다른 색상과 자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분석에 따르면 대리시의 인공 요소의 색채 특성은 지역의 민족 문화와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색채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공하며, 연구 결과는 대리시가 관광객의 기대에 부합하는 도시 색채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향후 대리시의 색채 계획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화엄사 대웅전 목조비로자나삼신 불좌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Vairocana Tri-kaya Buddha Images in the Daeu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 최성은
    • 미술자료
    • /
    • 제100권
    • /
    • pp.140-170
    • /
    • 2021
  • 정유재란을 겪으며 전소(全燒)된 화엄사는 벽암각성(碧巖覺性)(1575~1660)의 주도 아래 재건이 이루어졌다. 대웅전에는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었는데, 1634년에 완성하여 1635년에 점안·봉안되었다. 2015년에 석가불상 복장 <시주질>과 노사나불상 대좌 내부 판재(板材)에 적힌 <묵서명>이 조사되고, 2020년에 노사나불상의 복장 <시주질>이 조사되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참여한 청헌, 응원, 인균을 포함한 열여덟 명의 조각승들이 밝혀졌고 선조(宣祖)의 아들 의창군 이광(李珖)을 비롯한 왕실과 종친, 천명이 넘는 승속(僧俗)의 시주자들이 동참한 대규모 불사였음이 알려졌다. 비로자나삼신불상의 본존은 높이 2.76m의 장육불상으로 당시 불교조각에서 널리 유행하던 장신형의 비례감이 아닌 두부가 크고 어깨가 좁은 고식(古式)의 단구형(短軀形) 비례감을 보인다. 주먹 쥔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싼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과 보관을 쓴 보살형의 노사나불상은 북송대에 고려로 전해진 전통적인 도상(圖像)이며, 석가불상이 결한 독특한 항마촉지인의 형식은 명(明)에서 전래된 경(經) 변상도에 나타난 도상이 불교조각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에서 나타나는 신구(新舊) 양식과 도상의 혼재는 화엄사 불사(佛事)를 맡았던 조각승들이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귀족적 전통을 계승한 조선초기 불교미술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범본을 구하려했던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전란으로 소실된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원(原) 모습에 가깝게 복원되기를 바라는 화엄사 산중대덕(山中大德)들의 기대가 불상조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노사나불상은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과 도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화엄사에 이와 유사한 도상과 양식의 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만우 휘헌의 『화엄사지』(1924)에 따르면, 화엄사는 고려 왕실의 축성의례를 거행해온 사찰로 여겨지는데, 이 전통이 조선후기까지 이어져 화엄사 재건 불사에서 새로 조성된 대웅전 비로자나삼신불상 역시 조선왕실의 축성의례를 위한 예배대상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엄사 재건에 왕실과 종친이 시주자로 참여한 점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일본의 현대복식에 나타난 용양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Dragon Patterns Found in Contemporary Fashion between Korea and Japan)

  • 남미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76
    • /
    • 200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lastic features of Korean and Japanese dragon patterns found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traditions in comtemporary fash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style of expression in relation to the origin, formative evolution, symbolism and traditional costume of the dragon. The form of the dragon has evolved with some similarity and peculiarity between both countries and been changed into many kinds and diverse forms such as the humorous dragon pattern of the Yi Dynasty and the simplified and designed dragon pattern symbolizing the Japanese family crest and the like, Its symbolism has lasted in terms of the sacrificial object, royal power, good omen, Buddhist guardian and the lik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esthetic sense due to the different traditions and cultural background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dragon pattern found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 tradition in comtemporary fashion manifested itself as the peculiar aspect. An attempt was made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ragon pattern found in comtemporary fash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commonality between both countries was to make a contemporary expression of the dragon pattern, which was expressed in a realistic form because of a traditionally inherent strong image of the dragon. On the other hand, the designed dragon pattern rarely found expression. It can be said that carefully treating the dragon pattern is attributed to the Oriental thinking like this. Second, Korean people have arranged one or more simplified dragon patterns taking on a form of the coiling dragon in the composition of the scattered point and made a comtemporary expression of them by the contrast of black and white shading in Korea. And the humorous form of the dragon pattern manifested itself in the Yi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printing the dragon pattern in the black dragon sword of all over the Kabuki costume in a pictorial composition has frequently appeared in Japan. And Japanese people have expressed its lightness and briskness rather than the dignity and strength that the dragon pattern gives with the use of strong color tones and new materials.

