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 Book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만옹 서명서의 독서단계론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ading process of So Myong-so)

  • 김상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277-297
    • /
    • 1995
  • Historical study on the reading in Choson has been mostly focussed on few scholar's viewpoint of reading.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e reading process of So Myong-So, and has compared it with the reading process of other schola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have been clarified. a. So Myong-so reorganized the reading process of Yuk Se-ui, divided it into the five steps, and made the systematic reading program. b. So Myong-so made the list of selected books which included not only confucian literature, but also taoist, buddhist, and practical. c. So's reading process and selected booklist were different in system and scale from other's : Im Sang-dok, Hwang Dok-gil, and Kang P'il-hyo.

  • PDF

한국의 육식문화 (Meat Eating Practice in Korea)

  • 임장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274-289
    • /
    • 2000
  • Koryo Dynasty has greatly effected the meat eating practice in Korea. And by focusing on this period, this paper has in vestigated how this practice influenced and effected our meat eating culture. The 'Orders to Prohibit Butchery' written on Koryo's history books were to encourage stockbreeding rather than to follow the Buddhist policy they followed. By encouraging stockbreeding, they wanted to promote the usage of cattle in farming and thus increasing agriculture industry as a whole. Nonetheless, records show that hunting was permitted to a certain degree. And this allowed the civilians to depend their meat supply from hunting and for the fire field farmers to capture wild animals that harmed their crops. Moreover, through 'Kiwujae' (Kiwujae - a shamans service to pray for rain / ritual (praying) for rain.), we could see that earlier part of Karyo's rituals and ceremonies followed the Buddhist tradition while the latter followed the Shamanism tradition. Perhaps this was the result of allowing 'meat' for the service offerings. As Shamanism could be considered as a religion that allowed 'meat', prevalence of Shamanism was promoting meat-eating at mess(after these rituals and ceremonies that offered food (meat inclusive) to their guardian or god, the civilians would dine together.). In relation, this public eating practice slowed down the progress for storage technique. Therefore, meat-eating was developed through public and mass dining rather than through the form of family or private. On this account, we can safely regard meat-eating practice as a 'public event'.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of castration is not so long in Korea. And the purpose of such practice was to use the stock for farming rather than to yield high quality meat. It is known that Mongol in Koryo period has greatly influenced meat cooking in Korea. And the exemplary dish is the 'tang' (tang - kind of soup. However less creamy, clearer broth and with more ingredients than soup.). However, the tang we ate in everyday life had the same cooking method as the tang we offered for services. Moreover, since we did not use castrated animals for our offering as the Mongolians, we must not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m. But if so, perhaps the influences would have been limited to the nobility.

외연의 확대, 지평의 확산 :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 (Expansion of the Field: 10 Years of Research in Southeast Asian Arts)

  • 강희정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3호
    • /
    • pp.43-74
    • /
    • 2018
  • 이 글은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2008년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약 10년간 동남아시아 지역학 분야에서의 동남아 미술 연구를 검토했다. 이 연구들은 동남아의 미술을 어떻게 다뤘는지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검토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동남아시아 미술 연구 논문은 50편이며, 베트남 미술과 인도네시아 미술에 관한 논문이 다수를 점한다. 11개국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음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자기와 조각에 집중된 제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기간의 연구는 불균형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남아 지역 연구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 10년간 동남아 미술 관련 연구가 발전을 거듭했지만 연구 분야와 대상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동남아 미술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Esoteric Buddhism and the Cross-cultural Transfiguration of Śūraṃgama-sūtra Faith in Goryeo

  • Kim, Sooyou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2권2호
    • /
    • pp.169-195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cross-cultural transfiguration of Buddhist faith in Goryeo Dynasty, with a focus on $\acute{S}\bar{u}$raṃgama-s$\bar{u}$tra that used to be in vogue in East Asia.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acute{S}\bar{u}$raṃgama-s$\bar{u}$tra faith in Goryeo: the first one was concerned about the scripture itself including its citation and publication and the compilation of its annotation books; the second one involved establishing Buddhist rituals related to the scripture; and the final one was to create Dh$\bar{a}$ran$\bar{i}$ stone poles with Dafoding Dh$\bar{a}$ran$\bar{i}$ in Volume 7 of the scripture engraved in stone. While it was the common practice to engrave Zunsheng Dh$\bar{a}$ran$\bar{i}$ in China, the number of stone poles on which Dafoding Dh$\bar{a}$ran$\bar{i}$ was engraved was overwhelmingly large. There are a couple of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 first, there was a tendency of Zunsheng Dh$\bar{a}$ran$\bar{i}$ being worshiped at the national level in Goryeo, which probably explains why the percentage of Zunsheng Dh$\bar{a}$ran$\bar{i}$ stone poles designed to pray for a personal mass for the dead by engraving Dh$\bar{a}$ran$\bar{i}$ on a stone pole was considerab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esoteric sects in Goryeo,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got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Dafoding Dh$\bar{a}$ran$\bar{i}$ stone poles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Furthermore, the Zen sects had a deep non-Zen understanding of Esoteric Buddhism and tended to practice Dh$\bar{a}$ran$\bar{i}$ in Goryeo. It is estimated that Dafoding Dh$\bar{a}$ran$\bar{i}$ stone poles were set up in large numbers in Goryeo as the prevalence of $\acute{S}\bar{u}$raṃgama-s$\bar{u}$tra faith that continued on since the former half of Goryeo was combined with the Zen sects' active position about Dh$\bar{a}$ran$\bar{i}$.

