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ached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생성 천연색소의 섬유 염색 효과 (Dyeing effects of natural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PPB12)

  • 이가은;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7-533
    • /
    • 2017
  • 의류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염료를 이용한 염색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합성색소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하여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미생물 색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가 생산하는 보라색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다섬교직포에서 염색 효과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보라색 색소는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를 Marine broth 2216을 이용하여 3일 동안 배양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20% 에탄올에 녹인 보라색 색소는 다섬교직포의 면, 아세테이트 특히 나일론에 우수한 염착력을 나타내었고, 최적의 염색조건은 염색온도 $80-90^{\circ}C$, 염색시간 1시간 이상, pH 4-6, 욕비 1:25로 나타났다. 매염처리는 $Na_2SO_4$를 사용하여 염색 10분 후 후매염 처리 하는 것이 색상 발현에 더 적합하였으나 매염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라색 색소는 B. subtilis에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본 해양 세균 색소는 항균성이 부가된 천연 섬유 염색제로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천연 치자 색소의 연구개발 동향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 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71-277
    • /
    • 2007
  •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이리도이드 (iridoid)계 꼭두서니과의 수목으로서 그 열매인 치자는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식용 색소 및 한방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치자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는 치자 과실에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제니핀 (genipin: $C_{11}H_{14}O_5$)과 제니포사이드 (geniposide: $C_{17}H_{24}O_{10}$) 및 겐티오비오시드 (gentiobioside), 크로신 (crocin), 노나코산, 기르네노시드, 만니톨 등이 있고 잎에는 가데오시드 (gardeoside)가 포함되어 있다. 치자색소중 가장 대표적인 치자황색소는 매염처리에 따라 색상이 거의 변하지 않는 단색성 염료이면서 매염처리를 하지 않고도 면직물 등의 식물섬유에 염색이 되는 직접 염료로서 그 시장가치가 높다. 현재 치자황색소는 가격경쟁의 격화에 따라 금액 기준으로 약간 감소하고 있으나 수요 그 자체는 라면 등 식품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치자청색소는 치자추출물을 효소반응이나 미생물 배양을 통한 가수분해에 의해 다량의 제니핀으로 전환하여 여러 아미노산과 함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치자청색소는 단백질 섬유에 염색한 결과 매염제 없이도 우수한 착색을 보였으며, 견뢰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냉과류의 합성착색료 대체품으로 신장하고 있는 스피룰리나 청색소와 가격경쟁력이 있어서 앞으로의 수요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자적색소는 520-540 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이는 청색소와 마찬가지로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효소 및 미생물로 가수분해한 구성물과 일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한 기질과 함께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치자 색소는 식품 뿐만 아니라 섬유의 염색에도 우수한 천연색소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에 있어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당면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식용색소로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천연색소의 안정성 문제는 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섬유 염색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제약이 되므로 추후 천연염료 (특히 치자 염료)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품질 개발과 생산 코스트 다운을 위한 연구는 전체 천연색소 시장의 성장에 필수불가결하다.

각시가자미껍질로부터 젤라틴 제조를 위한 조건의 검토 (The Suitable Processing Condition for Gelatin Preparation from Yellowfin Sole Skin)

  • 김진수;김정균;조순영;강경수;하진환;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6-723
    • /
    • 1993
  • 현재 우리나라 수산가공업계에서 많이 취급하고 있는 어종인 각시가자미로부터 부산되는 껍질을 이용하여 품질좋은 젤라틴을 제조하기 위하여 알칼리추출법에 의한 젤라틴의 최적 추출, 정제 가공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각시가자미껍질을 이용한 젤라틴의 추출 및 탈색은 원료 껍질을 1.5% 수산화칼슘용액($5^{\circ}C$)에 5일간 침지하여 2일간 수제한 다음 탈수하여 탈수한 껍질에 대하여 $pH5.0{\sim}7.0$으로 조정한 용액을 6배 가한 후 $50^{\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용액에 대하여 3%가 되게 활성탄을 처리하여 감압농축 및 건조한 제품의 품질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최적조건하에서 제조한 각시가자미껍질 젤라틴도 현재 시판되고 있는 돼지껍질 젤라틴에 비하여는 물리적 특성이 상당히 낮아, 어류껍질로부터 식용 등의 품질이 우수한 젤라틴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단백질수식화 등과 같은 제조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광 여기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신기 퇴적층의 연대측정 (Optical dating of Quaternary sediment)

