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 Library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19초

Expression of Human Liver 3,4-Catechol estrogens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in COS 1 Cells

  • Ahn, Mee-Ryung;Owens, Ida-S.;Sheen, Yhun-Y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465-470
    • /
    • 1997
  • The human cDNA clone UDPGTh2, encoding a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UDPGT), was isolated from a .gamma.gt 11 cDNA library by hybridization to mouse transferase cDNA clone, UDPGTm1. The two clones had 74% nlicleotide sequence identities in the coding region. UDPGTh2 encoded a 529 amino acid protein with an amino terminus membrane-insertion signal peptide and a carboxyl terminus membrane-spanning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substrate specificity, the clone was inserted into the pSVL vector (pUDPGTh2) and expressed in COS 1 cells. Sixty potential substrates were tested using cells transfected with pUDPGTh2. The order of relative substrate activity was as follows: 4-hydroxyestrone > estriol >2-hydroxyestriol > 4-hydroxyestradiol > $6{\alpha}$-hydroxyestradiol >$5{\alpha}$-androstane-$3{\alpha}$, $11{\beta}$, $17{\beta}$-triol=5${\beta}$-androstane-$3{\alpha}$ ${\beta}$, $17{\beta}$-triol. There were only trace amounts of gulcuronidation of 2-hydroxyestradiol and 2-hydroxyestrone, and in contrast to other cloned transferase, no gulcuronidation of either the primary estrogens and androgens (estrone, $17{\beta}$estradiol/testosterone, androsterone) or any of the exogenous substrates tested was detected. A lineweaver-Burk plot of the effect of 4-hydroxystrone concentration on the velocity of glucuronidation showed an apparent Km of $13{\mu}M$. The unique specificity of this transferase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level and activity of these potent and active estrogen metabolites.

  • PDF

가변 길이 명령어 처리를 위한 명령어 버퍼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nstruction Buffer to process Variable-Length Instructions)

  • 박주현;김영민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5C권12호
    • /
    • pp.66-7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명령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가변 길이 명령어의 미스 율을 낮추기 위한 버퍼를 구현한다. 또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명령어들의 디코딩 시간을 줄이기 위해 외부에서 명령어를 패취(fetch)하여 초기 디코드 동작을 한 후 그 결과를 버퍼에 저장하는 MAU(Mark Appending Unit)를 둔다. 또한 분기명령어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타겟 명령어의 히트 여부를 판단하는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가변 길이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각 모듈은 VHDL을 이용해 설계되었으며, Model Technology Inc.의 V-System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합성 및 검증은 0.6㎛ 5-Volt CMOS TLM(Three Layer Metal) COMPAS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ASIC Synthesizer 툴을 사용하였다. 최고 동작 속도는 약 140MHz까지이며, 총 게이트 수는 약 17,000개이다.

  • PDF

CISC 임베디드 컨트롤러를 위한 새로운 비동기 파이프라인 아키텍쳐, A8051 (A New Asynchronous Pipeline Architecture for CISC type Embedded Micro-Controller, A8051)

  • 이제훈;조경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4호
    • /
    • pp.85-94
    • /
    • 2003
  • 비동기 설계 기법은 시스템 클럭을 사용하지 않고, 동작이 필요한 모듈만 활성화시켜 전력 및 성능면에서 동기식 설계 기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갖는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컨트롤러인 Intel 80csl과 완전한 명령어 호환성을 갖고, 비동기식 파이프라인 구조로 최적화된 A8051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와 명령어를 제공하는 CISC 명령어 수행 스킴은 동기식 파이프라인 구조에 적합하지 않고 많은 오버헤드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명령어 실행 사이클을 비동기식 파이프라인 수행에 적합하도록 명령어별로 그룹화하고, 동기화 및 다중 실행 사이클로 인한 오버헤드로 발생된 버블을 제거함으로서 최적화하였다. 또한 적합한 분기 처리 기법 및 가변적인 명령어 길이의 처리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명령어 수행시 필요한 상태 수를 최소화하고, 명령어 수행의 병렬성을 증가시켰다. 제안된 A8051 아키텍쳐는 Verilog HDL로 설계하여 0.,35㎛ CMOS 공정 표준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하였다. 실험 결과로 A8051은 36㎒ 클럭을 사용하는 인텔 80C51과 다른 비동기 80C51에 비해 약 24배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최대 데이터율을 지원하는 DAB 수신기용 Viterbi 디코더의 설계 (Full Data-rate Viterbi Decoder for DAB Receiver)

