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41초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김호철;김민구;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52-759
    • /
    • 1995
  • 연구배경: 심부전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관지 과민성과 혈역학적 지표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메타콜린을 이용하여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흉부 X선 촬영, 심에코도 검사, 심도자술로 승모판 심장질환이 진단되고 호흡곤란의 정도가 NYHA 기능적 분류 2인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ARI nebulizer I을 이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의 농도를 올리면서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최대호기 유속이 20%이상 감소를 보이면 양성반응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각각의 환자는 심도자술을 통해서 혈역학적인 지표와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결과: 1) 11명의 환자중 남자 2명 여자 9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8.0세이였고 흡연력은 1명이외에는 없었다. 2) 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NYHA 기능적 분류 2였고 승모판 협착증만 있는 환자는 5명이였고 이외는 승모판 질환과 대동맥 판막질환이 동반되어있었다. 3) 환자들의 평균폐동맥압과 평균폐모세혈관 쐐기압은 각각 21.72mmHg(${\pm}8.55$), 15.45mmHg(${\pm}8.69$)로 정상보다 높았고 심장지수와 좌심실분획률은 각각 2.64L/min/m2(${\pm}0.41$), 61.81%(${\pm}7.21$)로 정상범위이였다. 4) 11명의 환자중 1명만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에 양성이었다. 결론: NYHA 기능적 분류 2인 승모판 심장질환이 있는 심부전환자 11명중 1명만 기관지 과민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유로 지속적인 심부전의 치료에 의한 간질성 폐부종의 소설로 인해 기관지의 반응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사료되며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인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과민 반응에 대한 추후의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일부공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성의 알레르기 반응과 산화손상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Responses and Oxidative Stress Among Male Adults in an Industrial Area)

  • 기영선;민진영;유홍식;백도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7-123
    • /
    • 2008
  • Allergic diseases have been dramarically increased over recent years, especiall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idative stress has been believed to playa signific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the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s. Although previous studies concerning oxidative stress and systemic inflammation have been reported, few data is available, and other allergic diseases, except for asthma, are hardly studied about the association with oxidative stress.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disease and Malondialdehyde (MDA) as an indicator of oxidative stress. The study population was 197 male adults living in an industrial area. The ISAAC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firm wheezing and rhinitis, and atopy was evaluated by skin prick test. MDA was analyzed by spectrophotometer. To examine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methacholine test was performed, and the index of bronchial responsiveness (BR index) was calculated. We us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general linear model with SAS program. W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MDA with brindex (p=0.023), rhinitis (p=0.016), atopy (p=0.03), adjusted by age, smoking, and body mass index (BMI).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DA with the status of asthma. Our result suggests that oxidative stress may playa major role in the occurrence of allergic response in male adults.

만성 기침 환자에서 기관지와 흉곽외 기도의 Methacholine 유발검사의 의의 (Methacholine Responsiveness of Bronchial and Extrathoracic Airway in Patients with Chronic Cough)

