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aesthetics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창덕궁 희정당(熙政堂) 창살문양을 활용한 신한복 코트 디자인 개발 (A Development of Shinhanbok Coat Design Using Lattice Window Pattern of Huijeongdang, Changdeokgung Palace)

  • 홍수진;김은정;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3호
    • /
    • pp.121-137
    • /
    • 2020
  • This thesis makes it an aim to develop designs of Shinhanbok coats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formative structure of the lattice window pattern in Huijeongdang of the Changdeokgung palace, one of the best architecture in Chosun dynasty. Literature review about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ow of Huijeongdang of the Changdeokgung palace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papers, and the examples of the fashion design applying the lattice window patterns were analyzed. Then, three style Shinhanbok coats were designed and presented with making use of 6 kind of lattice window patterns as its motif. The coats were designed in flexible size, attempting to clad any kind of body size and shapes. Design 1 drawn from Wanjasal, Tisal, Design 2 drawn from Ajasal, Yongjasal, Tisal, design 3 drawn from Bitsal, Jungjasal. In conclusion, lattice window patterns of the traditional beauty highlighted in view of modern times might be suggested as the motif for expressing the proportion with balance and rhythm with stability. The division of the space with the line was tried with the technique of the bias cutting, stitching and taping with the design of simplicity signified in the aesthetics of the vacant space in addition to its ornamental effects. Thus, this study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ty of the Shinhanbok outlined in modern application and unique taste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lattice window pattern of Korea.

90년대 후반 생활한복의 혁신특성과 채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Adoption of Casual Hanbok in the late of 1990s)

  • 최은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1093-1104
    • /
    • 2002
  • In this study, the diffusion phenomenon of casual Hanbok which started in the mid 1990s and has been widely spread ever since with innovative features in design, materials, etc., was reviewed. Through the interviews of 45 People who have worn casual Hanbok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asual Hanbok related to its innovative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482 adults living in Seoul, Busan, and Darje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adoption of casual Hanbok were examin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study. First the adoption of contemporary casual Hanbok is due to the consumers′ positive response to the excellence of casual Hanbok′s various innovative characteristics. What the consumers perceived as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casual Hanbok in the survey results validated the findings of the depth interview, identifying seven subcategories of the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casual Hanbok; aesthetics, positive training effect on body and mind, difficulty in we, practicality, psychological attachment for "Our Clothes", economic efficiency, and symbolic compatibility. And consumers who think highly of such spiritual and identity values as national consciousness, nature affili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high evaluation to casual Hanbok However, consumers′ prejudice against Hanbok that Hanbok is for old people, uncomfortable, and not suitable to modern life, tuned out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doption.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asual Hanbok of the late 1990s is a fashion with innovati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one in the l980s worn by the demonstrators of popular movements and democratic movements, and it emerged as a new symbo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movement lik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nature affiliation.

존 러스킨의 미학에서 '본다는 것'의 의미 (The Meaning of Seeing in John Ruskin's Aesthetics)

  • 임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03-308
    • /
    • 2021
  • 본고는 존 러스킨의 미학이론에서 '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논한다. 러스킨에게 '본다는 것'은 도덕적 통찰력을 규정하는 핵심적 열쇠이다. 그렇기에 러스킨의 도덕적 사유에서 '보기'의 배움과 자연에서의 '보기'의 기쁨이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현대 화가들』을 비롯하여 「할키온 이야기」, 「빛의 과학에 관하여」, 『프로세르피나』, 『프레테리타』 등 러스킨의 주요 강연과 텍스트들을 분석한다. 본론의 제1절에서는 러스킨의 도덕적 생태학의 구성요소인 기쁨, 사상, 보기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고, 이어서 제2절에서는 인간 존재의 도덕적 지각으로서의 보기 개념이 형성되는 이론적 논리를 추적한다. 그리고 제3절에서는 자연과 신의 신비를 향한 배움으로서의 보기 개념을 이루는 보기의 방식과 기쁨의 미적 체험 사이의 조응을 논증한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 과정에 따라, 마지막으로 본고는 존 러스킨의 '본다는 것'은 인간-자연-신의 위계적 구성의 우주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지각의 발전과 상응하는 생태적 감수성의 형성 요소임을 주장한다.

