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rytis elliptic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백합 잎마름병에 관여하는 Botrytis elliptica와 Botrytis cinerea의 형태적, 분자적 특성과 병원성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Botrytis elliptica and Botrytis cinerea Associated with Leaf Blight of Lily)

  • 김원기;박명수;함수상;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8-75
    • /
    • 2007
  • 본 연구는 백합 잎마름병에 관여하는 B. elliptica와 B. cinerea의 형태적,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고,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석을 하며 병원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국, 일본, 네덜란드의 주요 백합 재배지역에서 잎마름병에 걸린 백합으로부터 79개의 Botrytis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생자경과 분생포자의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Botrytis 균들은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B. elliptica와 B. cinerea로 동정되었다. 균사생장 속도는 B. cinerea가 B. elliptica에 비해 빨랐으며 이러한 형태적, 배양적 특성에 기초하여 79개의 균주 중 54균주(68%)가 B. elliptica로, 25균주(32%)가 B. cinerea로 동정되었다. RPB2와 HSP60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공시균주는 두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은 형태적으로 동정한 그룹과 일치하였다. 포자 현탁액을 이용한 B. elliptica와 B. cinerea의 병원성 검정 결과 B. elliptica 균주들은 백합 잎과 꽃잎 모두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 cinerea 분생포자 현탁액은 꽃잎에만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PDB가 첨가된 포자현탁액을 접종원으로 사용했을 때에만 백합 잎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Gray Mold of Day Lily (Hemerocallis fulva L.) Caused by Botrytis elliptica in Korea

  • Chang, Seog-Won;Kim, Sung-Kee;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305-307
    • /
    • 2001
  • In March 2000, gray mold was found on day lily (Hemerocallis fulva L.) in Korea. Among the symptoms observed was blight or early rot with chlorotic halo of the leaves. All the isolates obtained from the lesions of the diseased plant parts were identified as Botrytis elliptic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idia. Conidia that formed on conidiogenous cells were not in chains, hyaline to pale brown, unicellular, ellipsoidal to obovate with a single hilum at the base, entirely verruculose, and 21-31 x 12-$23\mu\textrm{m}$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establish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n day lily plant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gray mold on day lily caused by B. elliptica in Korea.

  • PDF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백합(百合)잎마름병(病) (Botrytis Blight of Lilium spp. caused by Botrytis elliptica(Berk.) Cooke in Korea)

  • 유승헌;김홍기;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26
    • /
    • 1988
  • 1987년(年) 대전(大田) 근교(近郊)의 vinyl house에서 재배중(栽培中)인 백합(百合)(Lilium spp.)에서 Botryis elliptica에 의한 잎마름병(病)이 국내(國內)에서 최초(最初)로 발견(發見)되었다. 본(本) 병(病)의 초기(初期) 병징(病徵)은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갈색(褐色) 점(點)무늬로서 점차 확대(擴大)되어 잎마름 증상(症狀)을 나타내었고 발병(發病)이 심(甚)하면 식물체(植物體) 전체(全體)가 갈변(褐變)하고 고사(枯死)되었다. 병원성(病原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본(本) 병원균(病原菌)은 백합(百合)에만 병원성(病原性)이 있었고 고추, 토마토, 인삼, 양파, 파에는 병원성(病原性)이 없었다. 본(本) 병(病)은 국내(國內) 미기록병(未紀錄病)으로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백합(百合) 잎마름병(病)(엽고병(葉枯病))으로 명명(命名)하고자 한다.

  • PDF

살균제 저항성 백합 잎마름병균(Botrytis elliptica)의 발생과 변화 (Occurrence and Changes of Botrytis elliptica resistant to fungicides)

  • 김병섭;전환홍;황영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7
    • /
    • 2001
  • 강원도 고랭지의 백합 재배 농가로부터 1998년부터 2000년에 걸쳐 516균주의 Botrytis elliptica를 분리하여 주요 방제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분리한 균주들 가운데 benomyl, procymidone, diethofencarb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균주의 출현율은 각각 90.1, 32.3, 40.9%로 높게 나타나 약제 저항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의 benzimidazole계, dicarboximide계, N-phenylcarbamate계에 대한 감수성(S) 및 저항성(R) 반응은 6그룹(RSS, RRS, SSR, SRR, RSR, RRR)으로 나누어졌다. 6개 반응형 각각의 분리 빈도는 40.7, 8.5, 7.2, 2.7, 19.8, 21.1%로 나타났다. 이 중 carbendazim에만 저항성인 RSS형이 40.7%로 가장 놀게 나타났고, Procymidone과 diethofencarb에 저항성인 SRR형은 2.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약제 반응형은 월동기를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반응형과 감소하는 반응형이 있는데 이는 이들 균 자체 적응력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적응력이 높은 약제 반응형은 RSS, SSR형으로 나타났으며, 적응력이 낮은 약제 반응형은 SRR, RSR, RRR형으로 나타났고 RRS형은 큰 변동이 없었다.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저항성균의 방제를 위하여 1998년 봄부터 benzimidazole계와 N-phenylcarbamate계의 합제 사용으로 효과는 얻고 있으나, 이 두 계열의 약제에 대한 다중 저항성균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점차 약효가 감소하고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백합 잎마름병균(Botrytis elliptica)의 방제 위하여 살균제 사용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Ulocladium atrum을 이용한 백합 잎마름병 및 오이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Leaf Blight of Lily and Botrytis Gray Mold of Cucumber by Ulocladium atrum)

