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 Life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Mannich-type Reactions of in Situ Generated N-Acyliminium Ions from α-Amido p-Tolylsulfones with Silyl Enolates

  • Lee, Sang-Hyeup;Kadam, Santosh T.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0호
    • /
    • pp.3738-3742
    • /
    • 2011
  • Bismuth tribromide ($BiBr_3$) catalyzed Mannich-type reactions of N-acyliminium ions which generated in situ from N-benzyloxycarbonylamino p-tolylsulfone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esence of catalytic amount of $BiBr_3$, N-benzyloxycarbonylamino p-tolylsulfones prepared from aromatic and aliphatic aldehydes reacted with silyl enol ether and silyl enol ester under mild reaction conditions to afford N-Cbz-protected ${\beta}$-amino ketones and N-Cbz-protected ${\beta}$-amino esters in moderate to good yield, respectively.

벼 유식물을 이용한 C29-Brassinosteroids의 대사 (Metabolic Study on C29-Brassinosteroids in Young Rice Plants)

  • 원소윤;주세환;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43-251
    • /
    • 2007
  • BRs의 생합성 경로는 $C_{28}-BRs$ 생합성 경로 외에 $C_{27}-BRs$ 생합성 경로가 존재함이 확인되었고, 최근 $C_{29}-BRs$의 생합성 경로가 존재함이 보고되어 BRs의 생합성 과정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이에 $C_{29}-BRs$인 28-homoTE와 28-homoTY 등이 동정된 벼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C_{29}-BR$인 25-homoCS의 대사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in vitro 효소변환 연구를 통해 28-homoCS은 CS와 26-nor-28-homoCS으로 전환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역반응인 CS에서 28-homoCS로 또는 26-nor-28-homoCS에서 28-homoCS로의 전환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C_{29}-BRs$인 28-homoCS은 C-28위치의 demethylation에 의해 보다 강한 활성의 $C_{28}-BRs$인 CS로 생합성 되는 과정과 C-26 위치의 demethylation에 의해 26-nor-28-homoCS으로 생분해 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한편, $C_{28}-BRs$인 CS에서 BL로의 전환과 동일한 반응이 $C_{29}-BRs$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벼 유식물에서는 28-homoCS에서 28-homoBL로 전환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C_{29}-BRs$$C_{28}-BRs$의 생합성과정의 연결이 28-homoCS에서 CS를 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8-homoCS에서 CS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하여 $C_{29}-BRs$ 또한 $C_{28}-BRs$ 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활성형의 CS로 전환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BRs의 생합성은 $C_{27}-BRs$$C_{28}-BRs$의 생합성과정이 연결된 것처럼 $C_{29}-BRs$ 또한 $C_{28}-BRs$ 생합성 과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활성형 BR인 CS은 $C_{27}-BRs$, $C_{28}-BRs$의 생합성 과정뿐만 아니라 $C_{29}-BRs$의 생합성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과정이 식물체내에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ifenazate 저항성 점박이응애에 대한 교차저항성과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의 점돌연변이 (Cross Resistance and Point Mutation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of Bifenazate Resistant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이규리;구현나;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7-254
    • /
    • 2010
  • 2000년 12월 경북 칠곡의 장미재배지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0년 동안 bifenazate로 도태시켜 855.9배의 저항성 계통을 얻었다. 이 계통의 성충에 대한 8종 살비제의 교차저항성 유무를 조사한 결과, acequinocyl에 614.0배의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chlorfenapyr는 9.1배의 낮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fenazaquin(0.3배)와 fenpyroximate(0.1배)는 역상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청주, 강진, 충주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의 bifienazate 저항성을 확인해 본 결과, 청주와 충주의 개체군은 각각 5.5배, 21.8배의 낮은 저항성을 보였고 강진 개체군은 964.5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sterases(EST), glutathione S-transferase(GST)과 cytochrome $P_{450}$-dependent monooxygenase($P_{450}$)의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 bifenazate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P_{450}$의 활성이 감수성계통에 비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의 DNA염기서열과 아미노산을 비교한 결과, G126S의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를 확인하였고 bifenazate 약제에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강진 개체군에서도 G126S의 점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불화온실가스의 흡수단면적 측정을 통한 지구온난화지수의 추정 (Estimation of The Global Warming Potential of Fluorinated Green House Gases)