  • 홍덕균;최정헌;한정희;최만식;정창식
    • 암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2-211
    • /
    • 2001
  • 루미네센스(luminescence)는 석영이나 장석 등과 같은 무기결정이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아 흡수된 에너지를 빛으로 바꿔 외부에 방출하는 물리적인 현상이다. 가전자대(valence band)에 존재하는 하전입자들은 전리성 방사선에 의해 전자와 정공(hole)으로 이온화 되고, 이온화된 전자와 정공들은 결정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다가 결정 내에 존재하는 격자결함에 포획된다. 이러한 결정을 빛으로 여기하면 격자결함에 포획된 전자들이 결함에서 빠져 나와 발광중심(recombination center)에서 정공과 재결합하면서 빛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를 광 여기 루미네센스(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라 한다. 열 루미네센스(thermoluminescence; TL) 연대 측정법의 원리와 같이, 광 여기 루미네센스를 적당한 조건에서 관측하면 퇴적층의 연대 계산에 응용할 수 있다. 광 여기 루미네센스를 연대측정에 이용하면 빛에 민감한 전자들만 여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기 퇴적층으로부터 분리된 석영을 청색 파장의 빛으로 여기하여 그로부터 검출된 광 여기 루미네센스를 신기 퇴적층의 연대 산출에 응용하였다. 논문에서는 광 여기 루미네센스 연대측정법과 관련된 일련의 실험방법 및 최근에 소개된 연구성과, 그리고 앞으로 보다 신뢰도 높은 연대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되어야 할 내용을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신기 퇴적층의 연대측정 결과와 함께 기술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of the Opacity and Printing Strength of Fancy Paper Overlaid Plywood

  • Kuo Lan-Sheng;Perng Yuan-Shing;Wang Eugene I-Chen;Yen Chen-Fa;Kao Tsuen-Han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1
    • /
    • pp.91-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acity and printing strength of MG paper overlaid plywood. The printing strength of ink on MG paper can be evaluated effectively by a formula $E^{*2}=[(L^{*})^{2}+(a^{*})^{2}+(b^{*})^{2}]^{1/2}$ that we proposed. Higher E value indicates good printing strength of ink-on-paper. We also assess the real color of translucent printed MG paper with a formula CIE ${\bigtriangleup}E^{*}$ (color difference between a pile of same paper to be opaque and fancy paper laminated board). In addition, the color difference on paper surface caused by the color of wood-based board (bottom) can be evaluated by a formula of Pc. No. Generally, an acceptable appearance quality of fancy boards is ${\bigtriangleup}E^{*}$ <2.0 and small Pc.No. valu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Japan-made MG papers -J1, J2 and J3 have better printing strength and gloss than that of Taiwan-made paper (T1).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aiwan-made paper has poor printing strength and low gloss, which might be correlated to the fiber compositions in paper. Higher printing strength can be seen for short fiber containing handsheets when comparing to that of handsheets. Nonetheless, low-freeness sheets gives better printing strength than that of high-freeness sheets. High-opacity MG paper gives good opacifying effect to the fancy paper laminated wood-based boards. Comparing the surface color of 2 kinds of fancy paper laminated boards, paperboard T1 laminated with high-opacity fancy paper showed slight color difference. The same results can be seen for $??g/m^{2}$ handsheets. Higher-opacity Acacia and Eucalyptus bleached sulfate pulps (short fiber) gives higher opacifying effect on the plywood when comparing to Northan pine and Radiata pine sulfate pulps(long fiber). The former ones also showed small color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he color of fancy paper and laminated paper board. Additionally, the color of bottom plywood can't be shown through for the high-opacify surface paper adhered to. Besides, the PC No of the base paper laminated board is small as well. Apparently, we can add colorants to the binders for the manufscture of various handsheets ($30g/m^{2}$) with various pulp mix ratios to increase the opacity of paperboards to certain extents. When we using yellow and brown binders in paper laminated boar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Acacia and Eucalyptus handsheets overlaid boards decreasing to 2.0 (acceptable ${\bigtriangleup}E^{*}$ <2.0, hard to discern), but not much improvement for Northern and Radiata pines. Definitely, show-through defects can be discernible for lower opacity papers. In general, admirable printing strength of fancy paper by which glued to plywood can be made with high-opacity paper and colored binders techniques.