  • 심재정;김제형;이승룡;권영환;이소라;이상엽;이상화;서정경;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53-860
    • /
    • 1997
  • 연구배경 : 만성 기침은 임상에서 흔한 증상으로 대부분은 후비루증(posterior nasal dripping : PND), 천식, 위식도 역류증, 기관지염 등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 기침 환자 중 일부분은 기침과 동반하여 천명이나, 호흡곤란 등과 같은 기관지 천식과 유사한 증상을 경우가 많아 기관지 과민반응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기관지 과민반응 검사는 대부분 $FEV_1$을 측정하지만 흉곽외 기도의 과민반응은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와 흉부외 기도의 methacholine 유발 검사를 시행하여 기도 과민 반응을 평가하여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는 2개월 이상 기침이 있는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55명, 여자 56명으로 평균 연령은 $37.4{\pm}13.0$세였다. 대상 환자는 심혈관 질환, 전신 질환 등이 없었으며, 과거에 기관지 진단 받은 병력이 없고 기관지 확장제나 사용한 병력이 없었던 환자였다. 기침이나 천명 또는 간헐적인 호흡곤란 등의 증상은 문진으로 확인하였고, 기침만 존재한 환자 46명, 기침과 천명이 있는 환자 24명, 기침과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22명, 기침, 천명 및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19명이었다. 대상환자의 폐기능검사는 $FEV_1$(%) $106.5{\pm}15.3$, FVC(%) $100.1{\pm}12.8$, $FEV_1$/FVC(%) $106.3{\pm}13.1$로 정상이었다. Methacholine 유발검사는 0.0625 에서 25 mg/ml의 2배수 농도를 흡입한 5분후 기관지 과민 반응은 $PC_{20}FEV_1$으로 측정하였고, 흉곽외 기도 과민 반응은 최대 중간흡입 기류속도인 $MIF_{50}$으로 측정하여 연속 3회 감소하고 25%이상 감소한 $PC_{25}MIF_{50}$으로 측정하여 25mg/ml 이하의 농도에서 양성인 경우를 기관지(BHR) 및 흉부외 기도(EAHR) 에 각각 반응이 있다고 판독하여 대상 환자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대상 환자 총 111명중에 기관지 과민반응(BHR)이 27명, 흉곽외 기도 과민반응(EAHR)이 16명, BHR과 EAHR이 함께 있는 환자 8명으로 과민 반응이 있는 환자는 총 50명이었으며, 그외의 61명은 기관지와 흉부외 기도의 과민반응이 없었다. BHR 또는 EAHR이 양성인 환자 50명중에 기침만 있는 환자는 BHR이 3명, EAHR이 9명, BER과 EAHR이 같이 있는 환자는 2명으로 EAHR이 가장 많았으며, 기침과 천명이 있는 환자는 BHR이 10명, EAHR이 2명 및 BHR과 EAHR이 같이 있는 환자는 2명으로 BHR이 가장 많았고, 기침과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는 BHR이 7명, EAHR이 3명, BHR과 EAHR이 같이 있는 환자는 1명으로 BHR이 가장 많았다. 기침, 천명 및 호흡곤란이 모두 있는 환자는 BHR이 7명, EAHR이 2명, BHR과 EAHR이 같이 있는 환자는 3명으로 BHR이 가장 많았다. BHR와 EAHR이 모두 음성인 환자는 총 61명이었으며, 기침만 있는 환장 32명, 기침과 천명이 있는 환자 10명, 기침과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11명, 기침, 천명 및 호흡곤란이 모 두 있는 환자는 7명이었다. 결 론 : Methacholine에 양성 반응인 환자중 호흡곤란이나 천명이 동반된 만성 기침환자에서는 주로 기관지 과민 반응이 나타났으며, 기침 단독 증상인 환자에서는 반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유도객담으로 평가한 기도염증과 기관지 과민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irway Inflammation Assessed by Induced Sputum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Asthmatic Patient)

  • 정이영;김현진;정경원;강미정;김휘종;정효영;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517-524
    • /
    • 1999
  • 배 경: 기관지천식은 만성적인 기도염증질환으로서 기도염증으로 인해 기도 과민성과 가역적인 기도폐쇄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도염증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유도객담이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보다 비침습적이고 안전하며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믿을 만한 검사 방법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유도객담을 이용하여 기도염증과 기관지 과민성간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다. 방 법 : 기관지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 시작 4주 이내에 호흡기 감염이 있었거나 객담을 배출할 수 없는 환자는 제외시켜 15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기도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장성 생리식염수(3%)로 유도객담을 채취한 후 타액과 분리한 객담 1cc를 pippet을 사용하여 15ml conical tube에 옮긴다. 4cc의 dithiothreitol 0.1%용액(Sputalysin 10%, Calbiochem Corp., San Diego, California.)과 이 용액의 완충제인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4cc를 사용하여 처리한 다음 염증세포수와 ECP를 측정하였다. 기관지 과민성을 알기 위해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을 시행하여 $PC_{20}$을 구하였다. 결 과 : 기저치 폐기능검사상 $FEV_1$은 예측치의 $76.3{\pm}30.3%$였고 유도객담 검사상 대식세포 수, 호중구, 호산구, 림프구는 각각 $39.1{\pm}27.0%$, $29.6{\pm}21.0%$, $28.8{\pm}18.8%$, $1.3{\pm}3.1%$였다. 유도객담 내의 ECP농도는 평균 $1,101{\pm}833\;{\mu}g/L$였고, 기하평균 $PC_{20}$은 0.56 mg/mL로 나왔다. 유도객담 내의 ECP농도는 유도객담 내의 호산구 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81, p<0.05)가 있었고, 가저치 폐기능검사 결과($FEV_1$)와는 유의한 역상관관계(r=-0.62, p<0.05)를 보였다. 유도객담 내 호산구 수와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에 의한 $PC_{20}$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r=-0.78, p<0.05)를 보였으나, 호중구 수와 $PC_{20}$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0.11, p=0.69)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유도객담은 천식환자에서 기도염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안전하면서도 유용한 검사이며 호산구의 침윤으로 인한 기도염증이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원인인자로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creased B cell-activating factor (BAFF) level in the sputum of children with asthma

