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g Content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What Practical Knowledge Do Teachers Share on Blogs? An Analysis Using Text-mining

  • LEE, Dongkuk;KWON, Hyuks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3권1호
    • /
    • pp.97-127
    • /
    • 2022
  •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cluding teachers using blogs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and reflect on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shared through the K-12 teachers' blog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70,571 blog posts were collected from 329 blogs of K-12 teachers in Korean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using teacher blogs have increased. Teachers posted a lot of blogs during the semester.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share various curriculum activities, reflections on project classes, class management, opinions related to education, and personal. Thir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are summaries and reviews of curriculum, materials 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s,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opinions related to education, and personal experiences on their blogs. This study suggested that blogs are widely used as a venue for sharing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and that blogs can be a useful way to develop professionalism.

수산해양관광 관련 웹사이트의 정보탐색 특성과 상대적 중요도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1권2호
    • /
    • pp.81-106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The survey ite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and also implemented particular way so-called 'semi-online' that including both web based material and offline tutorial.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ploration on island tour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cond is examining the peculiar properties of tourism information that exposed one's individual importance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no difficulty in using the internet and exploring the island tourism inform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and exploring the interne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st popular type of island tourism information is picture type. Personal blog or user created contents(UCC) that containing the other's experience of island tourism is mostly wanted cont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of contents within the students. The community based information which including UCC, blog, and other community user's posting is evaluated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relatively less experienc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more experienced students have a preference on expertise information which created by tourism experts. The difference within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affecting island tourism also significant. With analysis of variance(ANOVA) on determinant factors, the tourism activity and social/culture resource are less important than others(eg. natural environment, accommod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practically used for implementing the local government's effective tourism web site and enhancing the current island tourism operation. And also it gives a advantage to facilitate the island tourism for young generations.

머신러닝을 활용한 가짜리뷰 탐지 연구: 사용자 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tecting Fake Reviews Using Machine Learning: Focusing on User Behavior Analysis)

  • 이민철;윤현식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177-195
    • /
    • 2020
  • 소비자 구전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 가속화로 그 영향력 또한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마케팅 경쟁은 가짜리뷰와 같은 거짓 온라인 구전을 확산시켰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온라인 구전에 대한 피로감과 함께 온라인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를 불신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합리적 구매 결정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대한 문제 인식의 확산으로 가짜리뷰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가짜리뷰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블로그에 작성된 포스트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무의식에 기반한 습관적 패턴을 머신러닝 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게시물이 작성된 블로그와 그 게시물에서 추출한 변수를 분석하여 향후 가짜리뷰 예측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광고성 리뷰 예측에 있어 해당 글 작성자의 블로그에 등록된 전체 포스트의 개수와 포스트의 등록 날짜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해당 포스트가 속한 분류에 등록된 포스트의 개수, 포스트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의 개수, 블로그에 포함된 메뉴 개수, 포스트 제목 및 본문의 길이, 포스트가 획득한 '좋아요'의 개수 또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광고성 리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머신러닝 모형에 있어서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모형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에 작성된 리뷰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시행하는 대신 리뷰를 작성한 사람의 행위를 분석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블로그와 포스트의 특성 데이터를 수작업이 아닌 웹 크롤링 기법으로 수집하고 머신러닝 모형을 통해 광고성 리뷰 여부를 판별할 가능성을 확인한 점은 향후 가짜리뷰의 빠른 탐지를 위한 효율성 및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The Structure of Taste Repertoires for Cultural Arts)

  • 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01-210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 텔레비전 연구에서 활용된 레퍼토리 개념을 통해 문화예술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분야 레퍼토리 비율을 개인별 문화 서비스 레퍼토리로 환산하여 계산한 결과, 레퍼토리 1은 평균 1.66개, 레퍼토리 2는 평균 4.27개로 나타났다. 이들 레퍼토리는 영화 취향을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인구사회 요인별로 레퍼토리 개수를 살펴본 결과, 레퍼토리 1의 경우에는 성별, 연령, 소득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퍼토리 2도 유사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레퍼토리가 전혀 없는 응답자와 1개 이상인 응답자를 구분하는 요인으로 연극, 영화, 뮤지컬 등의 취향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응답자들이 갖고 있는 레퍼토리는 대체적으로 영화와 연극 등 대중문화 중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클래식이나 무용, 미술전시회 등의 순수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취향은 응답자별로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레퍼토리 2를 분석할 때, 순수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취향 정도가 적지 않은 만큼 적극적인 마케팅 및 홍보가 뒷받침된다면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GIS 2.0 : 소비자 참여형 GIS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onsumer Oriented GIS : GIS 2.0)

  • 강호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61-270
    • /
    • 2006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컴퓨터와 인터넷의 출현과 더불어 발전을 해 왔고 이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세대 Web을 뜻하는 Web 2.0은 불특정다수의 인터넷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집약되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비즈니스로 발전하고 있다. Web 2.0의 특징으로는 블로그, 롱테일 분포,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UCC(User Created Contents), 집단지성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Web 2.0의 특징을 이용한 가칭 GIS 2.0을 통해 현재 일방적이고 단순 자료 홍보적 성격의 공간정보제공 방법을 지향하고 쌍방향적이고 일반사용자 참여를 통해 완성될 수 있는 GIS 구축방법으로 전환하여 GIS 도입효과 및 활용을 극대화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 PDF