  • PDF

표백제의 치경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이장재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ASE MATERIALS TO PROTECT THE CERVICAL LEAKAGE OF BLEACHING AGENTS)

  • 송병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585-60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several intracoronal base materials to prevent cervical leakage of a bleaching agent into the dentinal tubules and along the root canal. In this study, thirty-two anterior teeth were used. After lingual access was prepared in each tooth, tooth was instrumented with a step-back technique to a Nos. 40-50 using K-type files. All teeth were obturated with a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Excess gutta percha was removed with a warm instrument to the facial level of the CEJ.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Teeth in control group were not filled with base material. Teeth in groups 1, 2, and 3 had 2mm of gutta percha removed with a warm instrument, then Dycal, Fuki II LC and Z-100 were filled with palstic instruments on the top of the gutta percha respectively. All teeth were bleached for 7 days, fresh bleach was added for another 7 days, then a 10 % methylene blue dye was placed inside the access preparation. They were stored at $37^{\circ}C$ and $100^{\circ}C$ humidity for 5 days. Each tooth was sectioned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using a diamond disk. Initial cuts were made at the most coronal level of facial and lingual CEJ's, then another cuts continued appically in the levels of 0.5mm, 1.5mm, and 2.0mm respectively. The amount of dye leakage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was determined at each cut section. In addition, when the cut specimen was determined to be last penetration of any dye, this level was recorded as depth of apical leakage from the coronal terminus of the gutta percha, Dycal, Fuji II LC and Z-100.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by Tukey's Multiple Range Test adn Cochran-Mantel-Haenszel Test to see if there was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e penetration and linear apical leakage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ntrol group at levels of CEJ and 0.5mm, group 3 at level of 1.5mm, and group 2 AND 3 at level of 2.0mm showed the lea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facial or lingual dentinal tubul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2. Group 2 at levels of CEJ and 0.5mm, group 3 at level of 1.5mm, and group 2 and 3 at level of 2.0mm showed the lea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proximal dentinal tubul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ntrol group, group 2, and group 3. 3. Group 1 showed the greatest dye penetration through the facial or lingual and proximal dentinal tubules at all level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three groups. 4. Control group and group 1 showed 2mm apical dye leakage at facial or lingual and proximal aspects, group 2 showed 1.5mm, and group 3 showed 0.5mm.

  • PDF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포도나무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Shoot Rot of Grapevine (Vitis spp.)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박종한;한경숙;한유경;이중섭;김대현;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61
    • /
    • 2009
  • 경기도 가평과 강원도 영월에서 포도나무 가지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시들어 죽는 증상을 관할하고 병원균을 분리였다. 병원균의 균총은 PDA 배지에서 처음에는 무색이었으나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흰색을 거쳐 연한 초콜릿색을 나타내었다.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으며, 균핵을 멸균한 모래의 1~2 cm 깊이에 매몰하고 $20^{\circ}C$ 항온기에서 90일간 배양하여 자낭반 형성을 유도하였다. 자낭반은 자루가 가늘고 긴 컵 모양의 황갈색이었고 원통형의 수많은 자낭이 존재하였으며 자낭 안에서는 무색, 타원형이며 단세포로 된 8개의 자낭포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낭포자의 크기는 $8.2{\sim}24.4{\times}3.6{\sim}7.2{\mu}m$ 정도였다.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캠벨얼리와 거봉 품종 모두에서 병원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캠벨얼리 품종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포도나무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 결과, 병원균을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포도나무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OSL 연대측정을 통한 풍납토성 축조연대 산출 (Evaluation of construction era of Pungnabtoseong earthen wall, Seoul by using OSL dating)

  • 김명진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324-332
    • /
    • 2012
  • 백제 한성기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의 축조연대는 고고학 분야의 대표적인 논쟁사항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풍납토성의 축조연대 편년을 위해 7 개의 토기 시료에 대하여 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연대측정에 앞서 TL/OSL 신호 관찰 및 절대영년도 평가, 재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풍납토성 토기 시료는 절대영년이 완벽히 이루어졌으며 고고선량은 $220^{\circ}C$ 열전처리 온도의 단일시료재현법으로부터 신뢰도 높은 값이 산출되었다. 산출된 고고선량을 연간선량율로 나누어 풍납토성 토기 시료의 OSL 연대를 결정하였다. 풍납토성의 축조연대 편년을 위해 각 토기 시료의 OSL 연대와 고고학적 맥락, 14C 연대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 결과, 풍납토성의 초축시점을 $294{\pm}52$ yrs AD ($1{\sigma}$ SE), 제 III 단계 증축을 $328{\pm}30$ yrs AD ($1{\sigma}$ SE), 최종성벽의 완성을 $400{\pm}76$ yrs AD ($1{\sigma}$ SE)로 비정하였다. 따라서 풍납토성은 서기 3세기 후반에 초축된 이후 475년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까지 여러 번의 중축 및 개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탈산 팜유의 저장조건이 그의 고온 탈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 of the Refined Palm Oil on its Heat Bleachability)