  • 이남영;권은미;김진철;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19-323
    • /
    • 2004
  • 본 연구는 부생성 균류인 Ulocladium atrum을 이용하여 Botrytis spp.에 의한 백합 잎마름병 및 오이 잿빛곰팡이병의 방제효과를 조사하고 그 작용특성을 규명함으로서 U. atrum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토마토 잎의 표면과 조직 속에서 분리한 Ulocladium sp. CNU 9037과 CNU 9054 균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U. atrum로 동정되었으며 이것이 U. atrum의 국내 최초의 보고이다. 토마토 및 오이의 고사된 잎을 이용하여 U. atrum의 Botrytis spp. 포자형성억제력을 실내검정으로 조사하였던 바, U. atrum은 고사된 잎 절편에서 Botrytis의 포자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Botrytis의 포자형성억제력은 U. atrum을 Botrytis보다 먼저 처리했을 경우 효과가 높았다. 백합 잎마름병 방제를 위한 포장(온실)실험 결과 U. atrum CNU 9037 균주의 포자현탁액 처리는 백합 잎마름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방제가는 70%, 77%로 procymidone 약제 처리구의 방제가(58%)보다 우수하였다. U. atrum(CNU 9037, CNU 9054) 포자현탁액처리는 오이 잿빛곰팡이병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방제가는 66${\sim}$71%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U. atrum 균주가 오이, 백합의 Botrytis병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나리에서 분리한 잎마름병균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와 포장 방제 (Changes in Sensitivity Levels of Botrytis spp. Population Isolated from Lily to Fungicides and Control under Field Condition)

  • 함수상;경기천;김병련;한광섭;최종진;남윤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7-11
    • /
    • 2013
  • 국내 나리 주산단지에서 분리한 Botrytis elliptica 48개 균주와 Botrytis cinerea 23개 균주를 대상으로 농가포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에 대한 약제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살균제 benomyl과 mancozeb에 대한 $EC_{50}$ 값은 $500-1,000{\mu}g/ml$로 시험에 사용된 모든 약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약제들은 나리재배 포장에서 잎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나리 재배농가에서 잎마름병 방제약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carboximide계 procymidone 살균제와 iprodione 살균제의 경우, $EC_{50}$$5-50{\mu}g/ml$은 각각 93.7%와 100%이었고,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와 fludioxonil 살균제의 $EC_{50}$$0-0.1{\mu}g/ml$ 범위는 각각 98.0%와 93.8%이었다. 한편, 비가림 포장 재배에서의 잎마름병 방제 효과는 발병 직후 iprodione 약제,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 fludioxonil 약제를 교호적으로 4회 살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백합(百合) 잎마름병균(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및 균핵형성(菌核形成)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Mycerial Growth, Sporulation and Sclerotial Formation of Botrytis elliptica (Berk.) Cooke)

  • 박종성;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9-14
    • /
    • 1988
  • 백합(百合) 잎마름병균(病菌)(Botrytis elliptica)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및 균핵형성(菌核形成)에 미치는 주요(主要)한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 elliptica는 V-8 juice agar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NUV light 조사시(照射時) 다른 배지(培地)에 비해 분생포자(分生胞子)의 형성(形成)도 빨랐고 형성량(形成量)도 많았으며 3일간(日間) $23^{\circ}C$에 배양(培養)한 후 NUV light를 조사(照射)하면 보다 다량(多量)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얻을 수 있었다. 2. 균(菌)의 생장(生長) 및 포자발아적온(胞子發芽適溫)은 $23^{\circ}C$였으며 고온(高溫)보다는 $19{\sim}23^{\circ}C$의 비교적(比較的) 저온(低溫)에서 균(菌)의 생장(生長)이 빨랐다. 3. pH 4.5~5.0에서 균(菌)의 생육(生育)이 좋았으나 pH가 높아질수록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4. 광(光)은 균사(菌絲)의 생육(生育)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포자(胞子)의 형성(形成)에는 광(光)의 종류(種類)가 매우 크게 작용(作用)하여 NUV light 조사(照射)에 의(依)해서만 분생포자(分生胞子)가 형성(形成)되었다. 균핵(菌核)은 $19^{\circ}C$이하(以下)의 배양(培養)에서만 형성(形成)되었다.

