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ish Water Cla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2배체 기수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와 3배체 담수산 재첩 C. fluminea의 핵형분석 및 번식 특성 (Karyotype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Diploid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and the Triploid Freshwater Marsh Clam, C. fluminea)

  • 최기호;정의영;곽오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9
    • /
    • 2007
  • 우리나라 고성군 송지호의 기수역에서 채집된 2배체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과 춘천 의암호 담수에서 채집된 3 배체 재첩 (C. fluminea) 을 대상으로 핵형 및 번식특성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2배체인 일본재첩은 25 개 세포들에서 세포당 38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2 개가 19 쌍을 이루고 있다. 염색체는 11 쌍의 telocentric과 3 set의 subtelocentric 그리고 3 쌍의 submetacentric 그리고 1 쌍의 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재첩은 난생이며 자웅이체로 내반새와 외반새를 갖는 두 쌍의 아가미를 가지나, 이들은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난들과 정자들은 기수역에서 체외수정을 한다. 3배체인 재첩은 세포당 54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3 개가 18 set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 염색체 18 set는 1 개의 metacentric group과 5 개의 submetacentric group, 그리고 12 개의 subtelo 또는 telocentric group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재첩은 난태생이며 기능적 자웅동체이다. 3배체 조건은 자웅동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재첩의 경우는 주로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는 내반새 (inner-demibranch) 를 갖는 2 쌍의 아가미를 가진다. 아가미의 내반새 구조에서는 임란기 중에는 완숙란들이 소모되고, 비임란기 중에는 완숙난들이 생식소의 자웅동체 소낭 내에서 생산되어 주기적 변화가 나타났다. 일본재첩과 재첩의 생식소발달 단계들은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초기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부분산란기, 퇴화 및 비활성기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 PDF

Acanthoparyphium shinanense n. sp. (Digenea: Echinostomatidae) from Experimental Chicks Infected with Metacercariae Encysted in Brackish Water Clams in the Republic of Korea

  • Ryoo, Seungwan;Jung, Bong-Kwang;Chang, Taehee;Hong, Sooji;Shin, Hyejoo;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41-353
    • /
    • 2021
  • Acanthoparyphium shinanense n. sp. (Digenea: Echinostomatidae) is described from chick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encysted in 2 brackish water clam species, Ruditapes philippinarum and Coecella chinensi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metacercariae were round to oval, armed with 23 collar spines, and 0.216 (0.203-0.226) mm in diameter. From 5 chicks experimentally infected each with 200 metacercariae, 34 juvenile (5-day-old worms) and 104 adult flukes (7-day-old worms) were harvested from their small intestines, with the average worm recovery rate of 13.8%. The adult flukes were 3.18 (2.89-3.55) mm long and 0.68 (0.61-0.85) mm wide, with an elongated, posteriorly tapering body, and a prominent head collar armed with 23 collar spines arranged in a single uninterrupted row. The posterior testis of A. shinanense was longitudinally elongated, which is similar to Acanthoparyphium spinulosum Johnston, 1917 but unique from the other closely related species, including Acanthoparyphium tyosenense Yamaguti, 1939, Acanthoparyphium kurogamo Yamaguti, 1939, and Acanthoparyphium marilae Yamaguti, 1934. The eggs of A. shinanense were larger than those of A. spinulosum, and the anterior extent of 2 lateral groups of vitellaria was slightly more limited in A. shinanense than in A. spinulosum. Molecular analysis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revealed low homology with A. spinulosum from USA (96.1% in 5.8S rRNA) and Ukraine (97.9% in 28S rRNA), Acanthoparyphium n. sp. from USA (98.0% in 28S rRNA), and Acanthoparyphium sp. from Australia, Kuwait, and New Zeal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ts first intermediate host and natural definitive hosts, as well as its zoonotic capability, should be elucidated.

사육조건에 따른 일본(기수)재첩 유생의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larvae according to rearing conditions)