Surgical Management of Pachyonychia Congenita in a 3-Year-Old

  • Jack D. Sudduth;Christopher Clinker;Matthew Holdaway;Jessica L. Marquez;Jacob Veith;Thomas Wright;W. Bradford Rockwel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573-577
    • /
    • 2023
  • Pachyonychia congenita is a rare genetic disorder characterized by hypertrophic nail plates, hyperkeratotic nail beds, and thickened hyponychium of the fingers and toes, impairing manual dexterity and resulting in poor aesthetics. The current body of literature describes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but no singular approach has been defined as the gold standard. In this case, the authors employed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for treating pachyonychia congenita to evaluat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A 3-year-old boy presented with hypertrophic nail growth involving all digits of both hands and feet. Three surgical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the patient's fingers and toes using germinal matrix excision (GME) alone, GME plus partial sterile matrix excision (pSME), or GME plus complete sterile matrix excision (cSME). The digits treated with GME + cSME exhibited no recurrence of nail growth. Those treated with GME alone exhibited recurrence of hypertrophic nail growth, although their growth slowed. Excision of GME + cSME prevented recurrence of hypertrophic nails, while GME alone or with pSME led to slower-growing hypertrophic nails. Complete excision of the germinal and sterile matrices with skin graft closure may be a definitive treatment for pachyonychia congenita,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증강 현실 디지털 패션의 디자인 특성 (Design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Digital Fashion)

  • 김은정;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4호
    • /
    • pp.1-20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mporary sociocultural phenomena and values through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AR) digital fashion design.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metaverse and augmented reality, combined with a case study using bot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big data text mining an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constant comparis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ython-based open-source tools: First, 6,725 data entries were collected from AR digital fashion platforms and brands identified in articles from Vogue and Vogue Business containing keywords of 'augmented reality' and 'digital fashion. Second, text preprocessing involved stop word removal, tokenization, and POS-tagging of nouns and adjectives using the NLTK library. Third, top 50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rm frequency (TF) and TF-IDF analysis, with results visualized using a word cloud. Fourth, characteristics of products' external design and internal concepts that contained top keywords were classified, with their value examined through repeated comparison. Results indicate that AR digital fashion desig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embodies surreal fantasy through designs that mimic natural biological patterns using 3D scanning and modeling technology. Second, it presents a trans-boundary aspect by utilizing the fluidity of body and space to challenge vertical and discriminatory social structures. Third, it imagines a new future transcending traditional sociocultural concepts by expanding perceptions of space and time based on advanced technological aesthetics. Fourth, it contributes to sustainability by exploring alternatives for the fashion industr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oncerns.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과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遍照院) (Japanese Buddhist Sculptures of Daehyusa Temple(大休寺) in Gimcheon(金泉) Enshrined in the Henjoin Temple(遍照院) in Daegu(大邱)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배재호
    • 미술자료
    • /
    • 제101권
    • /
    • pp.48-65
    • /
    • 2022
  • 경상북도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10년경에 일본 신의진언종지산파(新義眞言宗智山派)가 대구에 설치한 별원(別院), 즉 대구 편조원(遍照院) 본당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들 존상 중 목조홍법대사좌상(木造弘法大師坐像)은 일본 진언종을 개창한 고보다이시 쿠카이(弘法大師 空海, 774-835)의 모습이며, 목조대일여래좌상(木造大日如來坐像)과 목조부동명왕좌상(木造不動明王坐像)은 진언종의 불교 사상과 신앙을 대표하는 존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은 대부분 마애상이나 석조상으로, 대휴사의 존상들은 당시 일본 사찰에 봉안된 나무로 만든 일본 불교 존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 이들 불교 존상은 조형적으로는 근대적인 미감을 갖추고 있지만, 그 도상적인 연원은 헤이안(平安)시대(794-118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즉 대일여래상은 신의진언종을 개창한 고교다이시 가쿠반(興敎大師 覺鑁, 1095-1143)이 만든 대일여래상의 신앙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홍법대사상은 고보다이시 쿠카이의 제자였던 신뇨신노(眞如親王)가 그린 신뇨신노 스타일[樣]을 따르고 있고, 부동명왕상은 겐죠(玄祖) 스타일의 십구관(十九觀) 부동명왕상을 답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에 봉안되었던 당시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지만, 이들 존상은 신의진언종의 삼륜신상(三輪身像)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이 각각 자성륜신(自性輪身), 정법륜신(正法輪身), 교령륜신(敎令輪身)의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50년대 전반의 실달사(悉達寺)(대구 편조원의 후신)의 상황이긴 하지만, 그 전신인 일제강점기의 대구 편조원에서 고보다이시 신앙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었음을 추측하게 하는 본당 내부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달사 본당에 놓여 있던 유골들은 11세기 이후 고보다이시 신앙과 함께 유행했던 고야산(高野山)의 납골(納骨) 신앙의 전통을 보여 준다.

