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nyl acetat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 윤미선;조해미;연보람;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전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와 유효성분의 시너지효과 평가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전나무 정유의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과 같은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구명하고 피부염 치료제로서의 전나무 정유의 잠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나무 정유와 분획물, 유효성분의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한천희석법, paper disc 확산법, TEM을 이용한 세포 변화 관찰 등을 통해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고, 주성분은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성분들의 시너지효과는 체커보드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물질은 ${\alpha}$-bisabolol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 G4였으며 다른 분획 보다 뛰어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체커보드법을 통해 ${\alpha}$-bisabolol과 bornyl acetate를 병용시 뛰어난시너지 효과를 나타냈고 세포 변화 관찰을 통해 분획 G4에 노출된 E. floccosum과 T. rubrum 균사는 정상세포와 달리 세포막과 세포소기관이 파괴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전나무 정유와 그 구성성분들은 높은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염 치료제의 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되며, 특히 ${\alpha}$-bisabolol의 우수한 항진균 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소나무 잎과 가지의 정유와 그 성분들의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and Twigs)

  • 김연정;조봉재;고명수;정재민;김희래;송호선;이지윤;심상수;김창종
    • 약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15-225
    • /
    • 2010
  • To investigate effects of pine essential oil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Pinus densiflora needles (PN) and twigs (PT) on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BT/xanthine oxidase-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silica-induced intracellular $H_2O_2$ and hydroxyl radical generation in RAW264.7 cells, hyaluronidase and elastase activities in vitro. Essential oil of PN and PT were contained 0.225 and 0.176 (w/v) %, respectively. PN was contained with 30 kinds of essential oil and its major constituent is $\alpha$-pinene (21.5%). Further PT was contained with 40 kinds of essential oil and its major constituent is $\beta$-pinene (22.4%) in GC/MS assay. Other essential oils of PN were $\beta$-pinene, camphene, myrcene, limonene, terpinolene, $\alpha$-terpineol, bornyl acetate, $\alpha$-copaene, caryophellene and humulene and PT were $\alpha$-pinene, camphene, phellandrene, limonene, terpinolene, $\alpha$-terpineol, bornyl acetate, $\alpha$-copaene, caryophellene and humulene. The essential oil of PT have more active than that of PN in anti-oxidant activity which has significant DPPH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ies on silica-induced intracellular $H_2O_2$ and hydroxyl radical generation, as well as, significantly inhibited elastase and hyaluronidase activities. Further, phellandrene, myrcene and $\alpha$-pinene have DPPH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beta$-pinene, terpinolene, myrcene and phellandrene inhibited silica-induced intracellular $H_2O_2$ and hydroxyl radical generations. And also phellandrene and $\beta$-pinene inhibited hyaluronidase and elastase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PN and PT hav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피부사상균 균사의 형태학적 변화를 통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활성 효과 구명 (Evaluation on Anti-Dermatophyte Effect of Larix (kaempferi) Essential Oil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ermatophyte Fungal Hyphae)

  • 김선홍;이수연;홍창영;장수경;이성숙;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47-257
    • /
    • 2013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고, 항진균 유효성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에 노출된 피부사상균의 균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를 균사의 형태학적 변화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주성분은 (-)-bornyl acetate였으며, MIC는 모든 균에 대해 125 ppm을 나타냈다. 한천희석법을 통한 항진균 활성 평가에서는 모든 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100%의 활성, 100 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냈다. SEM과 TEM을 통해 균사를 관찰한 결과, 일본잎갈나무 정유에 노출된 E. floccosum은 정상세포와 다른 균사 형태가 관찰되었다. 팡이실 모양의 격막을 갖고 있는 곧고 매끈한 표면의 정상세포와는 달리, 처리구에서는 균사 표면에 주름이 있었으며 균사가 터지거나 접히고 부풀어 오른 것, 세포소기관과 세포벽이 붕괴된 것도 관찰되었다. 분획을 통해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유효성분을 확인한 결과, (-)-${\tau}$-muurolol, (+)-terpinen-4-ol, ${\alpha}$-terpineol, ${\alpha}$-cadinol 등의 terpene alcohol 화합물이었다.

광릉쥐오줌풀의 정유향 특성 (Odor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Oil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이종철;김영회;김근수;안대진;한옥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7
    • /
    • 1996
  •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 조성 및 정유의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을 산성, 페놀성, 염기성 및 중성성분 분획으로 분리하여 분획별 향의 관능평가 및 분획물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분획물 각각의 조성은 중성성분 분획물 92%, 산성성분 분획물 6%, 염기성성분 및 페놀분획물은 각각 1% 미만이며 각 분획물의 향특성은 중성성분 분획은 sweet-balsamic, woody, musky, medicinal 향이며 산성성분 분획은 sweat-socks, valeric-like, cheese-like 향이었다. 2. 중성성분분획물을 용매의 극성을 달리하여 분획한 결과 용출 용매별 분획 비율은 ethyl ether분획물이 44%, pentane : ethyl ether분획물 34%, pentane과 methanol분획물은 각각 11%였다. 분획별 향 특성은 ethyl ether 분획물은 woody, medicinal 향이며 pentane :. ethyl ether 분획물은 sweet-balsamic, woody, herb-like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극성을 달리한 용출용매별 분획물에서 확인된 성분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valeranone 등 12종, pentane : ethyl ether(9 : 1) 분획물에서는 bornyl acetate등 26종, pentane 분획물에서 camphene등 43종을 확인하였다. 3. 산성성분분획에서는 n-butanoic acid 외 44종을 확인하였고 그 중 양적으로 많은 성분은 3-methyl butanoic acid 42.1%, dimethoxy-2-propanoic acid 11.5%, 5-ethyldihydro-2H-furanone 5.7% 등 이었다.