몽산 어록 조선본의 간행과 유통에 대한 연구 -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과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ngshan analects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wo books of Mengshan,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and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 김은진;송일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1-84
    • /
    • 2019
  • 이 연구는 중국의 송 원대 임제종 양기파의 승려, 몽산 덕이의 대표 어록인 "몽산화상법어약록"과 "몽산화상육도보설" 조선본을 분석한 것이다. 그의 어록과 저술은 고려 말에 전해져 우리나라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법어약록은 39종, 육도보설은 24종이 현존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63종을 연구대상으로 간행 시기별, 간행 지역별, 간행 참여자를 분석하였다. "법어약록"은 대부분 16~17세기에 간행되었다. 1467년 간경도감본이 최초의 판본이며 한문본이 1525년에 처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467년 간경도감에서 세조와 신미에 의해 처음 편찬된 책이다. 육도보설은 모두 15~16세기에 간행되었는데 언해본은 1종만 존재하며 모두 한문본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 몽산 어록의 유통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책은 모두 전국적으로 유통되었으며 "법어약록"은 국가에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몽산의 어록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어록 모두 지리산 지역에서 활발히 간행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대규모 불사에 "법어약록"도 함께 간행되었다. 몽산 어록의 간행에 있어 참여자로 화주는 71명, 각수는 109명이 참여하였다. 화주는 다른 사찰에서의 불서 간행에 참여한 경우가 거의 없으나 각수는 대부분이 참여한 것이 확인된다. 몇몇은 활발한 간행활동을 보이는데 이들은 각 지역의 대표 각수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63종의 "법어약록"과 "육도보설" 판본은 조선 전기 불서 간행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몽산의 어록은 조선 전기 불교계의 개혁과 유불도의 공존을 모색하는 상황 속에서 적극적으로 수용 및 유통되었던 것이다.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의 분석을 통해 본 초조 및 재조대장경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ransformat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arved Tripitaka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 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46
    • /
    • 1994
  •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is an epoch-making catalogue for historical study of proofing Buddhist scriptures in Korea. This bibliography was appended to the 30 volumes which was corrected in 70 Ham, 66 scriptures, and 79 cases.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carved Tripitaka' s texts in Korea, texts made in the Sung dynasty, and the Kitan's texts, this catalogue discovered the name of scriptures, translators, volume number, the changed am order as well as omission, defaults, mistranslation of the Tripitaka made in the Sung dynasty. From Chon-ham to Young-ham, 480 sets among Kaewon-sokkyorock and 43 sets among Chongwonrock were correctly laid. Songshinyokkyong and the Sung Emperor, T'ai Tsung's statements were excluded. Even though it was possible to get these scriptures only by import from Sung, these imported scriptures had no reason to be proofed because of their new version and the author's direct selection in Sung. Shinchipchangkyon-geumeuisuhamlock has no authentic Sung's and Koryo's text books for correction. kyochongbyollock delivered the scriptures listed on Kudaechangmoklock, which gives an important clue to research transformation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carved Tripitaka. Through the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formated facts beteween the first carved Tripitaka and the second one, This study would help rebulid the original Chojodaechan-gkynng which has been not yet perfectly discovered itself.

  • PDF

Ancient Korean Costume Speculated on the Samguk-yusa (三國遺事)