  • Jee, Hye-Mi;Choi, Bong-Seok;Kim, Kyung-Won;Sohn, Myung-Hyun;Han, Man-Yong;Kim, Kyu-Ear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8호
    • /
    • pp.795-800
    • /
    • 2010
  • Purpose: B cell-activating factor (BAFF) is a tumor-necrosis factor (TNF) superfamily member best known for its role in the survival and maturation of B cells. BAFF activity is observed in naive cells as well as in effector/memory T cells. We aimed to explore whether BAFF in sputum is expressed at elevated levels in asthmatic airways and associated with eosinophilic inflammation, pulmonary function,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four asthmatic children and 98 healthy children were enrolled in the study. Sputum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nd sputum BAFF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s were measured. We performed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methacholine challenge tests, while measuring total eosinophil count, total serum IgE, and serum ECP in all subjects. Results: Asthma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AFF in induced sputum [26.50 (10.50-100.27) pg/mL] compared to healthy children [18.32 (7.68-44.63) pg/mL; $P$=0.011]. Sputum BAFF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utum eosinophils (${\gamma}$=0.406, $P$<0.001) and sputum ECP (${\gamma}$=0.789, $P$<0.001).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BAFF and FEV1 (${\gamma}$=-0.291, $P$<0.001) or post-bronchodilator FEV1 (${\gamma}$=-0.334, $P$<0.001), whereas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BAFF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serum eosinophil count, and serum EC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AFF may play a role in childhood asthma, and BAFF levels in sputum could be a supportive marker that represents airway inflammation, especially eosinophilic inflammation.

Role of Methacholine PC20 in FEF25-75% for the Diagnosis of Bronchial Asthma

  • Son, Kyeong Min;Jang, Seung Hun;Kang, Hye Ryun;Han, Bo Ram;Kim, Joo Hee;Kim, Hyun Sung;Park, Sung Hoon;Hwang, Yong Il;Kim, Dong Gyu;Jung, Ki 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4호
    • /
    • pp.311-317
    • /
    • 2009
  • Background: The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asthma in patients with normal or near normal baseline lung function. However, the sensitivity of this test is 82~92% at m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FEF_{25-75%}$ in identification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suspected asthmatic symptom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patients who experienced cough and wheezing within one week prior to their visiting the clinic were enrolled. Results: Sixty-four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of $FEV_{1}$ or $FEF_{25-75%}$ on the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Group I). In 24 patients, $FEF_{25-75%}$ fell more than 20% from baseline without a 20% fall of $FEV_{1}$ during methacholine challenge (Group II). All patients who had more than 20% fall of $FEV_{1}$ (n=37) also showed more than 20% of reduction in $FEF_{25-75%}$ (Group III). Baseline $FEV_{1}$/FVC (%) and $FEF_{25-75%}$ (L) were higher in group II than group III (81.51${\pm}$1.56% vs. 75.02${\pm}$1.60%, p<0.001, 3.25${\pm}$0.21 L vs. 2.45${\pm}$0.21 L, p=0.013, respectively). Group II had greater reductions of both $FEV_{1}$ and $FEF_{25-75%}$ than group I at 25 mg/mL of methacholine (p<0.001). The provocative concentration of methacholine causing a 20% fall in $FEF_{25-75%}$ in group II was about three-fold higher than that in group III. Conclusion: A 20% fall of $FEF_{25-75%}$ by methacholine provocation can be more sensitive indicator for detecting a milder form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an $FEV_{1}$ criteria.

Improvement of Bronchial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by Extract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Scutellaria baicalensis

  • Kyoung won Cho;Sung Sun Park;Hak Joo Cho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8-7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functional materials derived from resources, which can improve the troublesome symptoms of a bronchus by improving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s air pollution in Korea caused by fine dust and yellow dust is getting worse. Of natural resources grown naturally in Korea, Chrysanthemum morifolium(CM), and Scutellaria baicalensis(SB) have been used as a safe raw material for drinking or medicine for a long time, and it has been found that a combination of CS73 can improve bronchial health function in experimental animal models. Analysis of serum of animal models with asthma induced by ovalbumin (chicken egg albumin) and analysis of cytokine production in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showed that inflammatory indices IL-1β, IL-4, IL-5, IL-6, IL-10, IL-13, IL-17A, IL-17F, and IL-17E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at respective production of IL-2 and IFN-γ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taking extracts from CS73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CS73 could be used as a natural treatment for asthma. In addition, in the animal models that the combination of CS73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pective production of IgE, histamine and TSL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models, the ratio of Chrysanthemum morifolium to Scutellaria baicalensis of 7 : 3 had more excellent effect than other combined experimental groups, which suggests that the above combination can be developed as a natural treatment for asthma and is valuable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n effect of improving bronchial health,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public health threatened by fine dust.