  • 김지혜;이정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7-397
    • /
    • 2014
  • This work aims at estimating global warming potentials (GWP) of $CF_3Br$ and HFC-134a among green house g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y have much higher GWP than $CO_2$ in the atmosphere. $CF_3Br$, halon 1301 which is well known to be a fire extinguisher, as one of the bromine-containing halons has been banned since 2003 due to destruction of ozone. HFCs, a kind of chiller which replaced chlorofluorocarbons (CFCs) are one of greenhouse gases regulated by the Kyoto Protocol. In this study, we produced GWPs of $CF_3Br$ and HFC-134a by calculating a life time and measuring an absorption cross section to obtain a radiative forcing (RF). Their absorption cross sections were measured by using Fourier-transformed infrared spectroscopy (FTS) with a gas cell filled with their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at room temperature. As a result, the RFs of $CF_3Br$ and HFC-134a were 0.32 and $0.168Wm^{-2}ppb^{-1}$, respectively and the GWPs were calculated as 7989, 6076, 3903 for $CF_3Br$ and 3855, 1300, 656 for HFC-134a for the time horizon of 20, 100, 500 years, respectively. Overall, uncertainty of the estimated GWPs can be estimated to be about 2.6%. Our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proposed by the previous studies (IPCC, 2007; WMO, 1999).

들깨 잎 추출물의 Nitric Oxide Synthase 저해활성 및 Peroxynitrite 소거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 김재연;김지선;정찬식;진창배;류재하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70-175
    • /
    • 2007
  • Activated microglia by neuronal injury or inflammatory stimulation overproduce nitric oxide (NO)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superoxide anion, resulting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toxic peroxynitrite (ONOO$^-$), the reaction product of NO and superoxide anion further contributes to oxidative neurotoxicit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wo kinds of varie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nica Hara on th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icroglia. The perilla cultivars of Namcheondeulkkae (NC) and Boradeulkkae (BR) were developed by pure line from the local variety and by a cross between 'deulkkae' and 'chajogi', respectively. Spirit, hexane, chloroform and butanol fractions of the leaves of NC and BR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in LPS-activated microglia. The fractions of BR showed stronger activity than NC and the spirit extracts was the most potent in both cultivars. The solvent fractions of BR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rotein and mRNA of iNOS in LPS-activated microglial cells. Moreover, the extracts of NC and BR showed the activity of peroxynitrite scavenging in cell free bioassay system. These results imply that Namcheondeulkkae and Boradeulkkae might have neuroprotective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by activated microglial cell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갈조류 추출물에 의한 인간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Induction of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a Brown Algae Extract)

  • 추강식;이해님;신성아;김형진;박영석;김상기;정지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5-562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자원의 대표적인 갈조류 중 미역(Undaria pinnatifida),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넓은 미역쇠(Punctaria latifolia)를 추출한 시료들을 이용하여 위암, 유방암 세포에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료가 apoptosis 발현을 유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50, 100, 20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MTT assay를 통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 하였다. MTT assay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좋은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DAPI staining을 수행 하였고, 넓은 미역쇠 추출물 200 μg/ml에서 세포질 응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 발현 기전에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Bcl-2 family 단백질인 Bax와 Bcl-2의 발현 그리고 DNA 복구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을 확인 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200 μg/ml로 24시간 처리한 결과, pro-apoptotic protein 인자인 Bax와 DNA 복구 단백질 PARP 분절이 증가 하였고, anti-apoptotic protein 인자인 Bcl-2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은 인간 위암세포인 AGS와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SK-BR-3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넓은 미역쇠가 미역, 미역쇠보다 뛰어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조류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및 항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넓은 미역쇠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in vivo에서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마버섯 Mating Locus(Y-region)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ting Locus (Y-region) of Schizophyllum commune)