  • Kang, Min-Hye;Cho, Woo-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0권2호
    • /
    • pp.37-49
    • /
    • 2010
  • The Samguk-yusa(三國遺事) is one of the two classics of Korean ancient history together with the Samguk-sagi(三國史記);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positive attempt to analyse clothing culture centering on the Samguk-yusa until now.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cords related to fabrics, color and fashion appearing in the Samguk-yusa, and to analyse the fashion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projected in the Samguk-yusa, referring to the Samguk-sagi and ancient Chinese reference books.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 the fabrics used for clothing of those days included Jikgeum-wimun(織錦爲紋), Geum(錦), Chaebaek(彩帛), Osaek-geumchae(五色錦彩), Geumbaek(錦帛), Geumsam(錦衫), Ma(麻), Neung(綾), Geum-su-neung-ra(錦繡綾羅), Poh(布), Daecho, Bira-geumjeom(緋羅金點), Gyeon(絹). Japchoe(雜綵), Robtyeom(羅緋染). Chimilpoh(緻密布), Gi(綺) and Whan(紈), and they had colors such as brown black(緇), black(黑), purple(紫), yellow(黃), blue(碧), clear white(素), white(白), five colors(五色). There is substantial amoung of report on Buddhism, and the terms used for Buddhist clothing included Beobeui(法衣), Nabeui(衲衣), Bangpoh(方袍), Gasa(袈裟) and Yueui(由衣). It is also ascertained that Gasa had a variety of Bira-geumjeom-gasa(緋羅點袈裟), Manap-gasa(摩納袈裟) and Geumra-gasa(金羅袈裟).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연구 현황과 성과 (Research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 최응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28-145
    • /
    • 2014
  • 일본에는 우리나라 문화재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시기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해방 이후인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일본과 국내 모두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개설서가 증대되면서 자료 보고서 형식의 논고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분야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불교회화에서 두드러진 성과가 나왔다. 조각은 일본 학자들에 의한 한국 불상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으며 일반회화 분야에서 연구 논문 발표와 저술 활동이 국내와 일본 모두 증가하였다. 도자 분야는 다른 어느 분야 못지않게 관련 저서가 증가된 점이 주목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말까지는 국내에서 소장학자의 연구가 활발히 개시되고 신 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개별 논고가 많아진 시기이다. 일본의 경우 소수 연구자들의 지속적 활동이 이어지며 국내의 경우 기존 학자에 이어 도일 유학생들에 의한 연구조사가 실시되었다. 나아가 조사 지역 및 연구 범위가 확대되어 연구자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대여 전시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새로운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도 하였고 국가기관(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의 미흡하지만 처음으로 조사와 보고서 간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 초부터 현재까지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진 심화된 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작품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점차 이루어진 시기이다. 미술사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논문 주제로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다룬 논문이 증가되었고, 연구가 확장되어 여러 방면에 걸친 연구 인력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일반회화, 불교회화, 소수의 불교공예 정도를 제외하고 연구 분야 간 차별화 현상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도자 분야는 국립문화재 연구소에 의한 본격적인 한국 문화재 보고서가 간행되어 소장처별로 체계적인 보고서가 간행된 점은 괄목한만한 성과이다.

초의의순(艸衣意恂)의 다도철학(茶道哲學)과 한국사상(韓國思想)의 전통(傳統) (Choui Uisun's Philosophy on Tea Ceremony and Tradition of Korean Thought)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81-105
    • /
    • 2014
  • 다서(茶書)가 드믄 우리나라에서 초의선사(艸衣禪師)의 '동다송(東茶頌)'은 위상이 대단하다. "동다송"은 이목(李穆: 1471~1498)의 "다부(茶賦)", 이덕리(李德履: 1728~?)의 "기다(記茶)"와 함께 세 봉우리를 이룬다. 이들 다서는 모두 육우(陸羽)의 "다경(茶經)"을 바탕으로 한다. "다경"의 위치를 기(起)라 할 때, "다부"는 승(承), "기다"는 전(轉), "동다송"은 결(結)에 비할 수 있다. "동다송"은 "다신전(茶神傳)"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다신전"은 장원(張源)의 "다록(茶錄)"을 초록한 것이다. "다신전"의 핵심 주제어는 바로 '다신(茶神)'이다. 초의는 "다록" "다록"의 핵심 개념을 자기 관점으로 뽑아 자신의 다도철학을 수립하였다. 또 자신의 철학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사상의 전통 가운데 하나인 '묘합(妙合)'의 원리를 이끌어 체계를 다시 짰다. 한국사상은 정신과 물질을 분리시켜 보지 않는 데 특징이 있다. 정신과 물질은 엄연히 다른 것임에도 이것을 갈라서 보지 않은 것이 이른바 '묘합'이다.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가 묘합이다. 초의의 다도철학은 한국사상의 전통을 잘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의사의 마음가짐과 명상수행에 대한 연구 (불교명상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set of doctors and the meditation (concentrating on the buddhist meditation techniques))

  • 김대환;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8
    • /
    • 2006
  • At the age of materialism and ignorance for life, the introspection for the ethics problem of the doctors,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It seems that every doctors should have the basic virtues of modesty and benevolence. Such virtues have been stress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and, apart from the Hipp. ocratic oath of ancient greece, the morality of a doctor is the essential virtue, even for the doctors of western medicine, whose medical technology is based on the materialism. Unlike western medicine, oriental medicine, for its holistic and relative nature, has more 'relative' factors generated from each individual doctors and therefore, tends to be influenced more by the doctors' attitudes. The diagnosis process itself can be influenced by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doctors, and even the efficacy of the acupuncture treatment itself can be influenced by the conception a doctor has when he/she conduct the treatment. Therefore, in every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have stressed the basic 'attitudes of mind' a doctor should have. But, at the time when the western 'natural science' paradigm prevails, it seems to be difficult to educate such state of mind simply by 'understanding' it through books or media. It needs 'shift of concept' through the humane tools of education. Therefore, the present writer would like to consider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meditation as the tools to develop the virtues of oriental doctors,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the virtues achieved by the meditation is the same one as mentioned in many oriental medical classics(not only the attitude for the patients, but also the state of mind a doctor should have dur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