  • 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0-204
    • /
    • 1980
  • 식용유 정제 공장에서의 실제적인 조건 하에서 저장된 말레이시아산 탈산팜유(refined palm oil)의 연속식 고온 탈색 공정(continuous heat bleaching process)의 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5개월간의 저장 기간 중 종종 시료(試料) 채취(採取) 시(時)를 제하고는 계속해서 고체상으로 stainless steel 저장 탱크에 저장한 경우, 연속식으로 고온 탈색 후 산성 백토에 의한 탈색과 탈취 공정을 거친 최종 팜유는 탈색 및 탈취만을 거치는 재래식 공정에 의해서 얻은 최종 팜유 보다 붉은 색이 훨씬 감소되었고, Lovibond color로 각각 1.3 red와 2.6 red 이었다. 한편 5개월간의 저장 기간 중, 질소 가스 존재 하에 carbon steel 저장 탱크에서 $38{\sim}60^{\circ}C$의 온도하에서 액체상으로 저장한 경우, 고온 탈색 공정을 거친 최종 팜유와 재래식 공정을 거친 최종 팜유의 붉은 색은 Lovibond color로 각각 2.7 red와 2.8 red이었으며, 고온 탈색 공정이 탈색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주로 저장 기간 중 저장 탱크에서 비교적 높은 온도 때문에 용해된 철분 (6.53 ppm)과 고온에 의한 열화 헌상 때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산화 값, 아니시딘 값 등의 산화 값(oxidation value)은 고온 탈색도(heat bleachability)와 상관 관계가 없었고 트랜스 이성체 생성에 영향이 없었으나 중합물 생성에는 약간의 영향이 있었다.

  • PDF

무수치 표백술 후 잔존 과산화수소수 제거를 위한 수종의 치수강 세척제의 효과에 관한 정량적 연구 (A QUANTITATIVE STUDY ON THE DEGRADING EFFECT OF THE VARIOUS IRRIGATING AGENTS IN THE ELIMINATION OF RESIDUAL HYDROGEN PEROXIDE FOLLOWING WALKING BLEACHING)

  • 금기연;한원섭;정일영;이승종;이찬영;오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656-669
    • /
    • 1998
  • Hydrogen peroxide at high concentration during walking bleaching may cause damage to the tooth structure and to the surrounding periodontal tissues and may develop external root resorption. Clinically, It is so important to find a method of prevention or minimization of these complications. The efficacy of various chamber-irrigating agents to eliminate residual hydrogen peroxide after walking bleaching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water rinse in this study. Extracted human 46 premolars without any cementoenamel junction defects were treated endodontically and based with IRM to 1 mm below CEJ and totally bleached 3 times for each tooth with 30% hydrogen peroxide and sodium perborate. Upon completion of the 3rd walking bleaching procedure, the cervical portion and pulp chamber of each group of teeth were irrigated with catalase, 70% ethylalcohol, acetone, and distilled water. And then, a radicular hydrogen peroxide penetration was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er immediately after each bleaching and following treatment with each chamber-irrigating agents,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eliminating efficacy of residual hydrogen peroxide was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ervical root pene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increased as the bleaching procedure was repeated(P<.01). 2. The most effective irrigant that removed residual hydrogen peroxide was the catalase, and the least effective one was water rinsing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cetone and ethanol group. 3. The Irrigation with antioxidant enzyme or water-displacement solutions can eliminate residual oxygen radicals from the pulp chamber effectively after walking bleaching. So, these agents can reduce adverse effects such as cervical external resorption and periapical inflammation and prevent residual $O_2$ from impeding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thus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his, in turn reduces microleakage and discoloration of the esthetic restoration, extending its service-life.

  • PDF