  • 이정용;김완기;이채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3
    • /
    • 2011
  • 일본(기수)재첩 유생사육을 위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유생 수용밀도,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 채묘방법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일본(기수)재첩의 부유유생은 $24^{\circ}C$$27^{\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18^{\circ}C$$21^{\circ}C$에서 5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임으로서 유생 사육을 위한 적정 수온은 $21-24^{\circ}C$이며, 최적수온은 $24^{\circ}C$ 이었다. 또한 염분 3 psu 이상에서 성장과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적정 염분은 6-9 psu 이었다. 유생밀도별 사육시험에서 1 ml당 1-10 개체에서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보였으나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유생사육 밀도는 1 ml당 10 개체였다.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하여 10,000-20,000 cells/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성숙유생의 채묘는 모래저질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유의하게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25 mm 이하의 미세사질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Isotopic Determination of Terrestrial Food Sources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 Lee, Won-Chan;Park, Jin-Il;Choi, Woo-Jeung;Kim, Young-Seop;Lee, Pil-Yong;Kang,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1호
    • /
    • pp.56-64
    • /
    • 2000
  • The importance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as a food source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was evaluated using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delta}^{13}$C) in its tissues and potential food resources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had distinct ${\delta}^{13}$C values from riverine (-31.8 to -27.2%$_o$) to marine waters (-21.0 to -16.6%$_o$). Estuarine macroalgae had a wide ${\delta}^{13}$C range of -22.8 to -15.0%$_o$. The ${\delta}^{13}$C values of riverine POM were more negative than that of riverine phytoplankton (-26.5 to -24.2%$_o$) but similar to that of freshmarsh plant species (-29.1 to -27.5%$_o$ for Phragmites communis and -28.5 to -27.0%$_o$ for Salix gracilistyla), These ${\delta}^{13}$C values suggest that the POM transported by the Hyungsan River is predominantly of terrestrial origin rather than riverine autochthonous sources. The ${\delta}^{13}$C values of Corbicula japonica tissues (-28.7 to -27.2%$_o$) were most similar to values for riverine POM and freshmarsh 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sotopic composition of the clam individuals. The results indicate a predominant contribution of organic carbon derived from terrestrial and fresmarsh plant detritus to the diet of Corbicula japonica. Our results also confirm previous suggestion that terrestrial organic matter can be incorporated into estuarine food webs although its role is confined to the upper estuarine reaches.

  • PDF

섬진강-광양만 하구 기수 재첩 (Corbicular japonica)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r japonica) from Seomjin River to Gwangyang Bay, South Korea)

  • 김지훈;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12-220
    • /
    • 2022
  • 재첩은 하구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섬진강 하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재첩은 담수와 해수생태계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종이다. 재첩은 외부형태만으로는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서식 재첩의 종 동정을 위해 형태적 관찰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기반 DNA 바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첩 간 다른 두 종을 확인하였으며, COI 염기서열의 다중배열 분석결과 약 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재첩과 내 다양한 종들과 계통수 분석으로 계통유 전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 C. fluminea와 하나의 계통군으로 묶여졌고 진화적 거리는 0.003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재첩속인 C. leana와 0.089, C. fluminalis와 0.096으로, 재첩과 내 3종과는 약 0.2로 C. japonic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화적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이고, 그중 한 개체가 C. flumine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NA 바코딩을 이용한 섬진강 하류 지역에 서식하는 재첩의 COI 시컨스를 통해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하여 형태학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종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강원도 양양 남대천에서 채집된 일본재첩, Corbicula (Corbicula) japonica Prime의 수산자원학적 연구 (Population Dynamics of Corbicula ( Corbicula) japonica Prime from Namdae Stream in Yangyang, Korea)

  • 권대현;강용주;김완기;이채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86-695
    • /
    • 2002
  • Samples of Corbicula ( Corbicula) japonica Prime of Namdae Stream in Gangnung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0 to October 2001. Age of C. (C.) japonic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shell length of the samples ranged from 8 mm to 38 mm. The ring on the shell was formed once a year in March. Von Bertalanffy's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a nonlinear regression method, asyinptotie shell length ($L_{\omega}$) was 48,98 mm, K was 0.20421year, theoretical age at 0 shell length $(t_0)$ was 0.3169 year, and asymptotic total weight ($W_{\omega}$) was 41.37 g. The formula of allomeky between shell length (L, mm) and total weight (W, g) of the brackish water clam was W=3.42$\times$10^{-4}L^{3}. The annual survival rate was estimated at 0.3799,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mortality was 0.5007/year, and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fishing mortality was 0.46721year.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at 2.1593 year using shell length compositions of the brackish water clam, The current yield-per-recruit at 0.4672/year of fishing mortality was 0.6595 g. F_0.1 was estimated at 0.1865/year, Acceptable biological catch was estimated at 14.4 metric ton.

