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gill ne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Korea 4. Fishes Collected by Bottom Gill Nets)

  • 안용락;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86-694
    • /
    • 2003
  • Monthly fish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bottom gill nets and analyzed to study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Korea in 1998.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 fish species representing 30 families were collected. The fish assemblages predominantly consisted of Limanda yokohamae, which accounted for $53.3\%$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42.2\%$ in the biomass. The fish species, which had over 100 individuals, included Cynoglossus abbreviatus, Ditrema temmincki, Hexagrammos otakii, and Stephanolepis cirrhifer. These four species accounted for $24.1\%$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24.3\%$ of the biomass. More fish species were collected in May and June than in any other month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amount of biomass peaked in April and May and reached a low in August. While the predominance of L. yokohamae caus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by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the predominance of Platycephalus indicus caus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by biomass in July. Although gill nets show a strong selectivity for the target species or for size, gill net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ishing gear to collect fish in waters with rough bottoms, like rocky reefs, where other kinds of fishing gear such as trawls can not be used.

서해구 자원관리형 지망ㆍ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서해구 자망ㆍ통발어업의 현황과 주어획물의 체장분포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ill Nets and Trap Nets Fishing for the Resource Management at the Coastal Area of Yellow Sea -On the Present States of Gill Nets and Trap Nets Fishing and Body Length Distribution of Main Catch at the Coastal Area of Yellow Sea-)

  • 장호영;조봉곤;박종수;두성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1호
    • /
    • pp.50-55
    • /
    • 2003
  • 자원관리형 자망$.$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해구의 자망$.$통발어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서해구의 대표적인 어종 중의 하나인 민어를 어획대상으로 하는 민어 연안 유자망어업과 피뿔고둥을 주 어획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조업실태와 대상어종의 체장조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구의 연안어업 총 허가건수는 12,944건(조업건수 7,558건; 2001년 12월말 현재)이며, 그 중에서 자망어업이 5,154건(조업건수 3,724건)으로 39.8%, 통발어업이 1,025건(조업건수 662건)으로 7.6%를 차지하였으며, 서해구에서의 조업율은 연안 자망어업과 연안 통발어업이 각각 72.3%와 64.6%로서 타 업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 민어 유자망어업의 주어기는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이며, 주어장은 서해 남부 연안의 섬주변의 수심 약 15∼50m(주로 30m 이내)이고, 조업은 저질이 펄 또는 사니질인 해역에서 사리때를 전후하여 1일 1∼2회 1주일 정도 창조시 투망하여 1∼2시간 정도 어구가 조류에 표류하도록 한 후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민어 유자망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어획된 139마리의 체장 범위는 43.0∼120cm이고, 모우드(mode)는 85cm였으며, 꽃게$.$병어$.$가오리 등이 소량 혼획되었다. 4. 서해구에서의 피뿔고둥을 주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은 꽃게 어기(9월 초순∼10월 중순)를 제외한 시기에 연중 조업하며, 서해 연안의 수심이 10∼20m이고 저질이 사니질인 해역에서 보통 전날 투망하여 다음 날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기타 통발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조사기간 중 어획된 피뿔고둥 5,372마리의 갑장 범위는 4.5∼8.5cm이고, 모우드(mode)는 7.5cm였으며, 피뿔고등 91.7%, 배꼽고등 4.8%, 민꽃게$.$쥐노래미$.$조피볼락 등이 3.5% 정도 혼획되었다.

한국 동해안 명태어장에 분실된 폐어구수법에 관한 연구 (Recovery of Lost Fishing Gear in Alaska Pollack Fishing Ground of the East Coast in Korea)

  • 안영일;박진영;조현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1호
    • /
    • pp.9-17
    • /
    • 2001
  • 우리나라 동해안 명태어장의 어업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 1998년 6, 7월과 1999년 5, 7, 8월에 걸쳐서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사조묘로 수거 한 침체어구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1. 폐어구는 어업활동에 의해서 발생된 것으로 저자망과 통발의 2종류였다. 2. 폐어구의 무게는 저자강이 1,170 t,통발이 4 t 으로, 저자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3. 마일당 저자강의 수거량은 1998년 22.74 t에서 1999년 10.72 t 으로 12.02 t 감소 하였다. 4. 폐어구 수거율은 1998년 38.0%, 1999년 41.9%로 낮았고 CPUE는 1998년 11.27 t /회, 1999년 7.48 t /회이었다. 5. 사조묘에 의한 본 조사방법은 어장에서 발생한 침체어구의 수거에 유효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 PDF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27-33
    • /
    • 2015
  •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저층 삼중자망에 대한 동해안산 고무꺽정이 (Dasycottus setiger)의 망목 선택성 (Mesh selectivity of the bottom trammel net for spinyhead sculpin Dasycottus setiger in the eastern coastal sea of Korea)

  • 박창두;배재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17-326
    • /
    • 2017
  •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near Uljin, Korea from 2002 to 2004, using the experimental trammel nets to estimate the selectivity for spinyhead sculpin Dasycottus setiger. The inner panels of the nets were made of nylon monofilament with four mesh sizes (82.2, 89.4, 104.8, and 120.2 mm) while its two outer panels were made of twisted nylon multifilament with a mesh size of 510 mm.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procedure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to obtain a master selection curve. The different functional models (normal, lognormal, bi-normal, and logistic model) were fitted to the catch data. The lognormal model with the fixed relative fishing intensity was chosen as the best-fitted selection curve through comparison of model deviance and AIC (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The optimum relative length (the ratio of fish total length to mesh size) with the maximum relative efficiency was obtained as 2.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