  • PDF

돼지풀 잎의 휘발성 물질이 수용체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Volatile Compounds from Ambrosia artemisiifolia Leaves on the Selected Species)

  • 김해수;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61-66
    • /
    • 2001
  • 돼지풀 잎에서 검정된 monoterpenoids는 약 29종이었고, 그 가운데 octene, $\alpha$-ponene, $\beta$-myrcene, 1.3.6-octatrine, endo-borneol, (-)-bomyl acetate의 함량이 높다. Monoterenoids 총 함량은 초봄부터 점차 증가하여 7월에 가장 높았고 그후 감소하였다. 돼지풀 잎에 함유된 휘발성물질은 수용체 유식물의 뿌리와 줄기 생장에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엽량의 증가에 따라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에 따른 억제효과 차이의 유의성은 대부분이 P<0.05 수준이었다. 억제효과는 처리식물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돼지풀 생엽의 채취시기에 따른 유식물 생장 억제효과의 경향성은 대부분의 처리식물에서 7월>6월$\geq$5월 순 이었다.

  • PDF

침엽수 잎으로부터 효율적인 정유 추출법 탐색 및 정유성분 분석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Softwood leaves)

  • 양재경;강병국;김태홍;홍성철;서원택;최명석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57-364
    • /
    • 2002
  • 편백나무와 화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시료전처리, 물과 잎의 혼합비, 추출시간, 채취시기 등 정유 추출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조성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정유추출에 적합한 전처리법으로는 믹서기로 잎을 분쇄하는 방법이 좋았으며, 증류수와 잎의 혼합비율은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증류수 1 L당 100 g의 잎을 혼합하였을 때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정유추출시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추출효율은 증가하였지만 탄화향이 심해 5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정유수율은 편백나무는 겨울이 4.5%, 화백나무는 가을에 채취한 시료가 5.3%의 높은 수율을 보였다. 편백나무정유와 화백나무정유 조성분은 차이를 보였으며,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다. 편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limonene, terpinene-4-ol, ${\gamma}$-selinene 및 $\alpha$-cedrene였으며, 화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bomyl acetate, $\beta$-caryophyllene, longifolene 및 $\beta$-cedrene이었다.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임성임;배정은;최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68-773
    • /
    • 2006
  •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ones of Pinus koraiensis

  • Lee, Jeong-Ho;Yang, Hye-Young;Lee, Hong-Sub;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97-502
    • /
    • 2008
  •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was prepared after removing the seed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ydrodistillation of the P. koraiensis cones yielded 1.07% (v/w) of essential oil, which was almost three time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needles of the same plant. Moreov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oil against the growth of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sc diffusion method and broth microdilution method. Eighty-seven components, comprising about 96.8% of the total oil, were identified. The most abundant oil components were limonene (27.90%), ${\alpha}$-pinene (23.89%), ${\beta}$-pinene (12.02%), 3-carene(4.95%), ${\beta}$-myrcene (4.53%), isolongifolene (3.35%), (-)-bornyl acetate (2.02%), caryophyllene (1.71%), and camphene (1.54%). The essential oil was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especially against pathogenic fungal strains such as Candida glabrata YFCC 062 and Cryptococcus neoformans B 42419.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nontox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disinfectant.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Abies holophylla and Abies koreana

  • Lee, Jeong-Ho;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372-377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Abies holophylla and A. koreana were investigated. GC-MS analysis revealed that 38 compounds comprised 95.88% of the A. holophylla essential oil, with the main components being bicyclo[2.2.1]heptan-2-ol(28.05%), ${\delta}3$-carene(13.85%), $\alpha$-pinene(11.68%), camphene(10.41%), dl-limonene(7.61%), $\beta$-myrcene(7.11%), trans-caryophyllene(5.36%), and $\alpha$-bisabolol(3.67%). In the essential oil from A. koreana, 36 compounds comprised 98.67% of the oil, and the main compounds were bornyl ester(41.79%), camphene(15.31%), $\alpha$-pinene(11.19%), dl-limonene(8.58%), fenchyl acetate(5.55%), and $\alpha$-terpinene(2.29%). Both essential oils showed great potential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everal bacteria tested, in the range of 2.2-$8.8{\mu}g$ per disc by the agar disc diffusion method, an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s of 5.5-21.8 mg/ml by the microdilution method. Both oils showed very effective antifungal activities toward all pathogenic strains tested, including Candida glabrata, with MIC values in the range of 0.5-2.2 mg/ml. As a whole, A. koreana oil showed bette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than A. holophylla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