우리나라 성인여성(成人女性)의 브래지어 구매실태(購買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urchashing Condition of Brassiere for Korean Women)

  • 김영숙;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3호
    • /
    • pp.27-3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the basic data useful to the effectiv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the brassiere befitting adult women's body shapes and preferences, and thereby, help them improve their apparel life. For this purpose, 563 Korean adult women aged between 20-59 were sampled to survey their practices of purchasing the brassieres and positively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s and thereupon,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by age group. Data is processed by a computer(SAS)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ANOVA, Duncan-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dult women tend to use such mass media as TV, magazines, catalogues and DM to decide for themselves which brassiere befits them most, and to check the brand-name(78.8%) or the sizes(93.4%), but more than 90% of them purchase their brassieres without trying on them. 2. The places of purchasing on which adult women rely most for their brassiere are department stores(32.6%), agencies(26.1%) and discount or pension shops(25.4%), while more than 90% of the sample women often visit bargain sale shops. The average number of brassieres possessed by our adult women is 5.7, and an adult women buys 2.6 brassiere costing 10-30 thousand wons a year on average and consumes a brassiere for the period from 6 months to 2 years. 3. It had been disclosed that the brand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Venus(56.2%), followed by Vivien (17.6%), Wacoal(6.8%), Amie(2.5%) and Body Guard(2.3%).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popularity of brands are fitting condition(40.3%) and design(23.8%), which suggests that consumers appreciat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ffecting our women's choice of brassiere is size(64.4%), followed by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brassiere style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a wire-type 3/4 cup brassiere made of thin material with sewing lines, while the most favorite color is white. In all, it has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adult women's practices of buying their brassieres differ by age group, which may well suggest that brassiere production need to take such age-wise practices into consideration in setting up their brassiere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 PDF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 조선백자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 Chos$\breve{o}$n Whiteware)

  • 고경신;주웅길;안상두;이영은;김규호;이연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74
    • /
    • 2011
  • 조선백자에 사용된 재료들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주관요, 충효동과 다른 4곳의 지방가마에서 출토된 도편들의 태토와 유약의 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조선초기의 백자기술은 고려의 청자기술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명대의 백자기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광주관요에서 사용한 태토원료는 청자에 사용되었던 도석과 같은데, 다만 철산화물과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칼륨산화물의 함량이 높다. 한국과 중국 남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이러한 원료로 중국의 경질백자와 같은 좋은 질의 백자를 개발할 수 있었다. 반면, 충효동에서는 중국 북부의 요지들에서 사용되었던 고령토를 발견하고 사용함으로써 질이 좋은 경질백자를 개발하였다. 유약에 사용된 용융재는 대체로 석회석이며, 처음에는 태워서 사용하였으나, 점점 빻아서 사용되는 경향이 증가하였다. 유약을 만들 때 용융재와 혼합하는 점토는 글래이즈 스톤이라고 불리는 기본적으로 도석과 같은 광물이다. 태토를 만들 때 사용하는 도석보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더 곱고, 장석함량이 더 높다. 이 논문의 조선백자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연구와 비교는 최근에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18~19세기의 가마터에도 넓혀져야 할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연지(蓮池)로 본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양의 생태미학과 상징성 (An Ecological Aesthetics and Symbolism of the Seonghyelsa Nahanjeon Floral Lattice with Patterns of Lotus Pond Scenery)

  • 노재현;이다영;최승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0-171
    • /
    • 2018
  • 꽃창살은 사찰경관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이며 조망시점이 외부에서 형성되는 장식적 경관요소라는 인식 아래, 경북 영주시 성혈사 나한전의 꽃창살에 표현된 연지의 생태미학적 특성과 도입된 소재의 상징성을 분석 해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한전 정칸 창호에는 사각형 2개가 연속된 문틀 등 비목재 부분을 제외하고 총 176개의 순수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그 중 중문 어칸(御間) 문살의 기본 개념은 전통정원에서 방지(方池)를 상징하는 연지의 설계언어로 판단된다. 창살 어칸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식물인 연꽃은 '청정(淸淨)'과 '불염(不染)' 그리고 불교의 극락세계인 연화장세계로 인식되며 꽃창살에 묘사된 연꽃은 생성소멸의 특징을 담은 다채로운 형태로 펼쳐져 있어 불연일체(佛蓮一體)의 경관상(景觀像)이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네가래와 벗풀은 실제 연못 주변에서 발견되는 수생식물로 생태적 측면에서도 연지의 수생태계와도 부합되는 사실적 표현일 뿐 아니라 물총새, 백로, 왜가리 등 날짐승의 표현은 정적인 수생태계에 동세와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 생태미학적 발상이다. 또한 동자승을 비롯하여 수(壽) 부(富) 귀(貴) 다남(多男) 등의 기복사상을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판단되는 물총새, 기러기(백로), 물고기, 참게, 개구리 그리고 용 등 7개 분류형의 동물들과 식물이 공생하는 연지풍경을 꽃창살에 연출하였다. 성혈사 나한전 어칸의 꽃창살은 연과 연잎의 생성과 소멸, 서식처의 생태적 적지(敵地), 공생과 먹이연쇄 등 수생태계 측면에서도 매우 부합되는 표현으로 가득하며 이는 상징과 생태미학의 총화이자연지 풍경의 총합적 어울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