양양 남대천 기수재첩, Corbicuza Japonica의 서식환경과 밀도 (Environmental Factors and Population Density of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on Narndae Stream in Yangyang, Gangwon)

  • 김완기;이채성;이정용;백국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02
  •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서식환경과 서식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 하구를 대상으로 수질, 퇴적물 환경, 입도분석 및 서식밀도와 크기별 출현율 등을 조사하였다. 재첩 서식지의 수온은 -0.2∼26.8$\^{C}$, 염분은 0.50∼3.21$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5.21∼8.13 ppm이었으며, 영양염류 중 PO$_{4-}$P은 ND∼1.37 ppm, NO$_{2-}$은 0.10∼0.81 ppm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환경에서 COD는 1.53∼2.82 ppm, 황화물은 ND∼0.0012 ppm, 강열감량 (IL)은 0.85∼1.36%로 안정된 값을 보였다. 퇴적물 조성은 대부분 모래 또는 역질모래였으며, 분급도는 0.53∼1.77 $\phi$로 매우 양호하였다. 재첩의 서식밀도는 2∼464 개체/$m^2$로서 하류 50 개체/$m^2$, 중류 50∼400 개체/$m^2$, 상류 10∼200 개체/$m^2$로 다양하였으며, 크기에 따른 출현율은 각장 10 mm 이하가 3.2%, 10∼20 mm가 50.4%, 20∼30 mm가 43.3% 그리고 30 mm 이상이 3.1%로서 10 mm 이상은 전체의 96.8%로 나타났다.

기수산 2배체 재첩, Corbicula japonica(Bivalvia: Corbiculidae)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of Brackish Water Diploid Clam, Corbicula japonica (Bivalvia: Corbiculidae))

  • 전제천;김봉석;정의영;김진희;박갑만;박성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2호
    • /
    • pp.115-122
    • /
    • 2009
  •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mu}m$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mu}m$)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mu}m$, 첨체 길이는 약 2.70 ${\mu}m$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의 정자 두부는 이미 몇몇 저자들에 의해서 보고된 3배체 재첩류(체내수정, 자웅동체, 난태생종)의 정자 두부에서 나타나는, 원시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변형된 2개의 편모가 있는 정자를 가지는 담수산 3배체인 자웅동체 조개류와 달리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를 본 종은 생산한다. 2배체 일본재첩은 중심체를 둘러싸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어, 짧은 중편을 가지는 다른 이매패류의 것들과 유사하다. 정자 미부 편모의 약소님은 중앙에 1쌍의 미세소관과 주변에 9쌍의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자 미부의 악소님은 9+2구조를 가지며, 횡절단된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에서 특히, 체외수정 어류들에서 나타는 날개 모야으이 악소님 lateral fin들이 관찰되었다.

  • PDF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인공종묘생산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eponica)

  • 김완기;이채성;이정용;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2
  • 기수재첩의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산란기 조사, 산란유발, 난 발생 및 유생의 발달 과정을 관찰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수재첩의 산란기는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가지이며, 주 산란기는 8월 초순부터 9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산란유발은 자외선 조사 자극과 생식소절개 방법으로는 반응이 전혀 없었다. 3$\textperthousand$ 해수의 온도 자극에서는 8월하순에 90.0%, 9월에 75.0%의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NH$_4$OH용액을 3$\textperthousand$ 해수에 첨가하는 자극은 1/1000∼3/1000 N에서 15∼45%의 반응률을 보였다. 기수재첩의 수정난은 직경 86${\pm}$3 um의 구형이다. 수정난의 발생은 23.0∼24.5$^{\circ}C$에서 2시간 후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담륜자 유생 (trochophore larvae),수정 후 2일째에는 D상 유생, 9일째에는 각정기로 성장하였다. 수정 16일째에는 성숙 유생으로 성장하여 저서 생활을 시작하였다.

한국 서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Prime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정의영;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4
    • /
    • 2005
  • Samples of Corbicula japonica Prime of Jujin estuary in Gochang were collected from July 2000 to September 2001. Age of C. japonic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group was expressed as a regression line. Therefore,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each ring formation.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hell, it is assumed that the ring of this species was formed once a year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and M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mm) and total weight (TW; g)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W = 1.0942 ${\times}10^{-4}SL^{3.3217}$ ($r^2$ = 0.9905).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mm)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ell height as the following equation: SH = 0.9174 SL - 0.9935 ($r^2$ = 0.9885). The shell length (SL) - shell width (SW) relation was also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 = 0.5925 SL - 1.1706 ($r^2$ = 0.9726). 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the von Bertalanffy's growth curve were expressed as: $$SL_t = 46.4861[1-e^{-0.3383(t+0.0958)}]$$, $$TW_t = 34.54[1-e^{-0.3383(t+0.0958)}]^3.32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