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Temperatures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초

수온과 세균 감염이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oxolinic acid 흡수와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Bacterial Infection on the Absorption and Elimination of Oxolinic Acid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김명석;박성우;허민도;정현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77-684
    • /
    • 1998
  • Oxolinic acid (OA)를 경구 (80 mg/kg body weight)와 약욕 (20mg/$\ell$)의 방법으로 각기 다른 생리적 상태에 있는 나일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에 투여한 후 어류의 각 장기 내에 분포하는 OA의 농도를 bioassay 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어류의 생리적 상태가 OA 흡수, 분포 및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수의 온도를 $15^{\circ}C$$25^{\circ}C$로 한 실험구에 OA를 경구로 투여한 후 약물의 흡수와 배설을 비교해 보면, $15^{\circ}C$ 실험구에서의 약물 흡수와 배설속도는 $25^{\circ}C$ 실험구보다 느렸지만 각장기 내 최고농도는 $25^{\circ}C$ 실험구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OA를 약욕법으로 투여하는 경우 흡수 및 배설속도 모두 온도차에 의한 명확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약물투여의 실질적인 목표가 되는 병어에서의 약물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E. tarda에 인위감염된 어류에 OA를 경구와 약욕의 방법으로 투여하였을 때 각조직 내의 약물 분포 및 농도의 변화는 건강어에 대비하여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 PDF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처 선택 (The Thermal Preference and the Selection of Hibernacula in Seven Cave-dwelling Bats)

  • 김선숙;최유성;유정칠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58-272
    • /
    • 2014
  • 동굴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동굴성 박쥐의 동면생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회의 동면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쥐가 출현된 140개의 동면장소에서 관박쥐, 문둥이박쥐, 검은집박쥐, 긴가락박쥐, 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물윗수염박쥐, 토끼박쥐등 총 13,288개체를 확인하였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는 종 간 차이를 나타냈다. 동굴성 박쥐 7종 가운데 붉은박쥐의 평균 체온은 $13.64{\pm}0.76^{\circ}C$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박쥐와 긴가락박쥐의 평균 체온은 $9.19{\pm}2.35^{\circ}C$$7.83{\pm}1.94^{\circ}C$였다. 반면 저온을 선택한 관코박쥐의 체온은 $2.64{\pm}0.98^{\circ}C$, 토끼박쥐는 $2.78{\pm}0.98^{\circ}C$, 검은집박쥐는 $2.76{\pm}1.68^{\circ}C$, 물윗수염박쥐는 $4.4{\pm}1.1^{\circ}C$로 다른 3종(붉은박쥐, 긴가락박쥐, 관박쥐)의 온도선호도와 차이를 나타냈다. 종 간 차이를 나타낸 7종의 체온은 대기온도($T_a$)에 비해 암벽온도($T_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동굴성 박쥐 7종의 동면장소 별 출현된 박쥐의 종 수는 동면장소의 온도특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고온특성을 나타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HTR, 동면저의 최저온도가 $7^{\circ}C$ 이상)에 출현된 박쥐 종수는 $1.44{\pm}0.53$로 가장 낮았지만,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특성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LTR, 최고온도가 $7^{\circ}C$ 이하인 곳)에서 출현된 박쥐의 종수는 $2.77{\pm}1.72$였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과 고온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대기온도 범위가 넓은 동면장소(WR)에서 $3.02{\pm}1.36$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재배용 느타리 품종 『흑타리』의 배양온도에 따른 미발이 관계 규명 (Cause of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according to incubation temperature of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Heuktari』 for bottle cultivation)