  • PDF

관우(關羽) 신격화(神格化)와 종교적(宗敎的) 활용 양상 고찰 (Research on Guanyu's Anthropolatry and Aspects of Religious Leverage)

  • 배규범;민관동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101-129
    • /
    • 2017
  • 본고는 관우(關羽) 신격화(神格化)가 일종의 문화현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역사상 관우의 충의무용(忠義武勇)과 함께 민중들이 갈망하는 영웅출현의 심리작용, 그리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종교계의 활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유(儒) 불(佛) 도(道) 삼교가 관우 신격화 과정에서 어떻게 종교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 그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관우신(關羽神)은 유 불 도교에 있어서 독특한 경로를 밟으며 뿌리를 내렸다. 즉, 불교(佛敎)에서는 사찰(寺刹)을 지키는 '가람신(伽藍神)'으로 격상시키면서 토착화에 성공하였고, 도교(道敎)에서는 악마를 쫓고 재난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삼계복마대제(三界伏魔大帝)'의 만능수호신(萬能守護神)으로 활용되었으며, 유교(儒敎)에서는 '유장(儒將)' 관우 이미지를 공자의 춘추대의(春秋大義)와 연결하여 '존왕양이(尊王攘夷)'라는 시대정신으로 재창조하였다. 즉 나라를 수호하는 충의(忠義)의 무신(武神)으로 삼아 이를 국가 통치 질서 확립의 수단으로 삼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 연구 개발 전략 - 금문(錦紋)을 중심으로 - (National brand development research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김미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232-245
    • /
    • 2021
  •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현상이 국가 브랜드 구축에 있어 중요한 핵심적 가치로 작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구촌 사람들은 저마다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여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산업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존재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지구촌의 환경 변화에 따른 언택트(untact) 시대에 현대인들은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쉽고 빠르게 품질 좋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국의 전통미를 간직한 문화적 소산물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려는 이른바 '문화 브랜딩' 전략을 구축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야만 고립된 경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오랜 전통이 담겨 있는 단청 문양 중 금문(錦紋) 패턴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였다. 즉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의 개발 전략을 제시하려는 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전통 건축의 목 부재를 보호할 목적으로, 그리고 건축의 의장적 성격에 따라 달리 도채(塗彩)되었던 단청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전통 건축에 채색되는 단청 문양은 궁궐, 사찰, 유교 단청에 따라 문양과 색상을 달리한다. 그 중 금단청에 채색되는 금문(錦紋)은 부처님이 계시는 주불전(主佛殿) 공간을 장엄하기 위한 의장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금문은 과거의 존속이 아니라 현재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단청의 일부인 금문은 독창적인 구성 방식과 소재, 그리고 장식적인 기법이 뛰어나기 때문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동일한 문양이라 할지라도 색상에 따라 시각적으로 달리 해석되는 금문에 내포되어 있는 심미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전통 문양은 탐구와 이론적 연구로서의 보전 가치도 중요하지만 이를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창조하여 국가 브랜드화하고, 더 나아가 자국민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면 디자인 과정과 입체적인 조형 방법을 거쳐 전통 문양을 실물처럼 재현하고자 하였다.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한국적 조형미가 국가 브랜드 제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감산사(甘山寺) 아미타불상(阿彌陁佛像)과 미륵보살상(彌勒菩薩像) 조상기(造像記)의 연구 (Dedicatory Inscriptions on the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s of Gamsansa Temple)