충주지역의 자작나무와 가래나무 조림지의 지상부 탄소고정에 관한 연구 (Carbon Storage in Aboveground of Betula platyphylla and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Chungju, Korea)

  • 이상진;박관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62-69
    • /
    • 2007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aboveground carbon contents in an average 30-years-old Betula platyphylla and 32-years-old Juglans mandshurica stands in Chungju, Chungbuk Province. Nine sample trees were cut in each forest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Carbon concentration in stemwood, stembark, branch, and foliage were ranged from 54.6% to 57.0% in Betula platyphylla and 53.5% to 56.9% in Juglans mandshurica stands. Aboveground carbon contents was estimated by the equation model logWt=A+BlogD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aboveground carbon contents was 34.31t/ha in Betula platyphylla stand and 21.10t/ha in Juglans mandshurica stand. Aboveground net primary carbon production was estimated at 2.31t/ha/yr in Betula platyphylla stand and 2.03t/ha/yr in Juglans mandshurica stand.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그룹형 커뮤니티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Group-type Community making efficient use of Metadata)

  • 윤선정;주우석;윤태수;김기홍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250-25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근래에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1인 미디어의 대량의 데이터 가운데서 양질의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인 검색기능을 지원하는 그룹형 커뮤니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특별히 교육정보 만을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사용될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를 개발하고 교육용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적정 카테고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그룹형 교육 커뮤니티 EduLOG(Educational blog)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새로운 교육용 커뮤니티를 개설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많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는 1인 미디어를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성해 내고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과 나아가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에 의해 인터넷 상에서 정확성과 신속성을 지원하는 검색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인터넷 UCC 기반 디지털콘텐츠 서비스의 소비자 참여와 확산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Consumer's Participation and Diffusion of Internet UCC-based on Digital Contents Services)

  • 김연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201-212
    • /
    • 2009
  •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investigate patterns and diffus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on Internet UCC based on digital contents services. A sample survey of internet users was conducte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629 respondents and consumer streaming data were analyzed. Some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follows. Research can find out that patterns of user participation in UCC. The major genres of UCC are like daily lives of individuals, humors, parodies of star entertainers and types of contents like still pictures or images, texts are relatively highly generated comparing with multimedia UCC. Although participants have been being increased in UCC recently, the consumers as prosumers who are classified in contents generating group are ten percents at the most. In generating community-based UCC such as posting answers of questions and activities in Blog, prosumers who are in contents making group(recreational group)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simple participants(consuming on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un & entertainment, arousal, self-expression, user friendly web interface variable commonly posited a significant effect in multimedia UCC Services between two groups. Information sharing and perceived usefulness posited a significant effect in recreational group.

디지털 콘텐츠 문화산업으로서 아바타 패션 아이템 개발 연구 - 오프라인 패션 브랜드의 홈페이지 콘텐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vatar Fashion Item as Cultural Industries Using Digital Contents - Focused on the Off-Line Fashion Brand -)

  • 이금희;유진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2호
    • /
    • pp.339-351
    • /
    • 2007
  • Many off-line fashion brands currently has construct hompage in the form of digital contents at the web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fashion item of avartar can be applicate to react for consumer desires by a process of construction for hompage digital contents of fashion brand, and develop various avartar fashion item to satisfy consumer's wants using the computer graph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should be the first to decide whether hompage contents can be used for any purposes. And it will offer initial brand concept, followed by the contents of event, blog, avatar, fashion information. Second, portal sites currently service avatar fashion item, but it just bounds the limit of indirect effect. Many fashion brands face a challenge to differenciate themselves, so avatar fashion item should be planned to coordinate the contents and brand concept. Also it is certainly possible that fashion brand communicates larger consumers with a avartar fashion item that appeal to a consumer's sensibility. Third, this study propose desig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s 3 of the avartar fashion item using the computer graphics. Avatar Fashion item using the computer graphics was presented by application as promotion through event garment, item coordinate, cellular phone service.

  • PDF

모바일 폰 기반에서 통합의학적 진단을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ive Medicine Diagnosis based on Mobile phones)

  • 이민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3-259
    • /
    • 2011
  •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통합의학을 이용한 간단한 건강상태의 진단은 시간과 장소, 컴퓨터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세상을 선도하는 핵심 중 하나가 모바일 인터넷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매개체는 모바일폰이다. 그 중심이 되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건강관리는 바쁜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꼭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모바일폰에서 제작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의 콘텐츠를 모바일 카페(Cafe), 블로그(Blog), 미니홈페이지(Mini Homepage) 등에 연동하기 위해서 왑서비스를 중단하고 모바일 콘텐츠를 업로드한 다음 다시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폰 사용자가 왑(WAP)서비스 접속중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고 모바일폰으로 촬영된 다양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을 왑서비스 이용환경에서 업로드가 지원되고 통합의학적 진단의 내용들이 카테고리별로 콘텐츠가 분류되어 관리 될 수 있는 콘텐츠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