  • PDF

Neovastat(AE-941) inhibits the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sponsiveness in a murine model of asthma

  • Lee, Sook-Young;Paik, Soon-Young;Chung, Su-M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11-16
    • /
    • 2005
  •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bronchial asthma. Neovastat, having significant antitumo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is classified as a naturally occurring multifunctional antiangiogenic agent. We evaluated the therapeutic effect of Neovastat on airway inflammation in a mouse model of asthma. BALB/c mice were immunized subcutaneously with ovalbumin (OVA) on days 0, 7, 14, and 21 and challenged with inhaled OVA on days 26, 29, and 31. Neovastat was administrated by gavage (5 mg/kg body weight) three times with 12 h intervals, beginning 30 min before OVA inhalation. On day 32, mice were challenged with inhaled methacholine, and enhanced pause (Penh) was measured as an index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e severity of airway inflammation was determined by differential cell count of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The MMP-9 concentration in BAL fluid samples was measured by ELISA, and MMP-9 activity was measured by zymography. The untreated asthma group showed an increased inflammatory cell count in BAL fluid and Penh value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Mice treated with Neovastat had significantly reduced Penh values and inflammatory cell counts in BAL fluid compared with untreated asthmatic mice. Furthermore, mice treated with Neovastat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MMP-9 concentrations and activity in BAL flui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eovastat might have new therapeutic potential for airway asthmatic inflammation.

곰팡이에 감작된 소아 천식 환자 가정내 환경유해물질 농도와 폐기능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ir Pollutants and Pulmonary Function in Asthmatic Children with Mold Sensitization)

  • 윤원석;임재훈;박상현;이민규;유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85-693
    • /
    • 2020
  • Objectives: Recent data indicate that sensitization to mold contributes to the severity and persistence of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indoor mold concentrations and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asthmatic children with mold sensitization. Methods: Asthmatic subjects who had a positive result in skin-prick testing to more than one mold allergen, such as Alternaria, Aspergillus, or Penicillium, were enrolled. Their pulmonary function and methacholine challenge test results were collected. Measurements of blood eosinophil, serum IgE, and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were taken. Indoor levels of VOC, CO2, PM10 and PM2.5 in each subject's house were measured. We counted mold and bacteria colonies from the subjects' house air samples. Results: The mean levels of FEV1, FVC, FEV1/FVC, and FEF25-75 were 82.8±19.7, 87.3±17.9, 85.8±8.3, and 82.3±28.9%, respectively. The mean FeNO level was 19.8±11.2 ppb and the geometric mean (range of one SD) of methacholine PC20 was 3.99 mg/mL (0.67-23.74 mg/mL). The average indoor air pollutant levels were below the recommended levels se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multiplex buildings. Indoor mold levels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methacholine PC20, but not with the baseline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Conclusion: Indoor mold concentrations are a risk factor for increase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mong asthmatic children with mold sensitization. Targeted environment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selected asthmatic children with mold sensitization for avoiding severe airway hyperresponsiveness.

소아 천식에서 최대호기중간유량의 기관지 과민성 예측인자로서의 의의 (Utility of a forced expiratory flow of 25 to 75 percent as a predictor in children with asthma)

  • 강정완;김경원;김은수;박준영;손명현;김규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323-328
    • /
    • 2008
  • 목 적 : 천식은 하부기도의 만성 염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관지과민성은 천식의 병태생리적인 특징이다. 하부기도를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최대호기중간유량(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percent, $FEF_{25-75}$)이 하부기도의 직경을 비교적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초간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과 $FEF_{25-75}$를 이용하여 얻어진 이들의 차이(difference between $FEV_1$ and $FEF_{25-75}$, DFF)와 비(ratio between $FEV_1$ and $FEF_{25-75}$, RFF)를 분석하여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 6세에서 15세 사이의 5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을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농도, 혈청 ECP 농도를 측정하였다.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으로 얻어진 $PC_{20}$을 기준으로 기관지과민성 양성군($PC_{20}$>16 mg/mL)과 음성군($PC_{20}=16mg/mL$)을 정의하였으며, 그 중증도에 따라 4군으로(Group 1: <1 mg/mL; Group 2: 1-4 mg/mL; Group 3: 4-16 mg/mL; Group 4: >16 mg/mL, by American Thoracic Society, 1999)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DFF는 기관지과민성 양성군에서 4.0 (-6.0-13.0), 음성군에서 -5 (-18.0-6.0)로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RFF도 기관지과민성 양성군에서 1.07 (0.93-1.21), 음성군에서 0.95 (0.84-1.07)로 양성군에시 음성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높았다(P<.001). 또한 기관지과민성 중증도에 따라 나눈 4군 사이에서도 DFF (P<.001)와 RFF (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C_{20}$은 DFF ($\gamma$=0.337, P< .001) 및 RFF ($\gamma$=0.337, P<.001)와 의미있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FEF_{25-75}$를 이용하여 얻어진 DFF와 RFF는 기관지과민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고 이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