  • 최종인;김정한;권희민;이윤혜;신복음;구옥;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7-322
    • /
    • 2020
  • 느타리 '흑타리' 품종의 배양 중 고온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미발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온도에 따른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PDA 배지에서 '흑타리'의 적정생육온도는 23~26℃였고, 균사생장속도는 '춘추2호'에 비하여 빠른편이었다. 병내 배지온도는 초기에 상승하여 배양 중반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온도가 하강하였다.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기간은 짧아졌다. 배양온도 20℃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5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1.8%, 수량은 139.4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24℃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4.2%, 병당수량은 132.1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16℃와 28℃처리구에서는 미발이율이 증가되었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배양온도와 미발이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실 온도를 18℃로 설정하고 배지품온을 28℃ 미만으로 관리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0.3~0.8%를 나타내었다. 배양실내의 온도가 20℃ 이상이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농가에서는 미발이율이 3.5% 정도 발생되었다. 배양실 온도가 19℃이며 배지 최고 품온이 31.3℃까지 상승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8.2%로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 병내부 온도가 28℃이상 상승하고 배양실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발이율이 증가하고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양실은 배지품온이 28℃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고, 배양공간에 맞는 최적의 배양량을 넣어 관리하여야 한다.

섬광의 적외선 특성 연구 (Infrared Characteristics of Some Flash Light Sources)

  • 임상연;박승만
    • 한국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4
    • /
    • 2016
  • 섬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그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섬광의 광 방출특성을 알아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섬광의 효과예측과 효율적 활용을 위한 섬광의 적외선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 종류의 섬광원에 대하여 중적외선과 원적외선영역에서 적외선 특성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섬광의 복사휘도와 복사온도를 추출하여 섬광의 적외선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 종류의 섬광에 대해 중 원적외선 영역에서 적외선 스펙트럼 복사휘도를 추출한 결과는 섬광 A의 복사휘도가 상대적으로 제일 강하며 섬광 C, 섬광 B 순으로 분석되었다. 동일한 연소형 섬광인 섬광 A와 B의 복사휘도가 약 10배 이상 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단지 화약량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므로 화약량이 증가할수록 방출 적외선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폭발형 섬광 C와 연소형 섬광 A, B를 비교해도 화약량에 따라 적외선 방출 강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적외선 영역에서 측정한 복사휘도로부터 복사온도를 추출하였다. 섬광 A의 복사온도는 3300 K, 섬광 B는 1120 K, 섬광 C는 1640 K로 추출되었다. 두 적외선 영역에서 측정한 적외선 복사휘도, 복사온도 그리고 섬광의 지속시간을 종합하여 볼 때, 연소형 섬광이 폭발형보다 더 많은 적외선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적외선 관측장비에 미치는 영향은 폭발형보다는 연소형이 더 크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통해 확보된 섬광의 스펙트럼 복사휘도와 복사온도는 섬광이 적외선 장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섬광효과의 M&S에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on the Ammonia Excretion Rate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 Harwanto, Dicky;Oh, Sung-Yong;Kim, Chong-Kwan;Gultom, Victor David Nico;Jo, Jae-Y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63-71
    • /
    • 201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on daily patterns and rates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excretion in juvenile red seabream Pagrus major (mean body weight: 29.0 g) under fasting and feeding conditions. Fish were acclimated over 7 days under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0, 15, 20, and $25^{\circ}C$) and at two different densities (5.5 and $11.0\;kg\;m^{-3}$). Each treatment had three replicates and a total of 216 fish were used. After 72 hours starvation, endogenous TAN excretion was measured for each temperature and density. To investigate exogenous TAN excretion, fish were handfed a commercial diet containing 51.6% crude protein twice a day for 7 days, at 08:00 and 16:00. Water was sampled from both inlets and outlets of chambers every 2 hours over a 24 hour period. Both endogenous and exogenous TAN excretion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emperature and density (P<0.05). Mean daily endogenous TAN excretion rates at 10, 15, 20, and $25^{\circ}C$ were 88.8, 101.1, 125.0, and $143.3\;mg\;TAN\;kg^{-1}\;d^{-1}$ at low density, and 105.2, 119.2, 141.5, and $168.8\;mg\;TAN\;kg^{-1}\;d^{-1}$ at high density, respectively. Mean daily exogenous TAN excretion rates at 10, 15, 20, and $25^{\circ}C$ were 343.5, 403.7, 535.7, and $601.7\;mg\;TAN\;kg^{-1}\;d^{-1}$ at low density, and 391.9, 479.7, 611.9, and $683.4\;mg\;TAN\;kg^{-1}\;d^{-1}$ at high density, respectively. The exogenous TAN excretion rate peaked 10~12 hours after the first feeding under all temperatures and densities. The TAN loss for ingested nitrogen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emperature and density (P<0.05), ranging from 27.9 to 50.1% at low density and 31.7 to 56.9% at high densit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for estimating ammonia excretion and managing the culture of red seabream under the given temperatures and densities.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ffe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Neutr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by Ocean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granulata and Chlorella vulgaris)