  • 김효원;구오석;류주현;윤대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C호
    • /
    • pp.601-609
    • /
    • 2002
  • DAB 시스템이 요구하는 최대 출력 데이터율을 지원하는 Viterbi 디코더의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하고 설계하였다. DAB 수신기에서 Viterbi 디코더는 매우 많은 연산량을 수행하는 부분이며, 이를 위하여 고속으로 동작하는 전용 하드웨어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puncturing을 사용하는 Viterbi 디코더에 SST 방식을 적용하였다. 설계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uncturing vector table을 수정.재배치하여 hardwired logic으로 구현하였으며, 새로운 re-scaling 방식을 제안하여 패스 메트릭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워드길이을 최적화시켰다. 제안된 re-scaling 방식은 패스 메트릭을 re-scaling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브랜치 메트릭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미리 계산된 값을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설계된 Viterbi 디코더는 삼성 0.35$\mu$ 표준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전력 소모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Complementary Medicine on Pain Relief and Wound Healing after Cesarean Section: A Systematic Review

  • Niazi, Azin;Moradi, Maryam;Askari, Vahid Reza;Sharifi, Neda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1-53
    • /
    • 2021
  • Objectives: Cesarean sections are one of the common surgical procedures around the world. Management of cesarean section side effects, including pain, hematoma, delayed wound healing,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maintaining maternal health and ability to care for the baby. The tendency to use complementary medicine strategies is on the rise because of the easy treatment with low sid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fficacy and safety of clinical trials performed in Iran and worldwide on the effect of complementary medicine on pain relief and wound healing after cesarean section. Methods: PRISMA checklist was followed to prepare the report of this systematic review. The search process was carried out on databases on databases of Magiran, SID, Iran Medex, Scopus, Pub Med, Science direct, Medline and Cochrane library using keywords of cesarean, pain, wound healing, Herbal medicine, acupressure, massage,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ir Persian equivalent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inception until February 2020. We used the Jadad scale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searched articles. According to the Jadad scale, the articles with a score of at least 3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Finally, 28 clinical trials (with a sample size of 3,245) scored at least 3 on the Jadad scale were included into the analysis. This article reviewed 13 articles on medicinal herbs, 4 articles on massage, 1 article on reflexology, 2 articles on acupressur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review, the use of medicinal herbs was the most common method of complementary medicine in pain relief and wound healing after cesarean section.

국회의원 기록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 김장환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39-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의원 기록관리의 현실을 짚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까지 기록관리는 행정부나 입법부 모두 문서관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오히려 국회는 회의록과 의안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록관리 전통이 제헌국회 이래 국회사무처를 중심으로 남아 있었다. 기록관리법이 제정된 후에도 적극 대응하여 기록관리 체제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설치가 의무사항이 아님에도 국회사무처의 보조기관 형태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 기록연구직으로 전문요원을 배치하고, 국회기록물분류기준표도 행정부에 비해 빠르게 만들어 시행하는 등 선도적으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2007년 전부개정 법률에 따른 규칙 개정이 2011년에 이르러서야 완료될 정도로 국회사무처 시기 국회기록보존소의 기록관리 동력은 크게 떨어졌다. 국회의 경우 행정부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참여정부 당시 기록관리 혁신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도 거의 받지 못했다. 국회기록관리 영역 내에서도 국회의원 기록관리 분야는 실무적으로나 학술적으로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국회의원은 기록관리법상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없다. 이에 본 글에서는 주로 국회기록보존소 내부에서 수립한 국회의원 기록관리 계획과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원론적인 수준에서 향후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회기록보존소에서 추진해야 할 국회의원 기록관리 방안을 관련 법규 제정 개정, 국회의원실 기록관리 컨설팅 지원,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및 웹 기록물 이관 방안 마련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A Study on the Original Landscape for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Buyongjeong and Juhamnu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양기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37
    • /
    • 2021
  • 본 연구는 대한제국과 그 전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원형 경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향후 복원정비에 유용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용지 인공섬의 석축은 본래 정연하게 가공된 석재를 활용해 바른층쌓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1970년대의 정비공사 과정에서 부용지 인공섬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혼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부용지 인공섬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은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설로 대한제국기에도 실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멸실되었다. 둘째, 오늘날 어수문 좌우에 남아 있는 취병은 2008년 조릿대를 기반으로 재현된 결과물이다. 어수문 취병의 식물 소재를 주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수종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자료와 정황을 다각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근대기의 어수문 취병은 동관왕묘와 경복궁 건청궁처럼 '향나무'로 제작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주합루 후원은 석계 형태의 구조물 위에 수목이 밀생하지 않은 공간이었다. 주합루 후원의 석계는 비교적 개방된 형태로 관리되면서 주변 건축물을 왕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 대규모 식재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주합루 후원은 화계와 같은 형태로 정비되었고, 다수의 화관목이 식재되어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넷째, 규장각과 개유와처럼 서고(書庫) 기능을 가졌던 영화당 남행각은 1900년대 후반 무렵에 멸실되어 본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건축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토대로 영화당 남행각의 배치축을 확증하고, 형태와 의장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자료 구축 차원에서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참고한 추정복원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