  • 남동신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22-5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감산사(甘山寺)의 아미타불상(阿彌陁佛像)과 미륵보살상(彌勒菩薩像)의 광배(光背)에 각각 새겨진 조상기(造像記)를 재검토함으로써, 통일신라기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자 기준작인 두 상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장에서는 '근대적 발견' 이래 지난 100년간의 연구 성과를 네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다음, 필자의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II장에서는 기왕의 미륵보살상>아미타불상의 위차(位次)를 비판하고 조상기를 재검토한 후 두 상의 배치와 외관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상>미륵보살상의 위차가 옳음을 논증하였다. III장에서는 마지막까지 판독 불능으로 남았던 두 글자를 처음으로 판독하고, 이를 포함하여 기존에 의미가 불분명하였던 몇몇 구절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아울러 아미타불상조상기와 미륵보살상조상기의 문장 구조를 비교하고 조상기의 찬자와 서자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서체(書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끝으로 IV장에서는 조상기의 내용을 조상주(造像主)와 조상(造像) 및 발원(發願)으로 나누어 재검토하였다. 특히 필자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라는 조상기의 구절이 상투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김지성(金志誠)이 돌아가신 부모를 모두 화장해서 동해 바닷가에 산골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부모를 추모하려 해도 그 마음을 의지할 물질적 표지(標識)가 없었다. 그래서 만년의 김지성은 감산전장(甘山田莊)을 희사하여 절로 삼고, 여기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 돌로 각각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을 조성하되, 부모님의 실제 모습을 투영하여 상(像)의 존용(尊容)을 사실적으로 조각하고 그 정혈(頂穴)에 부모의 상징물을 안치하였다고 해석하였다. 두 상 가운데 특히 미륵보살상은 관(冠)에 화불(化佛)이 있는 입상(立像)인데, 미술사학자들이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도상(圖像)의 미륵보살상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도상적 특징만 본다면 십중팔구 관음보살상이라고 간주할 것이다. 반대로 조상기만 읽는 사람들에게는 의심할 여지없이 미륵보살상이다. 김지성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내세(來世)에는 도솔천에 상생(上生)하기를 기원하였기에 도솔천을 주재하는 미륵보살상을 만들기로 하되, 그 상에 자모(慈母)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하여 자비(慈悲)의 화신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을 취했던 것이다. 이것은 아미타불상도 마찬가지여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희구하여 아미타불상을 조성하되 모든 불교도의 자부(慈父)인 석가여래상의 도상을 차용하였다고 유추된다. 후대의 추모자들이 정면에서 상[Image]을 친견하고 뒤로 돌아가서 조상기[Text]를 읽었다면, 그들은 김지성의 부모님을 향한 추모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였을 것이다.

Cosmetic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in Thai Women Post Breast Conserving Therapy for Breast Cancer

  • Thanarpan, Peerawong;Somrit, Mahattanobon;Rungarun, Jiratrachu;Paytai, Rordlamool;Duangjai, Sangtawan;Chanon, Kongkamol;Puttisak, Puttawib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685-4690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smetic outcome (CO),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post breast-conserving therapy (BCT) women.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cerned one-year post-completed BCT Thai women. The data included subjective and objective CO with a questionnaire covering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anti-hormonal treatment statu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Self-Reported Cosmetic Outcomes (SRCO), Self-Reported Breast Symmetry (SRBS), Body Image Scale (BIS),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with Breast Cancer subscale (FACT-B). Participants had breast photographs taken for the evaluation of objective cosmetic outcome (OCO) after breast cancer conservation trea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 and FACT-B was test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Results: A total 127 participants volunteer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ere age 52(${\pm}9$), Buddhist 87%, married 65%, body mass index 25.0(${\pm}4.6$), breast cup size A-C 91%, college educated 60%, employed 66%, ECOG 0-1 95%, tumor size less than or equal to 2 cm 55%, no lymph node metastasis 98%, and taking tamoxifen 57%. 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gretted their decision to undergo BCT. The SRCO was excellent in 2%, good in 68%, fair in 30%, and poor in 0%. For SRBS, rates were 17%, 58%, 24% and 1% for excellent, good, fair and poor cosmetic outcomes, respectively. The BCCT scores were excellent 24%, good 39%, fair 32%, and poor 6%. The median total QOL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130 (93-14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 and FACT-B score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CO for FACT-B in Thai women with breast cancer could not be assessed in detail because of a very low level of correlation. The results may be due to the effects of cultural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