  • 고경준;이치헌;문혜나;이연지;양진주;조기철;김대경;여인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미세조류는 육상 식물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며 다량의 지질과 탄수화물을 축적할 뿐 아니라 카로테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체내에 축적하므로 바이오 에너지 및 기타 산업의 유망한 재료로 인식 되어왔다. 미세조류의 온도, 염분, 빛 등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다양한 배양 조건에 따른 생화학 물질의 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조건들의 동시적인 효과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물질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두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Nannochloropsis granulata의 염분(10, 30, 50 psu) 및 온도(20, 25, $30^{\circ}C$)의 동시 배양 조건에 따른 바이오 매스의 변화와 바이오 에너지에 사용되는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변화를 회분배양의 실험적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circ}C$, 30 psu 조건에서 C. vulgaris 및 N. granulata 모두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및 carotenoid의 축적 양상이 온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지질과 녹말의 축적은 염분과 온도의 조합에 따라 두 종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염분에 의한 성장과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양상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수온(20-24.5℃)에서 사육한 미성어기(384 g)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배합사료 적정 공급률 (Optimum Feeding Rate for Sub-adult Olive Flounder (384 g) Paralichthys olivaceus Fed Practical Extruded Pellets at Optimum Water Temperatures (20-24.5℃))

  • 김성삼;김강웅;김경덕;이봉주;한현섭;김재원;배승철;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82-587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rate on the growth, blood components, and histology of sub-adult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ptimum feeding rate (initial fish mean weight : $384.2{\pm}5.91g$) was determined under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Two replicated groups of fish were fed a commercial diet at rates of 0%, 0.3%, 0.5%, and 0.7% body weight (BW) per day, and to satiation. The feeding trial was conducted using a flow-through system with ten 1.2-metric ton aquaria receiving filtered seawater at $20-24.5^{\circ}C$ for 3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the weight gain (WG)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ish fed at 0.7% BW/day and those fed to satiation (0.9% BW/day) than in fish fed at other feeding rates or in the unfed fish. These parameters were negative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unfed fish than in those fed the experimental diet at all feeding rat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and SGR among fish fed at 0.3 and 0.5% BW/day and among those fed at 0.7% BW/day and to satiation.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hepatopancreas, kidney, and anterior intestine of fish fed at 0, 0.5, and 0.9 % BW/day did not differ much.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of weight gain showed that the optimum feeding rate of olive flounder weighing 384 g was 0.74% BW per day at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s.

Clinical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forced-air warming blankets during orthognathic surgery to avoid postanesthetic shivering

  • Park, Fiona Daye;Park, Sookyung;Chi, Seong-In;Kim, Hyun Jeong;Seo, Kwang-Suk;Kim, Hye-Jung;Han, Jin-Hee;Han, Hee-Jeong;Lee, Eun-Hee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4호
    • /
    • pp.193-200
    • /
    • 2015
  • Background: During head and neck surgery including orthognathic surgery, mild intraoperative hypothermia occurs frequently. Hypothermia is associated with postanesthetic shivering,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o improve intraoperative thermoregulation, devices such as forced-air warming blankets can be appli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forced-air warming blankets in preventing postanesthetic shivering.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13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15. According to the active warming method utilized during surger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W (n = 55), circulating-water mattress; and Group F (n = 58), circulating-water mattress and forced-air warming blanket. Surgical notes and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records were evaluated. Results: Initial axillary temperatur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Group $W=35.9{\pm}0.7^{\circ}C$, Group $F=35.8{\pm}0.6^{\circ}C$). However, at the end of surgery, the temperatures in Group W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roup F ($35.2{\pm}0.5^{\circ}C$ and $36.2{\pm}0.5^{\circ}C$, respectively, P = 0.04). The average body temperatures in Groups W and F were, respectively, $35.9{\pm}0.5^{\circ}C$ and $36.2{\pm}0.5^{\circ}C$ (P = 0.0001). In Group W, 24 patients (43.6%) experienced postanesthetic shivering, while in Group F, only 12 (20.7%) patients required treatment for postanesthetic shivering (P = 0.009, odds ratio = 0.333, 95% confidence interval: 0.147-0.772). Conclusions: Additional use of forced-air warming blankets in orthognathic surgery was superior in maintaining normothermia and reduced the incidence of postanesthetic shivering.