  • 이인선;박동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1
    • /
    • 2002
  • 북미산 S. commune UVMl-34의 A $\alpha$ 3 mating locus를 지니는 cosmid clone pSC13의 mating activity에 필요한 sequence 함유여부를 확인한 후 sequencing을 행하고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last program을 사용한 전체 nucleotide 염기서열의 homology비교분석에서 남미산 1-71에 패하여 약 96%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1-71 A $\alpha$ 3 mating locus에서 모두 7개로 추정되는 exon의 염기서열의 비교실험에서도 거의 96% 이상에 이르는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부분적으로는 AR (acidic rich region)에서 약 97%, HD (homeodomain)에서는 약 99%, BR (basic rich region)에서 약 97%, 그리고 Ser (serine rich regon)에서 약 95%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어 지역간에 유전자상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translated polypeptide sequence 를 이용하여 자생지가 다른 남미산 S. commune A $\alpha$ 3 mating locus 내의 Y-region은 비롯하여 다른 $A\alpha$ alleles내의 Y-region과 비교 분석한 결과 남미산에 대해 전체적으로 약 97%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외 $A\alpha$ mating alllele gene의 Y-region과는 41~49%의 낮은 homology로 mating activity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ating에 있어 transcription regulator로 알려진 homeodomain에서는 약 98%의 homology가 나타남으로서 Z-region의 74%에 비하여 대륙간에 상당히 높은 유전자 보존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AR에서 97%, BR에서 100% 그리고 Ser에서도 98%의 상당히 높은 homology를 지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남미와 북미에 자생하는 같은 mating allele type간에는 상당히 높은 비율의 염기서열 보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비록 다른 $A\alpha$ alleles간의 비교 이지만 다른 mating alleles간의 약 50% homology와 비교할 때 보다 상당히 높은 결과로 보인다. 특히 homeodomain motif의 비교에서 Y1을 비롯한 다른 mating allele gene과도 85% 이상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그 외 AR, BR, Ser 부위에서는 10~50%에 이르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겨드랑이막증후군을 가진 유방암 환자들의 도수림프배출법과 고주파 투열치료가 통증, 부피,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사례군 연구 (Effects of Manual Lymphatic Drainage and High Frequency Diathermy on Pain, Volume, Function of Upper Extremity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Axillary Web Syndrome : a Study of Five Case Reports)

  • 안수연;신원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28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manual lymphatic drainage (MLD) and high-frequency diathermy (HFD) to patients with axillary web syndrome (AWS), one of the side effects of breast cancer surgery, and to treat upper extremity pain, volum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joint range of motion; ROM,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t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eatment by checking the level change. Methods : This study is a case series. A total of 5 patients diagnosed with AW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stretching, MLD and HFD. It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or 4 weeks.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pain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volume, upper limb function (ROM, DASH) and quality of life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breast, EORTC QLQ-BR23) evaluation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All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and express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Results : The shoulder NPRS level of the subjects in all case groups decreased, the volume decreased and the shoulder flexion, abduction ROM increased. It showed improvement in DASH and quality of life, QLQ-BR23. Conclusion :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MLD and HFD treatments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pain, decreasing volume, increas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AWS. The possibility has been confirmed,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in the future.

생팥 및 삶은 팥의 열수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 Biological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Raw-Red Bean and Boiled-Red Bean (Phaseolus radiatus L.))

  • 정인창;이예슬;강동균;손호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51-459
    • /
    • 2015
  • 식품으로 사용되는 팥은 생팥이 아닌 증자팥을 사용하며, 고온의 열수로 삶은 후 제조된다. 본 연구에서는 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팥의 열수 추출물 및 팥을 삶은 후 증자액을 폐기하고 제조한 증자팥의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유용성분 및 항산화, 항균,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생팥 및 증자팥의 추출효율은 각각 16.2% 및 14.8%로 생팥이 1.1배 높았으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환원당 함량은 생팥이 증자팥보다 각각 2.5배, 2.1배 및 1.5배 높았다. 생팥의 DPPH 음이온 및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 결과, 증자팥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팥의 항산화 활성이 고온의 열수 삶기 과정 중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nitrite 소거능은 생팥보다 삶은 증자팥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항균 활성 평가결과, 생팥의 열수 추출물에서만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증자팥의 경우 항균 활성은 $500{\mu}g/disc$ 농도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in-vitro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과 항혈전 활성에 관련된 thrombin, prothrombin, coagulation factors에 대한 저해활성 평가 결과, 생팥의 비가열 추출물과는 달리, 생팥 및 증자팥의 열수 추출물은 전분분해 저해 및 항혈전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생팥 및 증자팥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이 비가열 에탄올 추출물보다 미약하며, 생팥의 유용활성이 증자팥에서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팥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제조 시 적합한 삶기 공정 및 팥 증자액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