  • PDF

감마선 및 화학 대체제 융복합 처리가 백합 잎마름병균 및 잎 절편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Its Convergent Treatments on Lily Leaf Blight Pathogen, Botrytis elliptica, and the Disease Development)

  • 김지훈;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71-78
    • /
    • 2014
  • 감마선과 융복합 처리를 위한 은나노 입자(NA, NSS), 이염화이소시안산나트륨(NaDCC) 등의 화학대체제를 이용하여 백합잎마름병의 원인균인 Botrytis elliptica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 억제와 동시에 백합 잎 절편에서 발병 과정 중 방제를 연구하였다. 발병과정에서 감마선 융복합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곰팡이 침입을 인위적으로 도와주는 상처접종과 병원균 스스로 침입을 하는 분무접종 두 가지를 실시하였다. 병원균 곰팡이 포자 발아를 90%까지 억제시킬 수 있는 감마선 선량인 $D_{10}$은 526 Gy였다. 2000 Gy까지 감마선 선량을 병원균 균사에 조사한 후, 16, 19, 22, 25, $28^{\circ}C$에서 배양한 결과 곰팡이 균사는 가장 높았던 2000 Gy에서도 죽지 않고 생장이 약 1-2일 지연되었을 뿐이었다. 백합 잎마름병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1-2 kGy의 감마선 처리는 절화백합에서 부작용이 보일만큼 너무 높기 때문에 감마선은 200 Gy로 조사하고 다른 화학대체제들과의 융복합 처리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다양한 화학대체제들의 융복합 처리 농도를 $40{\mu}g/l$로 맞춘 이유는 화학제만으로 병원균을 완전히 죽이지 않으면서 감마선의 살균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었다. 병원균 포자 발아 융복합 실험에서 $40{\mu}g/l$의 NaDCC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포자발아를 1000배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감마선만 처리한 실험에서 방제가는 상처접종에서 23%, 분무접종에서 19.5%로 기대만큼 높지 않았다. 상처접종에서 감마선 처리하지 않은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89%였던 반면, NaDCC와 200 Gy 융복합 처리는 32%에 불과하였다. 자연상태에 더 가까운 분무접종 실험에서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50%, NaDCC와 200 Gy의 감마선 융복합 처리 방제가는 24%였다.

Identification of an Antifungal Chitinase from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Bacillus cereus 28-9

  • Huang, Chien-Jui;Wang, Tang-Kai;Chung, Shu-Chun;Chen, Chao-Ying
    • BMB Reports
    • /
    • 제38권1호
    • /
    • pp.82-88
    • /
    • 2005
  • Bacillus cereus 28-9 is a chitinolytic bacterium isolated from lily plant in Taiwan. This bacterium exhibited biocontrol potential on Botrytis leaf blight of lily as demonstrated by a detached leaf assay and dual culture assay. At least two chitinases (ChiCW and ChiCH) were excreted by B. cereus 28-9. The ChiCW-encoding gene was cloned and moderate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DH5$\alpha$. Near homogenous ChiCW was obtained from the periplasmic fraction of E. coli cells harboring chiCW by a purification procedure. An in vitro assay showed that the purified ChiCW had inhibitory activity on conidial germination of Botrytis elliptica, a major fungal pathogen of lily leaf blight.

Controlling Botrytis elliptica Leaf Blight on Hybrid Lil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nvergent Chemical X-ray Irradiation

  • Hong, Sung-Jun;Koo, Tae-Hoon;Yun, Sung-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77-84
    • /
    • 2016
  • X-ray irradiation with convergent chemicals such as nano-silver particles or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has been used to control leaf blight on cut lilies. The oriental hybrid lily cultivars Siberia, Le Reve, and Sorbonne were irradiated five times by 200 Gy of X-rays in 2014. In 2015, Siberia and Sorbonne were irradiated three times by 150 Gy of X-rays. After artificial infection with Botrytis elliptica on the leaves and petals of cut lilies, this study used convergent chemical X-ray irradiation of 200 Gy or 150 Gy. Leaf and petal blight was measured in terms of incidence and severity at 8 days after infection using total 552 cuttings.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atments of X-ray irradiation and NaDCC in 2014 and 2015 slightly decreased the severity of petal blight on Siberia and Sorbonne.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significant and severity did not decrease as NaDCC concentration increased. Vase-life was observed separately after X-ray irradiation of 270 cut lilies in 2014 and 108 cut lilies in 2015. Chlorophyll content was not affected by either 200 Gy or 150 Gy of X-rays. The number of days of fully opened flowers at Siberia of 150 Gy and Le Revu of 200 Gy increased by 1-2 days. In addition, the relative fresh weights of the X-rayed flowers were 10% drier than the non-irradiated controls. Overall, leaf blight control by X-ray was inferior to the control by gamma rays, and petal color was bleached in Sorbonne and Le Reve cvs. by 150 Gy of X-r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