Effects of Feed Processing Methods on Growth Performance an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Young Pigs

  • Ohh, S.H.;Han, K.N.;Chae, B.J.;Han, In K.;Acda, S.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65-1772
    • /
    • 2002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ed processing method best suited for early and conventionallyweaned pig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extrusion temperatures on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di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sources. In exp.1, a total of 108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24 d of age and 7.60 kg average body weight) were allot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ancestry to three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eed processing methods used were mash (M), simple pellet (SP), and expanded pellet (EP). In exp. 2, a total of 96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14 d of age) were allott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ancestry to three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Diets were mash (M), expanded pellet (EP), and expanded pellet crumble (EPC). In exp. 3, a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extrusion temperatures (100, 120, and $140^{\circ}C$) over the control (untreated) on the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diets containing protein sources such as spray-dried plasma protein (SDPP),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and fish meal (FM). Results in exp.1 showed that ADG, ADFI and the F/G ratio of pigs fed the SP diet were improved (p<0.05) compared with those fed the M or the EP diets, but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was not different (p>0.05) among the treatments. In exp. 2, pigs fed expanded pellet treatments (EP or EPC) had a significantly improved (p<0.05) F/G ratio compared to the pigs fed the M diet which wa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significant reduction (p<0.05) in ADFI, but the overall growth rate of pigs fed expanded pellet diets was not improved. In exp. 3,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05) between the extrusion temperature and protein source on the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With an extrusion temperature of $100^{\circ}C$, the ileal digestibility of Lys, Val, Gly and S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et containing WPC compared to the diet containing SDPP.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120^{\circ}C$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digestibility of Thr and Tyr between diets containing WPC and SDPP. Regardless of extrusion temperatures, the weaned pigs' diet containing either SDPP or FM had significantly higher Lys, Phe, Thr, Val, and Gly digestibility relative to the WPC diet.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imple pelleting of diets containing protein sources such as whey protein concentrate, spray-dried plasma protein and fish meal would be better than the extruded or expanded pellet diets. Extruder or expander processing of weaned pigs' feed could reduce palatability and ileal digestibility of several amino acids and therefore may be responsible for a negative growth response in weaned pigs.

온돌 수면환경이 인체의 온열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dol Sleep Environment on the Thermo-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Human Body)

  • 김정숙;성수광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73-181
    • /
    • 1999
  • 한국의 청실양식은 84.9%가 요와 이불을 사용하여 온돌의 방바닥에 누워 자는 형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돌 난방 주택에서의 수연환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돌침실의 온열환경, 침상기후, 수면시 생리반응을 각 가정의 일상생활 중에서 직접 측정하여 계절별, 주택형태별에 따른 수면환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절 및 주택형태별에 따른 수면환경의 큰 온도차이에도 불구하고 수면 중 인체와 접촉하는 이불 밑과 요 시트의 침상온도는 계절과 주택형태에 관계없이 연평균 $30.5{\sim}34.1^{\circ}C$로 쾌적한 침상 내 온도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수면 중 직장온도도 연평균 $36.8^{\circ}C$로 계절 및 주택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침실환경에 대한 주관적 온열감각은 주택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침실의 온열 중성점이 아파트 $25.9^{\circ}C$, 단독주택 $20.3^{\circ}C$로 아파트가 단독주택보다 $5.6^{\circ}C$ 높게 나타났다. 이는 건물의 구조가 주택은 조적조의 구조인 반면 아파트는 철근콘크리트의 구조로 우수한 단열력을 가지므로 외기온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높은 실내온도를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거주자들이 주택 내 환경에 적응되어진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으나 아파트 거주자의 측면에서는 온열환경에 대한 에너지 절약, 건강 유지 등의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난방을 위한 쾌적한 생활온도 설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